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가상각

최근 편집: 2024년 5월 9일 (목) 21:39
낙엽1124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5월 9일 (목) 21:39 판 (졸리즘(토론)의 편집을 낙엽 봇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개념

토지를 제외한 건물, 비품, 차량운반구 등의 유형자산은 사용하거나 시일의 경과에 따라 그 가치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는데, 이와 같은 가치의 감소액을 감가라 하고, 이를 해당 유형자산에서 감소시키는 절차를 감가상각이라 하며, 기말 결산시 이를 비용으로 계상한 것을 감가상각비라 한다.[1]

요소

  1. 취득 원가 : 유형자산의 실제 취득 가격 + 부대비용(중개인 수수료 등)
  2. 내용 연수 : 유형자산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추정되는 사용연수를 말한다.
  3. 잔존 가치 : 내용연수가 경과한 후의 추정되는 최종 장부 금액을 말한다.

출처

  1. 회계원리 필기 3급( K-IFRS), [경영정보미디어]. P140~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