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마초

최근 편집: 2018년 12월 6일 (목) 00:45
Plutarchus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12월 6일 (목) 00:45 판 (→‎개요)

개요

진보 개혁주의 성향을 띄는데도 여성인권, 동성애자의 인권등 소수자의 인권에 신경을 쓰지 않는 사람들을 말한다. 주로 구좌파 성향(NL,PD,참여계 등)을 띈다.

실제로 이들은 대의를 위해 소수의 인권을 뒷전으로 해도 된다고 주장을 하지만, 정작 대의를 해결하고도 소수자의 인권을 무시하는 경향으로 비판을 받고 있다. 예로 들자면 나중에 사건이 있다.

메갈리아, 워마드가 기존 운동권을 혐오하고 여성인권단체,성소수자단체들이 신좌파 성향을 띄게한 원인이다.

노동당,녹색당이 대한민국 정당 중에서는 소수자 인권에 신경쓰고, 성인지 감수성이 뛰어났다고 평가를 받았으며, 한국여성단체연합 질의자료메갈리아, 워마드, 여성단체, 성소수자단체와 연대를 많이 하는 편이다. 동시에 노동당과 녹색당의 당내 여성혐오와 관련된 사건사고에 대해 비판도 자주 받는다.

동의어로 진보씹치가 있다.

각 계파에 따른 특징

적어도 남한 내에서 '범진보'라는 단위로 묶이는 여러 계파는 소수자 인권 증진에 대한 일정한 무시가 존재하며, 각 계파의 이념적 성향에 따라 그 발현에 차이가 존재한다.

참여계 및 민주당계(자유주의 계열)

참여계 및 민주당계 계통은 남한 내 범진보 정치 세력 중 제일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으나, 여성 및 성적 소수자 인권에 대한 무관심이 존재한다. 특히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계의 후보로 나왔던 문재인 선거 캠프의 여러 행보만 봐도 그것을 단적으로 알 수 있으며, 그 전부터 현재까지 민주당의 다수 계파가 여성 인권 증진에 대한 기초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민주당계 또는 참여계 계통의 여러 팟캐스트 진행자들도 여성 혐오 성향이 두드러지는데, 대표적으로 김어준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민주당계 및 참여계의 여성 혐오적 성향은 크게 두 가지 이유에 기인한 것이다. 일단, 민주당계 정당의 기원이 해방정국에서 천주교 계통 우파들의 지지를 받은 한민당의 후계 정당이라는 점이다. 보수적인 기독교 성향이 처음부터 매우 강했으며, 이곳에서 나왔던 여러 민주당계 주요 정치인들은 종교적인 이유로 여성 인권 후퇴를 묵인했으며, 여성 인권 증진에 대한 관심이 상당히 부족한 상태였다. 현재도 민주당은 자유주의 신학 계통에 속하는 여러 기독교 단체의 후원을 받으며, 이들을 큰 지지 세력으로 갖고 있다.

두 번째 이유로는 그들이 갖고 있는 자유주의(LIberalism) 성향에 있다. 자유주의 정치 이념은 정치적 민주주의 달성에 있어서 지대한 공헌을 했지만, 여성 인권 측면에 있어서 여성에게 있어서 기초적인 참정권을 보장하는 것 외에 딱히 별다른 대안을 내세우지 않았다. 또한, 개혁주의 성향을 갖고 있기 때문에 형식적인, 제도적 장치만 마련되면 여성 인권 보장의 다라고 생각하는 자들도 적지 않으며, 실제 이론적으로도 이러한 결함을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자유주의적 페미니즘이 갖는 한계와 동일한 선에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관련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