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움말:문서 구조

최근 편집: 2017년 4월 17일 (월) 01:41
낙엽1124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4월 17일 (월) 01:41 판 (→‎참조)

문서 구조에서는 페미위키에서 많이 쓰이는 문서 구조를 보여주고 설명합니다. 이러한 문서 구조를 직접 만드는 것에 대해서는 도움말:문서 구조 만들기 문서를 살벼 보세요.

문서 구조을 통일하는 것은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는 문서들을 읽기를 한결 수월하게 해 줍니다. 하지만 이는 반드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문서 구조보다 더욱 내용에 어울리는 방법이 있다면 그 방법을 따라도 좋습니다.

지금 읽고 계신 단락[주 1], 즉 문서의 제일 앞 부분을 바로 개요 단락이라고 합니다. 개요 단락에는 문서 전체의 내용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나 사전적 정의 등을 적습니다. 그리고 가끔은 개요 단락의 위쪽에 네모로 감싸인, 문서를 읽을 때 같이 알아두면 좋은 정보가 같이 적히기도 합니다. 지금도 이 글의 위쪽에는 이 문서가 페미위키 도움말이라는 것을 알리는 상자가 있습니다.

또한, 개요 단락의 아래에는 목차가 있습니다.

목차는 문서의 단락들을 소제목들로 요약하여 나타내어줍니다. 또한 목차는 소제목을 클릭하는 것으로 각각의 단락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하여 줍니다. 하지만 목차는 단락 수가 적은 문서에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소제목

문서의 여러 단락들은 위와 같이 소제목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이러한 단락 구분들은 여러 주제의 내용들을 구조를 만들어가며 서술하고 정리하는 것에 도움을 줍니다. 단락은 꼭 한 문단으로만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여러 문단이 들어있을 수도 있습니다.

소제목 1-1

단락은 여러 단계를 가질 수 있으며 이 단락은 글이 두 번째 단계로 작성됐을 때 모습을 보여줍니다. 두 번째 단계인 문단들은 논리적으로 첫 번째 단계의 아래에 자리하는데, 이는 목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제목 1-1-1

이 단락은 세번째 단계입니다.

파일:페미위키.jpeg
페미위키 아이콘.

문서에는 종종, 위 혹은 오른쪽에 보이는 것처럼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소제목 1-2

소제목의 앞 쪽에는 숫자(머릿글 번호)가 매겨져 있습니다. 혹시 이 숫자가 보고 싶지 않다면 환경설정에서 문서 보이기 설정을 고칠 수 있습니다.

소제목

문장에 윗첨자로 글씨가 적혀 있을 때도 있습니다.[2] 이 조그만 글씨는 눌러서 내용을 볼 수 있는데, 문장의 출처를 밝히거나[3], 본문에 담기에는 약간 관련이 없는 내용을 적을 수 있습니다.[주 2]

같이 보기

같이 보기 단락에는 같이 보면 좋을만한 페미위키 안의 다른 문서들이 실려 있습니다.

바깥 고리

이곳에는 관련 있는 외부 링크들을 적혀 있습니다.

  1. 단락이란 긴 글을 내용에 따라 나눌 때, 하나하나의 짧은 이야기 토막을 부르는 말입니다.[1]
  2. 이 글을 읽지 않고 넘어가도 된다는 것을 뜻합니다.

'부연 설명'은 문서 내용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을 담습니다.

참조

출처는 이 소제목에 모아둡니다.

  1. “단락”. 《표준국어대사전. 2017년 3월 10일에 확인함. 
  2. 출처 예시
  3. 출처 예시


이 아래에 보이는 분류라는 이름의 이것은 분류 체계를 따른 문서 분류 정보입니다. 클릭하면 관련 문서로 이동하여 원하는 분류에 속한 문서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