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

최근 편집: 2021년 2월 26일 (금) 15:04

트위터(Twitter)페이스북과 함께 양대 소셜 미디어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SNS 서비스이다. 페이스북과 달리 폭넓은 데이터 호환성, 오픈 API 로 특징지어지는 운영을 했다. 공개 성격이 강한 주요 사용자층의 성향에 따라 사회 이슈에 대한 코멘트가 많고, 한때 인터넷을 통한 민주주의의 재활성을 가능하게 하는 도구로 주목 받기도 했다.

사용자 수는 3억으로, 페이스북(22억)은 고사하고 인스타그램(10억)이나 중진급 소셜 미디어에도 못 미치지만, 특유의 문화를 형성하고 대부분의 단체나 기업에게 페이스북과 함께 꼭 계정을 만들고 자리를 잡고 있어야 할 온라인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

사용 용례

2011년 1월 18일 트위터에서 공식 한국어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한국어 서비스가 공식적으로 시작됨에 따라 트위터 고객지원 (@dowoomi), 트위터 대한민국 (@twitter_kr) 트위터 인기 트윗(@toptweets_ko) 계정이 추가되었다.

현재 트위터 SMS서비스는 LG U+에서만 제공한다.

SNS 중 점유율은 매우 낮은 편으로, 미래창조과학부2016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에서, 주이용 SNS를 셋 꼽으라는 질문에 트위터는 4.8%를 차지했다(참고로 페이스북은 61.4%, 카카오스토리는 71.1%였다).

한국의 경우 아이돌 팬덤, 정치 토론, 페미니스트, 동인계 사용자층이 두드러진다. 많은 페미니스트가 트위터를 이용하고 있다. 한국 사회의 여성혐오 실상을 비판하고 미러링하는 유저들도 많다. 많은 오타쿠와 동인계 유저들이 트위터를 SNS 혹은 마이크로블로그로 이용하고 있다.

2006년 6월에 시작된 SNS(Social Network Service)로 140자 내의 텍스트사진을 수록할 수 있다.

탄생

트위터의 창업주는 잭 도시, 비즈 스톤, 에번 윌리엄스(CEO), 노아 글래스이다. 트위터는 미국 샌 프란시스코 지역의 팟캐스트 벤처 기업인 오데오(Odeo, Inc.)의 에번 윌리엄스와 노아 글래스가 고안한 연구 개발 프로젝트에서 출발하였다. 잭 도시는 SMS를 통해 소규모 그룹과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냈다. 최초의 프로젝트 코드네임은 twttr로 정해졌다. 추후에 서비스 명을 트위터(Twitter)로 변경하면서 2006년 3월에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다수자 중심적 이중잣대

2021년 2월 시점으로 트위터코리아 측은 특정인이나 특정 트윝터리안을 겨냥한 것이 아님에도, 엄연한 사회적 기득권인 한국의 남성을 비하하는 '한남재기' 혹은 단순히 '한남' 이라는 발언만 했다고 페미니스트 트위터 계정을 정지시키고 있다.

물론 이것도 '특정 정체성'에 대한 비하는 맞기에, 기계적으로 따지면 넓은 의미의 혐오발언이라고 볼 여지도 있을 수 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정작 자폐 스펙트럼 당사자인 트위터리안에게 대놓고 "-별 지x을 다 하더라 역시 자폐xx는 이래서 안됨"이라고 노골적으로 특정 소수자의 정체성으로 극단적인 인신공격 내지 혐오발언을 한 남성 트위터리안은 어떠한 징계도 내리지 않고 있다.# 이는 분명히 트위터 운영원칙 중 '혐오 행위'에 속하는 폭언임이 명백함에도# 어떠한 징계도 내리지 않는 것을 넘어, 아예 피해자 이메일을 통해 항의하니까 "트위터 운영원칙을 위반하지 않았다는 어처구니 없는 대답까지 나왔다.# 현재까지도 해당 혐오 트윗은 삭제되지 않는 상태이다.

쉽게 말해서 트위터 코리아는 대놓고 다수자가 '특정' 소수자에게 욕설을 섞어서 전통적인 편견과 혐오를 담은 폭언을 해도 징계를 내리지 않으면서, '특정' 대상조차 없는 한남 발언 하나로 징계를 내리고 있는 것이다. 나무위키, 리브레 위키등 남초 중심 위키에서는 트위터가 페미소굴이고 관리자도 페미 중심적이라고 헛소리하고 있지만 실상은 정반대라는 것.

참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