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즈비언

최근 편집: 2023년 8월 30일 (수) 20:33
Zoom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8월 30일 (수) 20:33 판

레즈비언(lesbian)은 여성 동성애자를 일컫는 말이다. 보통 줄여서 레즈, L이라고도 말한다. 최근 비언이라 부르는 움직임도 있다.

역사

많은 문화권에서 전통적으로 여성 동성애남성 동성애만큼 법적 처벌을 받지는 않았다. 그 대신 여성 동성애는 그 존재 자체가 완전히 배제되는 경우가 많았다. 역사적으로 남성에 대한 남성의 사랑은 고대 그리스 시대의 ‘소년애’ 등 가시화된 경우가 많았다. 구약성경 레위기에도 남성 동성애자에 대한 금령은 적혀져있지만, 레위기에는 여성 동성애자에 대한 금령은 없다. 이에 대해 개그논이라는 신학자는 ‘당시 이스라엘 사회에서는 여성 동성애자에 대해 알려진 것이 없었고, 그래서 별도로 규정할 필요도 없었다. 당시 이스라엘 사회에서는 여자의 정절을 매우 귀중히 여겼기 때문에 여자들의 동성애가 지속될 수 없는 상황이었다’[1]고 주장하기도 했다. 확실히 여성 동성애자도 일단 ‘여성’이었기 때문에, 우리의 레즈비언 선조들은 (그들이 존재했다면) 남성 동성애자보다 더 가정적이고 관습적이며 성적으로 일부일처제에 순종하라는 사회적 압력을 더 강하게 받아왔을 가능성이 높았다. 하지만 성적인 측면과 경제적인 측면 모두에서 크게 억압받는 ‘여성’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레즈비언에게 영광스럽게 확장시킬만한 역사와 선조들이 아주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가장 유명한 레즈비언의 역사적 사례 중 하나는 고대 그리스 레스보스섬의 여성 동성애에 대한 이야기일 것이다. 고대 그리스 시대에도 남성 동성애에 비하여 여성 동성애는 공적으로 금지된 것은 아니지만 드러내놓고 즐길 수 있는 것도 아니었으며, 아무런 사회적 위상을 갖지 못하고 도착된 것으로 매도당하고 억압되거나, 지극히 제한적이고 예외적인 행위로 받아들여졌으나, 어쨌거나 고대 그리스 시대에는 여성 동성애에 관한 이야기가 빈약하게나마 존재했다. 고대 그리스에서 여성 동성애의 대명사는 사포Sappho였다. 사포는 기원전 600년경에 다른 여성들을 사랑하는 내용의 시를 쓴 여성 시인으로, 그녀의 고향인 레스보스섬의 이름을 따서 여성 동성애자를 레즈비언Lesbian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하지만 이 레즈비언이라는 단어는 오랜 세월이 흐른 뒤에야 지금의 의미를 갖게 된 것으로, 레즈비언이라는 말이 대중화되기 전에는 ‘트리버드(Tribade, 시저링(가위치기: 서로의 클리토리스를 마찰시키는 체위)를 뜻하는 옛 용어인 ’트리바디즘(Tribadisme)과 연관된 단어)’와 ‘사피스트(Sapphist, 앞서 나온 시인 사포에서 비롯된 단어)’가 쓰이곤 하였다.

레즈비언은 영광스럽게 확장시킬 만한 역사와 선조들을 찾기 어렵다고 여길 수 있지만, 우리의 세계사에서 레즈비언으로 해석할 수 있는 인물들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

페미니즘과 레즈비언

문화주의 페미니즘

문화주의 페미니즘은 여성을 사랑하는 여성은 모두 레즈비언이라고 규정하면서, 여성과 섹스를 했느냐가 아니라 그 여성이 저항적 실천을 했느냐가 문제이므로 따라서 페미니스트들은 모두 레즈비언이라고 주장했다. 다음을 참고할 것 정치적 레즈비어니즘

이러한 주장은 소수자의 언어를 빼앗는 성소수자 혐오라는 비판을 받는다.

생활

레즈비언 클럽(Lbar)

남성 출입 금지이다. 게이바가 여성 출입이 허용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레즈비언의 섹스

  • 보통 손가락을 이용하며 섹스토이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 손가락을 이용할 때도 위생이나 상처 방지를 위해 콘돔을 꼭 사용해야 하는데, 손에 착용하는 핑거콘돔을 사용하면 좋다.
  • 레즈비언 성관계로 인한 에이즈 감염률은 타 관계에 비해 극단적으로 낮다.

관련 작품

국내 작품

영화

드라마

단행본

해외 작품

함께 보기

  1. 김진규 (2017년 3월 11일). 《최근 동성애 논쟁의 주요 쟁점들: 제임스 브론슨의 동성애 관련 구약 본문 해석에 대한 비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