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지촌

최근 편집: 2023년 4월 13일 (목) 19:14

대개 대한민국에서 6·25전쟁 이후 주둔해 온 미군기지를 중심으로 형성된 생활권을 칭한다. 미군의 외출과 외박이 허용된 1957년부터 급격히 번창하기 시작하였다. 기지촌은 다른 지역에서 이주해 온 피난민·영세민·성매매 여성·군노무자·군납업자·상인 등이 모여들어 새롭게 형성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국 정부는 1950년대부터 이미 체계적으로 기지촌 여성을 관리, 통제하였다.

기지촌 관련 정책

기지촌 관련 노동자

성노동자

전국미군종업원노조연맹[1]

정식 명칭은 "전국외국기관노동조합연맹"(全國外國機關勞動組合聯盟, 이칭: 전국미군종업원노조연맹, 전국외국기관노동조합)이다.

기지촌 내에 주한미군이 고용하는 한국인 노동자들이 점차 많아지고 사용주와 근로자간의 마찰이 생기게 되자 부산지역을 시작으로 전국 미군 주둔지역에 지역별노조의 설립이 확산되었다. 1959년 11월 8일 서울, 파주, 동두천, 부평, 인천, 부산지구 등 6개 미군노조 산하 조합원들은 ‘전국미군종업원노조연맹’을 결성해 미군 종업원의 권익수호와 생활수준 향상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노조연맹은 1961년 5.16 쿠데타로 해산 되었다가 같은 해 8월 3일 공포된 법률 제672호 " 근로자의단체활동에관한임시조치법"에 의하여 ‘전국외국기관노동조합’으로 명칭을 바꾸어 전국단위 산업별 노동조합 체제로 재건 조직되어 전국적으로 활동하였다.

1963년 8월 23일 전국외국기관노동조합이 산하 16개 지부로 재결성되었으며, 그 후에 주한미군 산하의 하청업체와 외국인투자업체의 가입으로 다시 산하에 15개의 비직속 지부를 포함하게 되어 외국기관노조로서의 체계를 갖추고 활동하게 되었다.

그 뒤 주한미군의 일부 철수에 따른 조합원 감축과 국가보위법·긴급조치 등으로 활동이 위축되었으나, 지속적인 노력으로 활동을 전개하여 조합원들의 권익 향상과 노동조건을 개선하였다.

1981년 노동조합법의 개정으로 단위사업체별 노조로 체계가 바뀌자, 1981년 2월 27일 제19차 전국대회에서 규약을 변경하여 전국외국기관노동조합연맹으로 개칭하였다. 1990년 한국노총 산하의 산별노조로서 산하에 주한미군노동조합을 비롯하여 80여 개 조합과 5만 여명의 조합원을 확보하였다.

2009년 현재 전국외국기관노동조합연맹의 조직은 주한미군 노동조합 조합원이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밖에 경남지역본부(마산자유무역 제조업체) 6개 노동조합, 외자투자기업(외국상사업체) 12개 노동조합, 용역업체 4개 노동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군사노동자(미군)

기지촌의 분포

서울

영등포

용산 일대

경기

평택

파주

  • 용주골[2]
    • 법정 명칭은 파주읍 연풍1리다.
    • 1970년 기준 파주의 220 개 리 중 35개 리가 기지촌으로 분류되었고 인구 수 기준으로는 16.4만 명 중 약 4.8만 명으로 파주시 전체 인구의 약 30%가 기지촌에 거주했다. 인구수가 가장 많은 10개 리 중 절반이 기지촌이었는데 용주골의 인구는 약 4,700명으로 35개 기지촌 중 가장 많았다.
    • 1960년 대 용주골 상업시설을 업종별로 분류하면 식료/잡화점(17%), 양품점(8%), 양복점(8%), 클럽 (7%), 선술집(6%) 순으로, 대부분의 업종이 서비스업이었다.
    • 용주골은 대추골/대추벌(연풍2리)와 혼동 되기도 하는데, 용주골이 기지촌으로서 발달했고 미군을 상대하는 각종 상업과 서비스 업소가 자리했다면 대추골은 한국인 대상 성매매 집결지로 미군 출입이 금지되었다.
    • 2023년 현재 파주시장 김경일이 파주 내 성매매집결지 폐쇄를 선포하면서 연풍리 성매매집결지 종사자 200여명이 지난 3월 23일 생존권 보장을 촉구하고 집결지 해체 중단을 요구하는 검정 소복 시위를 진행하였다.[3]

동두천

양주

포천

인천

강원도

춘천

원주

충청도

대전

전라도

군산

경상도

대구

포항

칠곡

부산

같이 보기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