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어

최근 편집: 2018년 7월 10일 (화) 16:17
Yonghokim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7월 10일 (화) 16:17 판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가져와서 수정 https://ko.wikipedia.org/wiki/%EC%8A%A4%ED%8E%98%EC%9D%B8%EC%96%B4)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스페인어 사용인구 분포도

스페인어로망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오늘날 중국어 다음으로 가장 많은 5억 7천만 명의 인구가 스페인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가장 빠른 속도로 사용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멕시코, 스페인, 미국을 포함한 22개 국가에 주요 사용 인구가 위치 해 있다 스페인어는 국제 연합의 여섯 개 공식 언어 중 하나이기도 하다.

스페인 북부 지역에서 기원하여 카스티야 왕국에서 점차 퍼졌으며, 이후 이베리아 반도에서 통치와 상업의 제 1언어로 발전했다. 15 ~ 19세기 스페인 제국의 확장과 함께 아메리카 대륙에 특히 널리 퍼졌으며, 아프리카아시아 태평양 지역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 스페인어는 현재 포르투갈, 브라질을 제외한 라틴아메리카, 미국, 적도 기니, 필리핀, 서사하라 등의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문자는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남미의 남반구 일대 (칠레, 아르헨티나, 파라과이, 페루, 우루과이)에서는 스페인어보다 "카스테야노" (카스티야 지역의 언어라는 의미)라는 명칭을 더 즐겨 쓴다. (스페인 본국에 대한 약간의 거부감도 함께 담겨있다.) 한국어권에서 한자문화권을 통해 서구를 처음 접한 조선 말기-일제 시대에는 서반아어라는 표현을 썼으며, 외래어 표기법이 원음을 중시한 1970년대에는 에스파냐어라는 표현을 사용하다가 1990년대 들어 스페인어로 확립되었다. 남미나 스페인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상태에서 미국으로 이주 한 후 라티노 민족을 자의반 타의반 접하게 된 미주 한인들의 경우, 스페니쉬라는 영어 단어를 발음 그대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주 1]

스페인어를 배워보자!

기본 표현

  • Hola, ¿cómo está? 안녕하세요, 잘 지내십니까?
  • ¿Dónde está la biblioteca? 도서관은 어디 있나요?
  • Me llamo _____. Mucho gusto. 제 이름은 000 입니다. 만나서 반갑습니다.
  • Yo vengo de Corea. Corea del Sur. 한국에서 왔습니다. 남한에서요.
  • Disculpe. 죄송합니다
  • No puedo hablar tan bien el idioma. 저는 스페인어를 잘 못합니다.
  • Gracias. 감사합니다.
  • ¡Felicidades!
  • ¿Conoce usted la canción Gangnam Style? 강남스타일이라는 노래 아세요?

부연 설명

  1. 스페인어라는 단어를 아예 모른 채 이주했다가 일단 어떻게든 표현을 해야 하는 상태에서 다른 영어권 주민들이 사용하는 "스페니쉬(Spanish)"라는 표현을 별 생각 없이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민족을 지칭하는데도 별 생각 없이 스페니쉬라는 표현을 쓰는 모습도 자주 보인다.

Lua 오류: 자기자신으로 분류할 수 없습니다.도움말:문서 분류하기를 참고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