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어

최근 편집: 2020년 6월 12일 (금) 13:54
백셈몆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6월 12일 (금) 13:54 판 (→‎문법)

프랑스어(Le français 또는 La langue française)는 프랑스를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쓰이는 언어이다. 프랑스어를 공식어로 채택하고 있는 나라는 2014년 기준 32개(독립국 29개, 지방정부 3개)국가이다.[1]

개요

  •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 유엔의 공용어이다.
  • 한국에서는 프랑스를 한자어 표기로 불란서(佛蘭西)라 불렀던 적이 있어서 불어라고도 불린다.

특징

성의 존재

  • 라틴어 계열의 언어 중 많은 경우 명사와 형용사에 성이 있다. 프랑스어의 모든 명사와 형용사는 남성 혹은 여성으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위키는 Un wiki로 남성이며 [2]페미니즘은 Le féminisme으로 남성, 에펠탑과 La tour Eiffel, 센강은 La Seine 여성이다.

왜 위키와 페미니즘이 남성인지 탑과 강이 여성일까. 이유는 없다. 명사와 성의 상관관계는 아무 것도 없다. 프랑스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이상 학습하기 매우 까다롭고, 심지어 프랑스인들도 이에 대해 물으면 '모른다', '그냥', '아무 이유없다'라고 말하고 본인들도 어릴 때 외운다고 한다.

물론 약간의 규칙이 있기는 하다. 그렇지만 일말의 규칙을 알게 되어도 대부분 외워야하기 때문에 절망감이 드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발음

문법

  • 영어와 비슷하게 주어+서술어+목적어 순으로 문장이 형성된다. 하지만 목적어가 대명사일 경우 몇몇을 제외하고는 주어+목적어+서술어 순으로 문장이 형성된다.

    Je sais la chanson -> Je le sais

  • 존댓말 비슷한 것이 있다. 2인칭 단수인 tu는 상황에 따라 높은 사람한테 2인칭 복수인 vous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뜻은 같다.

    Comment tu t'appelles? -> Comment vous vous appelez?

  • 동사 굴절이 심하다. 굴절이 성, 수, 법, 시제에 따라 규칙이 있는것만 해도 30개가 넘는다. 불규칙인 3군동사 까지 외우면.... 성, 수, 법, 시제는 다음의 종류가 있다.
종류
여성형, 남성형
단수, 복수
직설법, 조건법, 접속법, 명령법, 부정법
시제 현재, 반과거, 복합과거, 단순과거, 대과거, 전과거, 중복합과거, 미래, 근접미래, 전미래

기본회화

  • 인삿말
표현 발음
안녕하세요(낮) Bonjour. 봉쥬ㅎ
안녕하세요(저녁) Bonsoir. 봉수와ㅎ
안녕 Salut. 쌀뤼
반갑습니다. Enchanté(e) 엉셩떼
이름이 뭐예요? Comment vous vous appelez? 꼬멍 부 부자쁠레?
제 이름은 ~예요 Je m'appelle ~ 쥬 마뻴 ~
저는 ~입니다 Je suis ~ 쥬 수이 ~
어디서 오셨어요? D'où êtes-vous? 두 에트 부?
좋은밤 되세요 Bonne nuit 본느 누이
좋은 꿈 꾸세요 Faites de beau rêve. 뻬트 드 보 헤브
또봐요 Au revoir. 오 흐부와ㅎ
오랜만이에요 Ça fait longtemp. 싸 뻬 롱떵
어떻게 지내세요? Comment allez-vous? 꼬멍 딸레 부?
잘 지냅니다. Ça va bien. 싸 바 비양.
무슨 일 있으세요? Qu'est-ce qu'il y a? 께스낄리야?
잘 지내? Ça va? 싸 바?
잘 지내. Ça va. 싸 바.
그저 그래.. Pas mal. 빠 말.
잘가 Ciao. 챠오
고마워요 Merci. 멕씨
천만에요 De rien. 드 히양
미안해요.. Je suis désolé(e). 쥬 수이 데졸레

프랑코포니

프랑코포니(프랑스어: La Francophonie)란 프랑스어를 모국어나 공용어, 공식언어로 쓰는 국가들로 구성된 국제 기구이다.

프랑스어 자격시험

DELF/DALF

프랑스 교육부에서 발급하는 프랑스어 공인자격증이다.

레벨에 따라 Delf와 Dalf로 나뉘는데, A1, A2, B1, B2는 Delf이고 C1, C2는 Dalf이다. 3 5 11월에, 일 년에 세 번 본다.

응시료

일반기준

A1-13만원 A2-145,000원

B1-23만원 B2-25만원

C1-29만원 C2-31만원

응시료가 많이 비싸니 사람들이 보통 A2부터 보는 편이다.

TCF(Test de connaissance du français)

프랑스어에서 온 외래어

같이 보기

출처

  1.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프랑스 위키페디아》. 
  2. “wiki”. 《프랑스 위키페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