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최근 편집: 2018년 4월 25일 (수) 08:28
낙엽1124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4월 25일 (수) 08:28 판 (문단들을 재구성하고 개요문 추가 작성했습니다)

임신아이를 배는 일 혹은 아이를 배서 출산하기까지 체내에서 기르는 과정을 말한다. 임신 과정은 주로 성행위로 시작하여 266~280일 동안 여성의 몸과 정신에 많은 변화와 고통을 주고 출산으로 막을 내리거나, 혹은 임신중절이나 유산으로 중단되기도 한다. 이 때 진화생물학적으로 임신 기간 중 산모는 태아와 계속해서 충돌한다.

여성의 고통을 흔히 경시하는 한국에서는 여성에게 임신에 대한 일방적인 고통을 강요하며, 이러한 경험의 공유를 꺼리고,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생리적 변화조차 명확하게 알려주지 않는다.

임신 과정

  • 임신기간: 마지막 생리일 1일부터 분만일까지 약 280일, 수정일로부터 분만일까지 약 266~267일.

임신

임신이 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피임을 하기도 한다.

임신 중의 변화

임신에는 필연적으로 적지 않은 신체적, 심리적인 변화와 고통이 따르며 이는 여성의 몸에 심각한 타격을 준다. 또한 이에 따라 약물 복용이 제한되기도 한다. 다음을 참고할 것 임신 중 복용하면 안 되는 약물

생식기계

  1. 자궁 무게의 증가 : 평균 50~60g이던 자궁의 무게는 임신 말기 1100g, 대략 1kg으로 증가하게 된다. 자궁의 무게 증가로 뒤따르는 현상들은 다음과 같다.
    1. 우선회 : 임신 중 자궁이 오른쪽으로 살짝 치우치는 것.
    2. 브락스톤힉스 수축 : 임신 12주 이후 자궁이 불규칙적인 무통성 수축을 하게 된다. 배가 땡긴다 라고도 말한다.
  2. 자궁 혈류량의 증가 : 임신 후 자궁의 혈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데, 임신 말기에는 전체 혈액량의 6분의 1이 자궁에 모이게 된다.
    1. 저혈압 : 이때 앙와위 자세를 하면(천장을 보고 눕는 것) 저혈압이 올 수 있음.
    2. 자궁수축상태
    3. 모체 동맥압
  3. 자궁 경부의 변화 : 자궁 경부가 부드럽고 창백해지며 점액전이 형성되어 출산을 앞두고 이슬이 맺히기도 함.
  4. 질염 감염률 증가
    1. 경부 및 질 분비물이 증가하여 질구 산도가 낮아져 모닐리아 질염(칸디다균의 감염으로 발생하는 질의 염증)에 걸리기 쉬워진다.
    2. 글리코겐이 풍부해서 곰팡이에 의한 질 감염 가능성도 증가한다.
  5. 난소 : 임신 중 배란을 중지하며, 새로운 난포 성숙도 정지한다. 황체가 마지막 생리 이후 6~7주경 최대 크기가 된 후 점차 퇴축하여 임신초기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여 임신을 유지한다.
  6. 유방 : 크기가 커지고 유두와 유륜의 색소침착이 심해진다.
  7. 자궁 저부(윗부분)의 높이 변화 : 임신 개월에 따라 달라진다.
    1. 임신 12주 : 치골 결합 높이
    2. 임신 16주 : 배꼽과 치골 결합의 중간 높이
    3. 임신 20주 : 배꼽에서 손가락 두 개 굵기를 뺀 높이
    4. 임신 22~24주 : 배꼽 높이
    5. 28주 : 배꼽에서 손가락 두 개 굵기를 더한 높이
    6. 32주 : 검상돌기(갈비뼈의 가운데)와 배꼽의 중간 높이
    7. 36주 : 검상돌기 높이
    8. 40주 : 32주의 높이

피부계

  1. 임신선 : 진피가 늘어나면서 균열이 생기는 임신선이 생긴다. 유방에도 생길 수 있다.
  2. 색소침착 : 피부 곳곳에 색소침착이 심해진다.
  3. 가려움증 : 비염증성 소양증(가려움)이 생긴다.
  4. 여드름, 털, 피지선, 한선 및 모낭의 활동이 증가한다.

심혈관계

  1. 심박출량 : 33~45%정도 증가한다.
  2. 혈액량 : 30~50%정도 증가하여 약 1500cc가 증가한다.
  3. 빈혈 : 적혈구가 30% 증가하나 헤모글로빈과 헤마토크릿 감소로 생리적 빈혈이 나타난다.
  4. 혈액응고 촉진 : 혈액응고 인자의 증가로 혈액응고가 촉진된다.
  5. 혈압 : 혈압이 떨어져서 임신 24~26주에 최저로 감소하며 이후에는 증가한다.

호흡기계

에스트로겐의 증가로 호흡기계 내의 활동이 전체적으로 증가한다.

  1. 횡격막이 위로 4cm정도 상승해서 호흡을 효율적으로 만든다.
  2. 1회 호흡량이 증가하여 임신 말기에는 약 40%가 증가한다.

대사변화

  1. 기초대사량 : 기초대사량이 증가한다.
  2. 체중 : 9~17kg 정도, 평균 12.5kg이 증가한다.
  3. 다리 부종 : 임신 말기에는 눌러도 돌아오지 않을 정도로 부종이 심해지기도 한다.
  4. 각종 대사 : 단백질 대사와 탄수화물 대사가 증가한다.
  5. 당뇨 : 인슐린 분비가 증가하는 일종의 당뇨병 상태가 된다. 이때 당뇨가 검출될 수 있으나 단백뇨는 음성이어야 한다.
  6. 인슐린 저항 증가 : 말초 세포의 인슐린 저항이 증가해 인슐린 민감성이 비임신시보다 감소한다.

비뇨기계

  1. 당 검출 : 사구체여과율이 증가하여 당이 검출되기도 한다.
  2. 심장혈류 : 심장으로 오가는 혈류가 증가한다.
  3. 뇨관 확대 : 자궁이 오른쪽으로 치우쳐져 있으므로 특히 오른쪽 뇨관이 확대된다.
  4. 빈뇨 : 방광 tone의 감소로 임신 초기와 말기 빈뇨 현상을 보인다.

근골격계

  1. 요추만곡 : 목이 앞으로 구부러진다.
  2. 손목 수근관 증후군 : 수근 터널 내 정중신경의 압박으로 손목과 손의 통증을 수반하는 수근터널증후군이 생긴다.
  3. 복직근 이개  : 복근의 가운데가 갈라진다. 출산 후 약 6개월이 지나면 60~70%정도만 회복된다. 완전한 회복을 위해서는 출산 후 지속적인 복부 관리가 필요하다.
  4. 배꼽 탈장배꼽 위치 변경 : 배꼽 탈장의 가장 큰 원인은 임신과 출산으로, 건강보험심사 평가원의 통계에 의하면 30대 여성이 가장 많다. 배꼽 주변의 근막이 늘어나면서 약해지고 복압이 상승하면서 발생한다.

소화기계

  1. 세포 부종 : 세포가 전반적으로 부종의 상태가 된다.
  2. 입덧(morning sickness) : 입덧의 원인은 hCG이다. 입맛에 변화가 생기고 계속토하기도 한다. 이 경우에는 입원을 요한다.
  3. 내장 완화 : 식도가 역류하고, 소화시간이 길어진다.
  4. 소장 : 철분 흡수가 증가한다.
  5. 대장 : 수분 흡수가 증가한다.
  6. 담석 : 담즙 배설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담석 발생 가능성이 증가한다.

내분비계

시상하부 뇌하수체에서 호르몬 변화가 일어난다.

  1. 프로락틴 : 젖분비 호르몬인 프로락틴의 분비가 증가한다.
  2. FSH, GH, LH : 성선 관련 호르몬인 FSH, GH, LH의 분비는 감소한다.
  3. MSH : 멜라닌 색소자극호르몬(MSH)의 분비가 증가한다.
  4. 옥시토신 : 옥시토신의 분비가 증가한다.
  5. 난소 : 난소에는 황체가 발달하고, 감상선, 부갑상선, 부신선이 증가한다.

면역기능

반 동종이형 태아이식에 적응하기 위하여 면역기능이 억제된다. 그러나 IgA,IgG는 증가하게 된다.

기타

임신과 관련하여 피로가 많이 나타난다.[1] 임신동안의 피로는 임신과 관련되어 에너지를 소모하고 대사의 변화를 가져오는 과정에서 생리적, 심리적 적응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1]

임신 개월수 별 특징적 변화

시기 산모 태아
4주 장기형성기간
12주
14주
16주 태동, 태아심음 청취 가능
20주
22주 자궁저 높이: 배꼽 계면 활성제 생산 시작[주 1]
24주
28주 고환 하강 시작
32주
36주 자궁저높이:검상돌기(갈비뼈 가운데)

양수 감소 시작

40주 아기 신장 : 36cm(머리-궁둥이)

아기체중 : 3.0~3.6kg

임신초기증상

임신 초기에는 월경중지, 피로, 오심구토, 유방의 변화, 빈뇨를 겪는다. 다음을 참고할 것 임신초기증상

임신 종료

임신과정은 출산, 유산 혹은 인공적인 수단의 임신중절로 종료된다.

  • 분만예정일(EDC):마지막 생리일에 9개월을 더하고 7일을 더하면 된다.

태아와 산모 간의 생리적 충돌

흔히, 임신 중인 산모와 태아는 어떠한 갈등도 없이 목표를 공유하는 공동체로 인식되며 소위 '숭고한 모성'의 일면으로 미화되곤 한다. 하지만 진화생물학적 측면에서 태아와 산모 간의 이해 관계는 완전히 일치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충돌이 존재한다.[2] 태아의 발달이 기생의 과정과 상당한 일치를 보인다는 이론도 연구중이다.

예를 들어 태아는 산모의 동맥혈로부터 영양분을 공급 받기 때문에, 태아 입장에서는 산모로부터 조금이라도 더 많은 영양분을 받아내는 것이 중요한 반면, 산모 입장에서는 자신의 건강을 크게 해치지 않는 수준에 한하여 태아에게 영양분을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두 개체(태아와 산모) 사이에 이해 관계의 충돌이 발생한다. 실제로 태아는 인간태반성락토젠(hPL; human placental lactogen)을 분비하여 산모의 혈당량을 높이며, 산모는 이에 대한 방어책으로 인슐린을 분비한다. 산모가 인슐린을 충분히 만들지 못하는 경우 임신성당뇨병에 걸리며, 이는 산모에게나 태아에게 모두 치명적이다.[3]

또다른 사례로 인간융모성생식선자극호르몬(hCG; human chorionic gonadotropin)은 태아가 만들어 산모의 혈류 속으로 분비하는 또다른 호르몬인데, 결과적으로 월경을 막아 태아의 착상을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hCG는 임신의 지속 여부를 두고 산모와 태아 사이에 벌어지는 다툼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수정란 가운데 상당수는 착상이 되지 않거나 임신 초기에 자연유산되는데 이렇게 유산된 배아의 대다수는 염색체에 이상이 있다. 산모에게는 비정상적인 배아를 탐지하여 유산시키는 메커니즘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2] 태아 입장에서는 자신의 건강을 증명하기 위해 다량의 hCG를 만들어 분비할 필요가 있으며, 이렇게 과다 분비되는 hCG는 임신 중 헛구역질 및 구토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3]

또한 발달 상의 문제가 있는 배아는 자궁내막세포의 스트레스 반응을 유발하며 결과적으로 착상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는 착상 단계에서 일어나는 모체의 능동적 선택 메커니즘의 일부이다.[4]

임신검사

임신검사: 엄마의 소변이나 혈액에 분비되는 hCG를 확인한다.

시기 진단검사
9주 초음파:
목덜미투명대 두께

모체혈액검사:
hCG, AFP, uE3, inhibin-A

융모막검사
11주
12주
14주 양수검사
18주
20주

인식

여성의 고통을 흔히 경시하는 한국에서는 여성에게 임신에 대한 일방적인 고통을 강요하며, 이러한 경험의 공유를 꺼리고,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생리적 변화조차 명확하게 알려주지 않는다.

같이 보기

부연 설명

  1. 아기의 폐포 붕괴를 막도록 계면 활성제가 생산된다.

출처

  1. 1.0 1.1 정금희, 김신정 (2000). 임신기간에 따른 임부 피로 자각 정도의 차이.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3), 731-740.
  2. 2.0 2.1 Randolph M. Nesse; George C. Williams (2012년 2월 8일). 《Why We Get Sick: The New Science of Darwinian Medicine》.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ISBN 978-0-307-81600-9. 
  3. 3.0 3.1 Haig, David (1993). “Genetic Conflicts in Human Pregnancy”. 《The Quarterly Review of Biology》 68 (4): 495–532. doi:10.1086/418300. ISSN 0033-5770. 
  4. Brosens, JanJ.; Salker, MadhuriS.; Teklenburg, Gijs; Nautiyal, Jaya; Salter, Scarlett; Lucas, Emma S.; Steel, Jennifer H.; Christian, Mark; Chan, Yi-Wah; Boomsma, Carolien M.; Moore, Jonathan D.; Hartshorne, Geraldine M.; Šućurović, Sandra; Mulac-Jericevic, Biserka; Heijnen, Cobi J.; Quenby, Siobhan; Groot Koerkamp, Marian J.; Holstege, Frank C. P.; Shmygol, Anatoly; Macklon, Nick S. (2014). “Uterine Selection of Human Embryos at Implantation”. 《Scientific Reports》 4 (1). doi:10.1038/srep03894. ISSN 2045-2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