칠레

최근 편집: 2018년 6월 7일 (목) 16:07
Yonghokim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6월 7일 (목) 16:07 판 (새 문서: 칠레는 남미 최남단에 위치한 국가이다. 서쪽으로는 태평양을, 동쪽으로는 안데스 산맥을 두고 북쪽 페루 국경부터 남극해까지 약 4,000km...)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칠레는 남미 최남단에 위치한 국가이다.

서쪽으로는 태평양을, 동쪽으로는 안데스 산맥을 두고 북쪽 페루 국경부터 남극해까지 약 4,000km 에 달하는 긴 길이에 동서로는 150km를 넘지 않는 짧은 너비의 특이한 형태의 국토를 가졌다.

수도는 산티아고, 화폐는 페소이며 인구는 1,700만명이다. 남미에서 전통적으로 멕시코, 브라질, 아르젠티나와 함께 경제가 활성화 된 축에 속하고, 남미 국가 중 가장 치안이 안정 되어있으며 부정부패가 적은 나라 중 하나이다. 그러나 독재자 피노체트 시절부터 소위 "시카고 보이즈"로 불리는 시카고 신자유주의 학파를 적극 수용하여 국민의료보험 제도를 비롯한 각종 산업의 민영화가 진행되었다.

거의 3,000명의 한인이 칠레에 살고 있으며 상당수가 의류 도매, 소매업에 종사한다. (의류업 이야기는 1990년대 정보) 절반이 넘는 수가 수도 산티아고에 거주하고 있으며, 산티아고의 Comuna Recoleta 내에 위치한 Patronato 동네에 가면 한인이 운영하는 가게, 식당들과 교회, 성당 등이 집중적으로 모여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역사

스페인 침략자들과 조우하기 전까지는 지역별로 다양한 원주민 사회가 정착 해 살고 있었다. 1500년대에 스페인의 디에고 데 알마그로가 발견 후 페드로 데 발디비아가 현 산티아고의 위치에 처음 정착촌을 세운다. 이후 칠레 전역을 정복하고 통치체제를 설립하지만, 황금 노다지인 북쪽 페루 부왕국령과 비교해 금, 은이 많지 않은 편이었기에 정복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편이었다. 칠레 남부 일대에 살고 있던 마푸체족은 북쪽 부족들보다 더 강경하게 항전했으며, 기습적인 스페인 촌락 습격 및 방화 등의 전술로 300년 넘게 스페인을 괴롭혔다. 칠레 남부의 콘셉시온, 치쟌 등의 도시는 수 차례 마푸체의 기습 공격에 당해 방화 된 후 다시 재건되는 일을 반복했다. 마푸체는 지휘 체계가 분산되어 있어 잉카제국을 정복 할 때 처럼 황제를 잡는다고 국가 전체가 무너지는 일은 없었고, 스페인인들이 들여온 말이나 철기 등의 무기를 빠르게 습득해서 전투에 활용했다. 마푸체의 항전을 이끈 리더 중 Caupolicán, Lautaro, Colo-Colo 가 유명했다. (Colo-Colo 는 오늘날 칠레 국내 축구 리그에서 1위를 다투는 팀의 이름이 되었고, Caupolicán 은 상당 수 도시에서 큰 도로의 이름이 되었다.)

독립

공화국 초기

살바도르 아옌대

피노체트

민주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