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면분류

최근 편집: 2022년 12월 30일 (금) 22:19
인쇄용 판은 더 이상 지원되지 않으며 렌더링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 북마크를 업데이트해 주시고 기본 브라우저 인쇄 기능을 대신 사용해 주십시오.

다면분류(Faceted classification)는 지식을 체계적 순서로 구성하기 위한 분류 체계이다. 다면분류에서는 전체적인 분류 항목을 만들기 위해 일반적이거나 특정 주제와 관련있는 의미 범주를 사용한다. 많은 도서관 분류 체계들은 주제를 또렷하게 하기 위하여 종속된 패싯(facet)들을 이용한 고정된 열거 분류 조합을 사용하고 있다.

정의

정보 구성을 위한 분류에는 열거적인 것과 다면적인 것의 두 가지 기초 속성이 있다. 열거적인 분류는 모든 항목들에 대해 완전한 개념을 제공한다.[1] 반면 다면분류에서는 어떤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의미적으로 조합된 카테고리들을 이용하며, 그러므로 이미 정의된 개념들에 제한받지 않는다. 이것은 분류를 유연하게 만들지만 한편으로는 주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기도 한다.[2] 가능한 한 패싯(facet)은 "한 부류나 특정한 주제에 대해 명확하게 정의된 상호 배타적이며 집합적으로 완전한 측면, 속성, 특성"을 대표한다.[3]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범용 패싯은 시간, 장소, 양식이다.[4]

순수한 다면분류의 예는 매우 드문데, 잘 알려진 것은 랑가나단(S. R. Ranganathan)의 콜론 분류로서 도서관을 위한 일반적인 지식 분류이다. 어떠한 다면분류 체계는 미술 및 건축 시소러스 과 같은 한 주제에 특화되어 있기도 하다. 국제 노동 기구의 D. J. Foskett은 직업 안전과 건강에 대한 다면분류를 만들기도 했다.[5]

많은 도서관 분류는 열거적이면서 다면적인 분류 기술을 사용하는데, 듀이 십진 분류법, 미 국회 도서관 분류표, 국제 십진 분류법은 모두 그들의 열거 분류표에 여러 관점의 패싯을 사용한다. 허용되는 패싯은 분류의 주제 영역에 따라 달라진다. 이 패싯들은 주제 영역 안에서 반복되는 하위 부류를 표시하는 표로서 기록된다. 주제에 대한 지리 구획과 같이 어디에서나 적절한 패싯도 있지만 다른 표들은 특정 영역에 제한된다. 패싯은 복잡한 주제 서술을 위해 다른 패싯과 조합될 수 있다.[4]

알렌 테일러(Arlene Taylor)는 다면분류를 다음과 같이 비유했다. "한 사람이 잘 연마된 다이아몬드의 각 조각면을 전체 다이아몬드에 대한 패싯으로 여긴다면, 그는 같이 묶인 전체 주제의 하위 부분들을 나타내는 조그만 표기들을 가진 한 분류 표기를 생각해 낼 수 있다."[6]

다면분류는 계층 구조에 기반을 둔 분류 체계와 동일한 문제점을 다수 가지고 있다. 특히, 한 개념은 단 하나가 아닌 여러 패싯에 동시에 속할 수 있고, 그러므로 그 항목의 위치는 분류를 하는 사람에 의해 임의적으로 규정될 수 있다. 이것은 각 패싯이 기록될 때 구분이 될 수 있도록 하지 못하게 하기 때문에 복잡한 표기를 만드는 결과를 낳는다.[2]

정보 검색

다면분류 체계 내에서의 검색은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정보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이것은 고정되고 변하지 않는 카테고리 계층 체계을 사용하는 전통적인 분류법과는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7] 이것은 또한 패싯으로 검색 결과를 걸러 원하는 결과를 더욱 빠르게 얻을 수 있게 해준다.

다면분류의 예

도서관 자료들의 콜론 분류

랑가나단(S. R. Ranganathan)의 콜론 분류는 모든 도서관 자료들을 위해 고안된 일반적인 다면분류의 예이다. 콜론 분류에서 한 책은 독립된 각 패싯에서 추출된 값들에 의해 배정된다.[8] 이 패싯 공식은 그것들을 연결하기 위해 패싯 사이에 위치한 문장 부호와 기호를 사용한다. 콜론 분류라는 이름은 그 표기법에서 기초적인 기호로 사용되는 콜론을 딴 것이다. [9][10]

랑가나단은 듀이 십진 분류법과 the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s와 같은 계층적 분류 계획은 너무나 제한적이고 최근의 분류에 한정적이며 많은 항목들이 하나보다 많은 주제에 존재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는 그의 분류 계획을 42 부류로 조직하였으며 그가 패싯으로 정의한 각 부류는 특정한 속성에 따라 범주화되었다. 랑가나단은 한 주제의 패싯을 묘사하기 위한 근본적인 카테고리는 성격(personality), 재질(material), 에너지(energy), 공간(space), 시간(time)의 다섯 개가 있다고 말하였고 이것을 PMEST 식이라고 명명하였다.[11]

  • 성격은 가장 명확하거나 중심적인 주제이다.
  • 재질은 주제의 물질, 속성, 재질이다.
  • 에너지는 처리 과정, 작업, 활동이다.
  • 공간은 주제의 지리적 장소와 관련된다.
  • 시간은 주제의 날짜와 시간을 일컫는다.

국제 십진 분류법

다면 분류의 또 다른 예는 국제 십진 분류법으로, 이것은 모든 영역의 지식에 사용될 수 있는 복합적인 다중 언어 분류로 여겨진다.[12] 국제 십진 분류법은 19 세기 말 벨기에의 서지학자 폴 오틀레(Paul Otlet)과 앙리 라퐁텐(Henri la Fontaine)이 제창하였다. 그들의 목표는 설사 공책에 적은 내용이나 메모와 같은 일반적이지 않은 기록물조차도 포함할 수 있는 색인을 만드는 것이었다. 그들은 또한 그들의 색인을 알파벳 순으로 체계화하기를 원했다.[13]

국제 십진 분류법은 언어, 형식, 장소 및 시간 등 여러 측면에서 확장된 지식의 전체 분류 체계를 가지고 있다. 각 패싯은 표기법 안에서 자신의 상징을 가지는데, 예를 들어 "="는 언어를, "-02"는 material를, "[...]"는 subordinate 개념을 나타낸다.[4]

직업 안전 및 보건에 대한 다면분류

런던의 분류 연구 그룹(Classification Research Group) 회원인 더글라스 존 포스켓(Douglas John Foskett]]은 국제 노동 기구(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를 위한 '직업 안전 및 건강' 분류를 개발하였다.[5][14] 해당 분야의 문헌들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패싯들을 만들었다.

  • 패싯 A: 직업 안전과 건강: 총론
  • 패싯 B: 노동자 및 산업군의 특수 사례
  • 패싯 C: 재해의 원인들: 불, 기계, 기타
  • 패싯 D: 산업사고 및 업무상 질병
  • 패싯 E: 예방책 및 보호
  • 패싯 F: 조직, 행정

표기는 "g 산업 장비 및 절차", "ge 기계"와 같이 영어 알파벳만을 사용하고, 확장 코드로 계층적인 하위 패싯을 표현한다.[14]

예술 및 건축 용어집 (Art and Architecture Thesaurus)

엄밀한 의미에서 분류 체계라 할 수는 없으나 '예술 및 건축 용어집(Art and Architecture Thesaurus, AAT)'도 랑가나단의 콜론 분류법과 유사한 패싯을 사용한다.

  • 관련된 개념들 (예: 철학)
  • 물리적 성질
  • 양식과 시대
  • 행위자 (사람 및 조직)
  • 활동 (랑가나단의 '에너지'와 유사)
  • 자재 (랑가나단의 '물질'과 유사)
  • 대상물 (랑가나단의 '개인성'과 유사)[15]

다면분류와 단일 계층 분류의 비교

계층적 분류는 대상들을 단 하나의 계층 분류법으로 분류하는 것을 일컫는다. 다면분류 또한 사실은 하나 이상의 패싯에서 이러한 계층 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둘 이상의 분류 체계를 사용하여 사물을 분류할 수 있다.

  • 다면분류 체계는 한 대상에 여러 분류법을 적용하는 것을 허용하며 조사자가 이러한 분류에 정해진 단 하나가 아닌 여러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게 한다. 복수의 패싯은 검색 과정의 첫 번째 단계로서 사용될 수 있다.[16] 예를 들어 한 사람은 검색을 언어 혹은 주제로 시작할 수 있다.
  • 계층 분류 체계는 가장 일반적인 것에서 시작하여 가장 구체적인 것까지 분류를 쪼개어 간다.[17]
  • 다면분류 체계는 대상들을 빠르게 필터링하기 위하여 패싯을 조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패싯들은 다양한 분류 기준을 다루는 데 사용될 수 있다.[18]
  • 다면분류 체계는 빠르게 변화하는 세밀한 분류들에 유용하도록 각 개체의 중요하거나 핵심적 혹은 지속적인 특징들에 초점을 맞춘다.
  • 다면분류 내에서 한 개인은 개체가 선형적으로 위치한 카테고리의 이름을 알 필요가 없으며, 각 어휘에 매칭된 문서의 수와 함께 통제된 어휘가 표시된다.
  • 새로운 패싯은 언제든지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단일 계층 구조를 교란시키거나 다른 패싯을 재조정할 필요를 만들어 내지 않는다.
  • 다면분류 체계는 분류 영역의 범위와 조직에 대한 대략적인 가설을 만든다. 다면분류 스키마를 break하는 것은 어렵다.[19]

출처

  1. Lois Mai Chan (2005).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s》. Westport, Conn: Libraries Unlimited. ISBN 1591581540. 1591581540. 
  2. 2.0 2.1 Elaine Svenonius (2000). 《The intellectual foundation of information organization》. Cambridge, Mass: MIT Press. ISBN 0262194333. 0262194333. 
  3. Taylor, A. G. (1992). Introduction to Cataloging and Classification. 8th ed. Englewood, Colorado: Libraries Unlimited.
  4. 4.0 4.1 4.2 Chan, Lois Mai (2007). 《Cataloging and classification》 Thi판. The Scarecrow Press, Inc. 321쪽. ISBN 978-0-8108-5944-9. 0810859440. 
  5. 5.0 5.1 Coyle, Karen (1975). “A Faceted Classification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pecial Libraries》 66 (5-6): 256–9. 
  6. Taylor, Arlene G. (2004). 《The organization of information》. Westport, CT: Libraries Unlimited. 
  7. Star, S.L. (1998, Fall). Grounded classification: grounded theory and faceted classification. [Electronic version]. Library Trends. 47.2, 218.
  8. Garfield, E. (1984, February). A tribute to S.R. Ranganathan, the father of Indian library science. Essays of an Information Scientist, 7, 37-44.
  9. Chan, L.M. (1994). Cataloging and classification. New York: McGraw-Hill, Inc.
  10. Colon Classification (6th Edition) by Dr. S.R. Ranganathan, published by Ess Publications, Delhi, India.
  11. Ranganathan, S. R (1987). Colon classification, 7th ed. revised and edited by M.A. Gopinath. Bangalore: Sarada Ranganathan Endowment for Library Science, 1987
  12. About universal decimal classification and the udc consortium. (2006). Retrieved November 30, 2013, from http://www.udcc.org/about.htm
  13. Batty, D. (2003). Universal decimal classification. Encyclopedi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4. 14.0 14.1 Foskett, D. J. (1959). 〈Construction of a Faceted Classification for a Special Subject〉.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cientific Information》. National Science Foundation. 867–888쪽. ISBN 0-309-57421-8. 
  15. William Denton. “How to Make a Faceted Classification and Put it on the Web”. 
  16. Sirovich, Jaimie (2011). Categories, Facets—and Browsable Facets?, from http://www.uxmatters.com/mt/archives/2011/08/categories-facetsand-browsable-facets.php
  17. Reitz, Joan M. (2004). Dictionar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estport, CT: Libraries Unlimited
  18. Godert, Winfried. F. (1991). Facet classification in online retrieval.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18, 98-109
  19. Adkisson, Hiedi P. (2005). Use of faceted classification. Retrieved December 1, 2013, from http://www.webdesignpractices.com/navigation/facets.html

링크

(이 문서는 영어 위키백과Faceted classification 문서를 번역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