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

최근 편집: 2020년 1월 20일 (월) 02:48
Yonghokim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1월 20일 (월) 02:48 판

트위터(Twitter)페이스북과 함께 양대 소셜 미디어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SNS 서비스이다. 페이스북과 달리 폭넓은 데이터 호환성, 오픈 API 로 특징지어지는 운영을 했다. 공개 성격이 강한 주요 사용자층의 성향에 따라 사회 이슈에 대한 코멘트가 많고, 한때 인터넷을 통한 민주주의의 재활성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로 주목 받기도 했다.

사용자 수는 3억으로, 페이스북(22억)은 고사하고 인스타그램(10억)이나 중진급 소셜 미디어에도 못 미치지만, 특유의 문화를 형성하고 대부분의 단체나 기업에게 페이스북과 함께 꼭 계정을 만들고 자리를 잡고 있어야 할 온라인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

사용 용례

2011년 1월 18일 트위터에서 공식 한국어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한국어 서비스가 공식적으로 시작됨에 따라 트위터 고객지원 (@dowoomi), 트위터 대한민국 (@twitter_kr) 트위터 인기 트윗(@toptweets_ko) 계정이 추가되었다.

현재 트위터 SMS서비스는 LG U+에서만 제공한다.

SNS 중 점유율은 매우 낮은 편으로, 미래창조과학부2016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에서, 주이용 SNS를 셋 꼽으라는 질문에 트위터는 4.8%를 차지했다(참고로 페이스북은 61.4%, 카카오스토리는 71.1%였다).

한국의 경우 아이돌 팬덤, 정치 토론, 페미니스트, 동인계 사용자층이 두드러진다. 많은 페미니스트가 트위터를 이용하고 있다. 한국 사회의 여성혐오 실상을 비판하고 미러링하는 유저들도 많다. 많은 오타쿠와 동인계 유저들이 트위터를 SNS 혹은 마이크로블로그로 이용하고 있다.

2006년 6월에 시작된 SNS(Social Network Service)로 140자 내의 텍스트사진을 수록할 수 있다.

탄생

트위터의 창업주는 잭 도시, 비즈 스톤, 에번 윌리엄스(CEO), 노아 글래스이다. 트위터는 미국 샌 프란시스코 지역의 팟캐스트 벤처 기업인 오데오(Odeo, Inc.)의 에번 윌리엄스와 노아 글래스가 고안한 연구 개발 프로젝트에서 출발하였다. 잭 도시는 SMS를 통해 소규모 그룹과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냈다. 최초의 프로젝트 코드네임은 twttr로 정해졌다. 추후에 서비스 명을 트위터(Twitter)로 변경하면서 2006년 3월에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참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