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최근 편집: 2022년 12월 24일 (토) 12:24
수동문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2월 24일 (토) 12:24 판

주식회사의 소유권에 대한 지분이다. 상장회사의 주식은 일반인에게 매각가능하고, 주식발행은 기업의 지분을 나눠 갖는 대신 자금을 융통할 수 있게 해주고 기업가의 위험을 줄여준다.

용도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다. 주주총회에서의 투표권은 보유한 주식 수만큼 얻는다.

주식 투자

위험성

다른 투자자산과 마찬가지로 주식 또한 기대 이윤이 높아질수록 위험 또한 높아진다. 원금이 보장되는 자산이 아니기 때문에 원금 손실의 위험이 있으며 기업이 파산할 경우 투자자의 지분은 0에 수렴(재산처분시 최후순)하기 때문에 투자한 돈이 아예 날아갈 위험까지도 있다.

투자 전략

  • 시세차익

주식을 사서 산 가격보다 비싸게 팔아 이득을 취하는 전략이다. 가장 대중적으로 선택되는 투자 방식이며 일반적으로 주식 투자라고 하면 이것을 의미한다.

  • 배당투자

회사에서 벌어들인 돈이나 보유하고 있는 자산을 주주에게 나눠주는 것을 배당이라고 한다. 이 배당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전략으로 하는 투자를 배당투자라고 한다. 예금이나 채권처럼 일정한 현금흐름이 발생하기 때문에 비슷한 성격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배당은 이자의 개념이 아니며 지급해야 할 의무도 없다.

주식 등의 현물을 배당하면 현물배당, 돈을 배당하면 현금배당이라고 하는데 대부분 주식에서 배당이라고 하면 현금배당을 의미한다.

성장해나가는 회사는 벌어들인 돈을 새로운 사업이나 회사의 발전을 위해 재사용해서 배당이 적거나 없는 경우가 많고 이미 어느 정도 성장을 마치고 안정적이고 규모있는 수익을 내고 있는 회사가 배당에 힘쓰는 경우가 많다.

  • 공매도

주식을 먼저 팔고 판 가격보다 싼 가격으로 나중에 되사는 전략이다. 하락에 베팅하는 방식이고 실제로 주식을 매도하기 때문에 주가 하락에 영향을 미친다. 먼저 주식을 팔기 위해 실재하는 주식을 빌려서 팔고 다시 사서 갚은 방식을 차입 공매도, 존재하지 않는 주식을 팔고 되사서 빌리는 과정을 생략하는 방식을 무차입 공매도라고 한다. 한국에서는 무차입 공매도가 불법이기 때문에 차입 공매도만 가능하다. 개인도 강의를 듣고 자격 요건을 갖추면 대차거래를 통해 차입 공매도를 할 수 있다.

국가별 주식

  • 미국

세계에서 가장 큰 주식 시장을 가지고 있다. 한국인이 미국주식에 투자할 경우 250만원이 넘어가는 차익에 대해서는 22%의 양도소득세를 내야 한다.

주식 가격의 결정 요인

  • 주식 시장의 수요/공급

기본적으로 주식 시장에서의 공급과 수요에 의한다. 현재의 주가는 미래의 주식 가격에 대한 기대를 반영한다. 오를 것이라고 예상되는 주식은 가격이 상승하고, 내릴 것이라고 예상되는 주식은 가격이 하락한다.

  • 대체자산의 영향

채권수익률이 상대적으로 상승할 경우, 예를 들어 채권투자가 증가하면 주식투자가 감소하고 주가가 감소한다. 금리가 하락할 경우, 따라서 대체자산 수익률이 저하되면 주식투자가 증가하고 주가가 상승한다.

주식시장에서의 기대

  • 효율시장가설(the efficient market hypothesis) : 주식에 현재 판단가능한 모든 정보가 반영되어있다고 보는 가설(미래가 아님) 주가 변동은 새로운 정보가 관찰되어 가격에 반영되는 현상이라고 본다. 새로운 정보는 예측 불가능한 정보이며, 예측 가능한 정보는 이미 주가에 반영되어 있다. 인간이 예측 불가능한 정보는 랜덤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 랜덤한 것이 반영되면 Random walk라고 불리우는데, 실제로 주가 변동의 모양새가 랜덤워크와 유사하기도 한다. 이는 시장의 정보처리능력을 매우 신뢰하는 입장이다.
  • 비합리적 시장(Irrational Market) : 주가가 체계적으로 비정상적 행태를 보일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주가 변동 뿐이 아니라 개인 투자자들의 투자행태도 비정상적 행태를 지니고 있다고 본다. 주가의 과도한 변동폭은 합리성 가설하에서 설명이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