뤼스 이리가레

최근 편집: 2016년 9월 26일 (월) 09:11
탕수육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9월 26일 (월) 09:11 판 (잡담...!?)

Luce_Irigaray를 번역한 문서입니다. 임시로 다음과 같은 규칙을 정해보았습니다.

  • 번역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영한 대조를 위해 원문을 남겨놓고 번역문을 각 단락 아래에 추가하는 방식으로 작업
  • 제목은 원문 뒤에 괄호치고 번역문을 병기
  • 번역이 끝나면 병기된 원문을 삭제

--탕수육 2016년 8월 19일 (금) 08:07 (KST)

생애, 검경, 참고문헌 단락은 제가 추가했습니다. 탕수육님의 번역이 끝나면 이 서명을 지워 주십시오.— 로네 Ronne (토론) 2016년 9월 26일 (월) 04:57 (KST)

앗 저의 번역은 아닙니다. 저는 저 위의 번역 규칙만 적었어요 :) --탕수육 2016년 9월 26일 (월) 09:11 (KST)

틀:BLP sources 틀:Infobox philosopher

Luce Irigaray (틀:IPA-fr; born 3 May 1930) is a Belgian-born French feminist, philosopher, linguist, psycholinguist, psychoanalyst and cultural theorist. She is best known for her works Speculum of the Other Woman (1974) and This Sex Which Is Not One (1977).

뤼스 이리가레(Luce Irigaray, 1930년 3월 3일)는 벨기에에서 태어난 프랑스페미니스트, 철학자, 언어학자, 심리언어학자, 정신분석학자 그리고 문화 이론가이다. 저작 『타자 여성의 검경/다른 여성의 검시경』 (Speculum of the Other Woman, 1974)와 『하나가 아닌 성』(This Sex Which is Not One, 1977)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Education (학력)

Luce Irigaray received a bachelor's degree from the University of Louvain in 1954 and a master's degree from the same university in 1956 and taught at a high school in Brussels from 1956 to 1959.

뤼스 이리가레는 1954년 류벤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1956년에 동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1956년에서 1959년까지 브뤼셀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In 1960 she moved to Paris to pursue a master's degree in Psychology from the University of Paris, which she earned in 1961, she also received a Diploma in Psychopathology from the school in 1962.

그는 파리 대학교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 1960년에 파리로 떠났으며, 1961년에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또한 1962년에는 정신병리학으로 디플로마를 받았다.

In the 1960s, Irigaray started attending the psychoanalytic seminars of Jacques Lacan and joined the École Freudienne de Paris, directed by Lacan.

1960년대에 이리가레는 자크 라캉의 정신분석학 세미나에 참석하기 시작했으며 라캉이 이끄는 파리 프로이트 학회에 합류하였다.

She later gained a PhD in Linguistics, and eventually a second PhD in Philosophy featured a critique of Freud's position on femininity.

나중에 이리가레는 언어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그 이후에는 여성성에 대한 프로이트의 입장 비판으로 철학에서 두 번째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She held a research post at the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since 1964,[1] where she is now a Director of Research in Philosophy.

1964년에는 프랑스국립과학연구센터에서 연구 조사를 수행했고, 현재는 같은 연구센터에서 철학 연구 디렉터를 맡고 있다.

Her initial research focused on dementia patients, about whom she produced a study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anguage of male and female patients.

이리가레의 초기 연구는 치매 환자에 집중하고 있으며, 치매 환자 연구를 통해 남성과 여성 환자 간 차이점에 관한 연구를 이끌어 냈다.

Noted also is that in her writings, Irigaray has stated a concern that an interest in her biography would affect the interpretation of her ideas as the entrance of women into intellectual discussions has often also included the challenging of women's point of view based on biographical material.[2] Her most extensive autobiographical statements thus far are gathered in Through Vegetal Being (co-authored with Michael Marder).[3]

  • 번역1: 그의 글들에서 주목하고 있는 것과 같이, 이리가레는 우려에 관해 언급했다. 그의 바이오그래피에 있는 관심사가 그의 아이디어를 해석하는 데 영향을 미칠 것에 대한/지적 논의에 여성의 도입으로서 [그의 아이디어]/종종 여성의 시각의 도전을 포함하고 있는/바이오그래피컬 메터리얼에 기초하고 있는./그의 가장 광범위한 자전적 선언은 Through Vegetal Being(Michael Marder과 공동저작)에 집결되어 있다.
  • 번역2: 이리가레는 자신의 많은 글들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자신의 바이오그래피에 나타난 관심사가 지적 논의에서 여성의 등장인 그의 아이디어를 해석하는 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를 표한 바 있다. 그의 아이디어는 종종 자전적 재료에 기초한 여성적 시각의 도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리가레의 가장 광범위한 자전적 서술/진술은 마이클 마더와 공동 집필한 Through Vegetal Being에 집결되어 있다.

Works and publications (연구 업적과 저작)

Her first major book Speculum of the Other Woman published in 1974, caused significant controversy within the Lacanian school in France and led to her losing a university appointment at the prompting of Lacan himself.[4]

이리가레의 가장 유명한 저작 『타자 여성의 검경/다른 여성의 검시경』(Speculum of the Other Woman, 1974)은 프랑스 라캉 학파 내에서 커다란 논쟁을 만들어냈고 이 논쟁은 라캉이 직접 대학에서 이리가레의 교수직을 박탈 시키는 것/임용 탈락시키는 것으로 이어졌다.

In 1977 Irigaray published This Sex Which is Not One which was subsequently translated into English with that title and published in 1985, along with Speculum. In addition to more commentary on psychoanalysis, including discussions of Lacan's work, This Sex Which is Not One also includes commentary on economics, drawing on structuralist writers such as Levi-Strauss. For example, Irigaray argues that the phallic economy places women alongside signs and currency, since all forms of exchange are conducted exclusively between men. (See the essay "Women on the Market", which is Chapter Eight of This Sex Which Is Not One.[5])

1977년에는 『하나가 아닌 성』이 출판되었고, 이어서 1985년에 영어로 번역 출판되었다. 정신분석학에 대한 코멘트를 추가하고, 라캉 연구의 논쟁을 포함한 『하나가 아닌 성』은 레비스트로스와 같은 구조주의자에 기대어 경제학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리가레는 모든 교환의 형태가 남성들 사이에서 독점적으로 수행되기에, 남근 경제는 여성을 기호와 화폐 옆에 나란히 둔다고 주장한다(『하나가 아닌 성』의 제8장 시장에서 여성 참고).

Irigaray draws upon Karl Marx’s theory of capital and commodities to claim that women are exchanged between men in the same way as any other commodity is. She argues that our entire society is predicated on this exchange of women. Her exchange value is determined by society, while her use value is her natural qualities. Thus, a woman’s self is divided between her use and exchange values, and she is only desired for the exchange value. This system creates three types of women: the mother, who is all use value; the virgin, who is all exchange value; and the prostitute, who embodies both use and exchange value.[6]

이리가레는 여성이 다른 모든 상품들과 같은 방식으로 남성들 사이에서 교환된다는 점을 지적하기 위해 칼 마르크스의 자본과 상품에 대한 이론을 차용한다. (이리가레에 따르면) 여성의 교환 가치는 사회에 의해 결정되는 반면, 여성의 사용 가치는 여성 스스로의 자연적/본질적 가치이다. 따라서 한 여성의 자아는 그녀의 사용 가치와 교환 가치로 나뉘어지며, 오로지 교환 가치로만 욕망 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세 가지의 여성을 만들어 낸다. 첫째는 그 자체로 사용 가치 전부인 어머니, 두 번째로는 오로지 교환 가치뿐인 처녀 그리고 사용 가치와 교환 가치 모두를 체현하고 있는 창녀가 그 마지막이다.

Within the same essay, “Women on the Market,” Irigaray uses additional Marxist foundations to argue that women are in demand due to their perceived shortage and as a result, males seek “to have them all," or seek a surplus like the excess of commodity buying power, capital, that capitalists seek constantly.

같은 에세이 「시장에서의 여성」에서 이리가레는, 계속해서 맑시스트 토대를 이용하면서, 여성들의 부족이 인식됨에 따라 그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남성들이 여성 모두를 가지려고 하며, 자본가들이 끊임없이 좇는 권력과 자본으로 얻는 상품의 초과와 같은 잉여를 추구한다고 설명한다.

Irigaray speculates thus that perhaps, “the way women are used matter less than their number." In this further analogy of women “on the market,” understood through Marxist terms, Irigaray points out that women, like commodities, are moved between men based on their exchange value rather than just their use value, and the desire will always be surplus – making women almost seem like capital in this case, to be accumulated. “As commodities, women are thus two things at once: utilitarian objects and bearers of value."[6]

이리가레는 여성이 사용되는 방법은 그들의 수보다도 덜 중요할 지도 모른다고 짐작한다. 맑스의 용어를 이용한 ‘시장에서’의 여성의 비유에서, 이리가레는 여성들이 상품과 같이 그들의 사용 가치보다는 단지 교환 가치에 기반해 남성들 사이에서 교환되며, 여성에 대한 욕망은 언제나 과잉이라고 지적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여성은 마치 자본처럼 축적된다. “상품처럼 여성은 한 번에 두 가지를 의미 한다, 실용적인 대상 그리고 가치의 담지자.”

Themes (테마)

Some of Irigaray's books are imaginary dialogues with significant contributors to Western philosophy, such as Nietzsche and Heidegger. However Irigaray also writes a significant body of work on Hegel, Descartes, Plato, Aristotle and Levinas, as well as Merleau-Ponty. She continued to conduct empirical studies about language in a variety of settings, research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way men and women speak. This focus on sexual difference is the key characteristic of Irigaray's oeuvre, since she is seeking to provide a site from which a feminine language can eventuate.

이라가레의 저작 중 몇 가지는 니체나 하이데거와 같은 주요한 서양 철학자들과의 상상된/허구적 대화이다. 또한 이리가레는 헤겔, 데카르트,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레비나스 그리고 메를로 퐁티에 관한 논의 역시 주요하게 다루고 있다. 다양한 배경 안에서 언어에 관한 실증적 연구를 지속하면서 남성과 여성의 발화 사이 차이점을 탐색하였다. 결국 여성적 언어가 발생하는 장소를 제공하려 한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이리가레의 전작에서 성차가 주요한 특징/중요한 부분임을 보여준다.

Criticism (비판)

Many feminists seek to criticize the perceived essentialist positions of Luce Irigaray.[7] However, there is much debate among scholars as to whether or not Irigaray's theory of sexual difference is, indeed, an essentialist one. The perception that Luce Irigaray's work is essentialist concentrates on her attention to sexual difference, taking this to constitute a rehearsal of heteronormative sexuality. As Helen Fielding states, the uneasiness among feminists about Irigaray’s discussion of masculinity and femininity does not so much reveal Irigaray’s heteronormative bias, but "arises out of an inherited cultural understanding [on the part of her critics] that posits nature as either unchanging organism or as matter that can be ordered, manipulated and inscribed upon. Hence the concern over essentialism is itself grounded in the binary thinking that preserves a hierarchy of...culture over nature."[8]

많은 페미니스트들은 이리가레의 본질주의적 측면을 비판한다. 그러나 이리가레의 성차이론이 과연 본질주의적인가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서도 많은 이견이 존재한다. 이리가레의 업적을 본질주의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은 그가 성차에 관심을 둔다는 사실에 집중하며, 이 점이 이성애규범적 섹슈얼리티의 반복이라고 지적한다. 헬렌 필딩이 언급한 것과 같이, 이리가레의 남성성, 여성성 논의에 대한 페미니즘 내부의 불쾌함/불편함은 이리가레의 이성애규범적 편견을 드러내지 않는다. 오히려 자연을 변하지 않는 유기체 혹은 지시, 조작, 새겨질 수 있는 어떤 것으로 바라보는 문화적 이해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본질주의에 대한 우려는 문화가 자연 사이에 위계를 두는 이분법적 사고에 기반한다.

W. A. Borody has criticised Luce Irigaray's phallogocentric argument as misrepresenting the history of philosophies of "indeterminateness" in the West. Luce Irigaray's "black and white" claims that the masculine=determinateness and that the feminine=indeterminateness contain a degree of cultural and historical validity, but not when it is deployed to self-replicate a similar form of the gender-othering it originally sought to overcome.[9]

W.A. 보로디는 이리가레의 논의를 서구 철학의 ‘불확정성/비결정성’의 역사를 잘못 이해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남성적인 것은 확정적/결정적인 것, 여성적인 것은 불확정적/비결정적인 것으로 이해하는 이리가레의 “흑과 백” 주장은 어느 정도 역사적, 문화적 유효성을 지니고 있으나 결국에 극복해야 하는 젠더-타자화의 비슷한 형태를 자가 복제하는 측면도 있다.

Alan Sokal and Jean Bricmont, in their book critiquing postmodern thought (Fashionable Nonsense, 1997), criticize Luce Irigaray on several grounds. They say she regards E=mc2 as a "sexed equation" because of their interpretation of her response to a question on the subject, for instance when she says "Perhaps it is. Let us make the hypothesis that it is insofar as it privileges the speed of light over other speeds that are vitally necessary to us".[10] They also take issue with the assertion that fluid mechanics is unfairly neglected because it deals with "feminine" fluids in contrast to "masculine" rigid mechanics. In a review of Sokal and Bricmont's book, Richard Dawkins[11] wrote that, "You don't have to be a physicist to smell out the daffy absurdity of this kind of argument (...), but it helps to have Sokal and Bricmont on hand to tell us the real reason why turbulent flow is a hard problem (the Navier–Stokes equations are difficult to solve)."

앨런 소칼과 장 브크리몽은 포스트모던 사상을 비판한 공동 저작 『지적 사기』에서 몇 가지 근거를 두고 이리가레를 비판했다. 이리가레가 E=mc2 성별이 정해진 방정식으로 이해한다고 지적한다. 이는 주체에 대한 질문에 이리가레가 대답한 방식의 해석 때문인데, 예를 들어, 이리가레가 이렇게 말한 것과 같다. “아마 그럴 지도 모른다. 우리에게 반드시 필요한 다른 속도들보다 빛의 속도가 더 빠른 한 말이다.” 또한 그들은 유체역학이 남성적인 것을 다루는 고체 역학에 비해 여성적인 유체를 다루기 대문에 공정하지 못한 방식으로 무시된다는 확언에 동의하지 않았다. 소칼과 브리크몽의 리뷰에서 리차드 도킨스는 이렇게 적었다, “멍청한 모순을 구별해 내기 위해 물리학자가 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소칼과 브리몽은 왜 난류가 어려운 문제인지 진짜 이유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나비에 스트로크 방정식을 풀기 난해하다).

Selected bibliography (주요 저작)

Books (단행본)
  • Irigaray, Luce (1974). 《Speculum of the Other Woman》.  (Eng. trans. 1985 by Gillian C. Gill)
  • Irigaray, Luce (1977). 《This Sex Which Is Not One》.  (Eng. trans. 1985)
  • Irigaray, Luce (1979). 《And the One Doesn't Stir without the Other》.  (Eng. trans. 1981)
  • Irigaray, Luce (1980). 《Marine Lover: Of Friedrich Nietzsche》.  (Eng. trans. 1991 by Gillian C. Gill)
  • Irigaray, Luce (1982). 《Elemental Passions》.  (Eng. trans. 1992)
  • Irigaray, Luce (1983). 《Belief Itself》. 
  • Irigaray, Luce (1983). 《The Forgetting of Air: In Martin Heidegger》.  (Eng. trans. 1999)
  • Irigaray, Luce (1984). 《An Ethics of Sexual Difference》.  (Eng. trans. 1993 by Gillian C. Gill)
  • Irigaray, Luce (1985). 《To Speak is Never Neutral》.  (Eng. trans. 2002)
  • Irigaray, Luce (1987). 《Sexes and Genealogies》.  (Eng. trans. 1993 by Gillian C. Gill)
  • Irigaray, Luce (1989). 《Thinking the Difference: For a Peaceful Revolution》.  (Eng. trans. 1993)
  • Irigaray, Luce (1990). 《Je, tu, nous: Towards a Culture of Difference》.  (Eng. trans. 1993)
  • Irigaray, Luce (1990). 《I Love to You: Sketch for a Felicity Within History》.  (Eng. trans. 1993)
  • Irigaray, Luce (1994). 《Democracy Begins Between Two》.  (Eng. trans. 2000)
  • Irigaray, Luce (1997). 《To Be Two》.  (Eng. trans. 2001)
  • Irigaray, Luce (1999). 《Between East and West: From Singularity to Community》.  (Eng. trans. 2001)
  • Irigaray, Luce (2002). 《The Way of Love》. 
  • Irigaray, Luce (2008). 《Sharing the World》.  (Eng. trans. 2008)
  • Irigaray, Marder (2016). 《Through Vegetal Being: Two Philosophical Perspectives》. 
Book chapters (단행본 챕터)

See also (함께 보기)

See also

틀:Columns-list

생애

뤼스 이리가레(Luce Irigaray)는 1930년 벨기에에서 태어났다. 벨기에와 프랑스에서 문학, 철학, 심리학, 정신병리학 등 다양한 학문을 섭렵했으며 프랑스 여성해방운동에 참여했다.

1974년 철학박사 학위 논문으로 문제적 텍스트인 ⌈검경: 여성으로서의 타자에 대하여⌋를 제출했다. 수많은 남성 철학자와 지그문드 프로이트와 자크 라캉의 이론을 남근중심주의 담론이라고 정면으로 비판한 탓에, 뤼스 이리가레는 파리프로이트학회에서 축출됐고 대학에서도 쫒겨나 프랑스에서는 다시는 교편을 잡지 못했다. 이 사건은 학문, 특히 철학에서 여성과 여성적인 것이 배제되는 상황을 적나라하게 보여주었다고 평가받았다. 이후 그녀는 주로 유럽의 여러 대학에서 연구, 강의, 저술 활동을 계속하며 이탈리아 사회주의 정당과 관계를 맺고 여성운동과 민주주의 운동에 참여했다(황주영, 2016).

⌈검경⌋

⌈검경⌋과 ⌈하나가 아닌 성⌋(1977)은 서구의 남성 주체가 어떻게 세계를 구축하고 이해하며 해석해왔는지를 보여주고 타자인 여성의 관점에서 이를 비판한다. "⌈검경⌋은 전통적으로 남성이었던 철학적 주체 개념이 다른 모든 타자들을 자신과의 관계로 환원해버린다는 것을 보여준다"(황주영, 2016).

⌈검경⌋은 지그문트 프로이트에서 시작하여 플라톤까지 대표적인 남성 철학자의 저작을 인용하면서 자신이 대결하는 남성 철학자의 말과 자신의 말을 뒤섞어 놓았다. 특히 1부 "대칭이라는 오래된 꿈의 맹점"에서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오류와 무지, 그가 의존하고 있는 남성적 상상계와 상징계의 특성과 욕망을 드러낸다. 이리가레에 따르면 프로이트는 문화 속에 "처음부터 내내 함축적이고 숨겨져 있고 알려지지 않은 채로 남겨져 있었음에도 효력을 가져왔던" 것, 성적 무관심(무차이, indifference)를 무심결에 드러낸다. 성적 무관심을 드러냈다는 것은 성적 차이를 보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는 남성적 리비도와 남성의 섹슈얼리티를 기준으로 하여 여성적인 것을 설명하고 있을 뿐이다. 프로이트는 남성이라는 하나의 성을 중립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간주하고, 자신의 이론이 이미 남성중심적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지 못했다. 그래서 프로이트는 여성의 음핵을 '작은 남근'으로 부르고 여자가 스스로를 거세당한 것으로 여긴다고 보았으며 여성의 삶이 남근 선망을 중심으로 하여 조직된다고 보았다(황주영, 2016).

여성은 가부장제로 인해 자신의 고유한 섹슈얼리티를 표상하고 재현할, 언어와 같은 문화적 원천을 갖지 못한다. 그래서 프로이트가 기술한 여성성은 본래적인 것이 아니다. "이리가레는 현재의 상상계와 상징계에서 나타나는 여성의 타자화라는 문화적 증상을 설명하기 위해,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텍스트를 증례로 삼고 있다"(황주영, 2016).

참고문헌

황주영 외, 2016, ⌈현대 페미니즘의 테제들⌋, 사월의 책

Notes (참조)

  1. "Luce Ieigaray". Encyclopaedia Universalis.
  2. Irigaray, Luce, and Margaret Whitford. 1991. The Irigaray reader. Cambridge, Mass: Basil Blackwell.
  3. http://cup.columbia.edu/book/through-vegetal-being/9780231173872
  4. "Luce Irigaray."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5. ledpup. “Luce Irigaray, "Women on the Market" | caring labor: an archive”. Caringlabor.wordpress.com. 2015년 5월 17일에 확인함. 
  6. 6.0 6.1 Irigaray, L. (1985) "Women on the Market." in Rivkin, J.; Ryan, M. (eds) (1998). 《Literary theory, an anthology》. Malden, Mass: Blackwell. 799–811쪽. ISBN 9780631200291. 
  7. Christine Delphy, L'Ennemi principal, tome 2 : Penser le genre (2001)
  8. Fielding, H. (2003). “Questioning nature: Irigaray, Heidegger and the potentiality of matter”. 《Continental Philosophy Review》 36: 1–0. doi:10.1023/A:1025144306606. 
  9. Wayne A. Borody (1998) pp. 3, 5 Figuring the Phallogocentric Argument with Respect to the Classical Greek Philosophical Tradition Nebula: A Netzine of the Arts and Science, Vol. 13 (pp. 1–27) <http://kenstange.com/nebula/feat013/feat013.html>.
  10. Irigaray, Luce. “Sujet de la science, sujet sexué?” pp.95-121 In: Sens et place des connaissances dans la société. Paris: Centre National de Recherche Scientifique. 1987. p.110.
  11. Sokal, Alan (2003). 《Intellectual impostures : postmodern philosophers' abuse of science》. London: Profile Books. ISBN 9781861976314.  cited in Dawkins, R. "Postmodernism disrobed", Nature (journal), vol. 394, pp. 141-143, 9 July 1998. Retrieved 18 March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