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군/여군

최근 편집: 2023년 7월 20일 (목) 13:53

여자 군인을 이르는 말로 반댓말은 남군이다. 대한민국의 사병은 여성은 뽑지 않으므로, 자연스레 하사부터 시작한다.

역사

  • 1948년 8월 26일 민간 간호자격증을 가진 31명의 여성들을 모집하여 육군 간호소위 임관[1]
    • 전쟁기간 중 참전한 육군 간호장교는 1,257명으로 추산된다.
  • 1949년 1월 10일 비행사 이정희 중위 임관후 2월 15일 공군 여자항공교육대 창설[1]
    • 여자항공병 제1기 15명 입교, 제2기 39명 입교 및 6.25전쟁발발 당시 42명 복무[주 1]
    • 공군은 간호장교가 아닌 간호군무원을 두어 배치하였으나 정확한 인원수를 확인할 수 없다.
  • 1949년 2월 7일 진해에 해군 간호교육대 창설[1]
    • 제1기 20명 입교, 제2기 6명 입교, 제3기 20명 입교, 제4기 12명 입교 및 해군 간호소위 임관
  • 1949년 7월 30일 육군 여자배속장교 제1기 32명 임관[2]
  • 1950년 6.25전쟁 발발 후 여자배속장교 교육대장 김현숙 예비역 중위와 15명의 배속장교 참전[1]
  • 1950년 8월말 제주도에서 미혼 여교사와 어린 여중생들로 구성된 126명이 자원입대하여 해군신병교육대 특별중대 편성후 10월 10일 수료[1]
  • 1950년 9월 6일 부산[주 2]여자의용군교육대(여군훈련소) 창설[2]
    • 전쟁기간 중 총 4개기 1,058명이 수료하여, 여군훈련소, 전방 군단 및 사단, 정훈대대,정보 및 첩보부대,예술대,전후방 각급부대 등에 배치되고, 행정지원,대민선무공작,정훈교육,대적방송,첩보수집,위문공연,경리,통신,보급 등의 업무 수행[1]
  • 1951년 11월 여자의용군교육대 해체와 동시에 육군본부 부관실 내에 여군의 인사 행정 업무를 담당하는 여군과 설치[2]
  • 1952년부터 타자 기술을 도입하여 행정 업무를 지원하는 여성 기능 인력 양성[2]
  • 1953년 8월 22일 여군간부후보생 1기 13명 임관[2]
  • 1954년 2월 여군부 승격 개편[2]
  • 1955년 서울 서빙고에 여군 훈련소 재창설[2]
  • 1959년 1월 여군처 개편[2]
  • 1970년 12월 1일 여군 훈련소와 여군대대를 예속부대로 한 여군단 승격 개편[2]
  • 1989년 여군단 해체[2]
  • 1990년 '여군' 병과가 폐지됨.
  • 2014년 육군이 기갑, 포병, 방공, 군종 병과를 여군에 개방함. 이로써 여군에 대한 진입제한이 육군의 모든 병과에서 사라짐.
  • 2016년 미군 여군 특수병과 배치 금지 규정 폐지[3]
  • 2018년 모든 영역의 중·소대장 직위에 여군 진출 제한 폐지[3]
  • 2020년 대한민국 해병대 첫 여성 헬기 조종사 조상아 대위[4]

여군 현황

6.25전쟁 참전여군

인원

2016년 6월 국방부가 서영교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5]에 따르면, 대한민국 국군에 근무 중인 여군의 수는 1만 263명이다. 육군 6915명, 해군 1264명, 공군 1694명, 해병대 390명이다.

장교는 장성이 준장 2명, 영관장교(소령-대령) 823명, 위관장교(소위-대위) 3924명이었다. 준사관은 24명, 부사관은 5490명이다.

여군 간부 비중은 전체 간부의 5.5%이다.

  • 위 통계는 모두 2016년 6월 기준 국방부 자료에 근거함.

보직 및 병과

대한민국 국군

2001년, 양승숙 대령이 준장으로 진급하며 한국군에서 최초 여군 장성이 등장했다. 출신 병과는 간호이며, 국군간호사관학교장에 보임되었다.

2010년 12월, 합동참모본부 민군작전과장이던 보병 병과 송명순 대령이 준장으로 진급하며 여군 최초 전투병과 장군이 되었다.

2014년 육군 기갑, 포병, 방공, 군종 병과가 여군에게 개방되었다. 이로써 대한민국 육군의 모든 병과에 여군이 진출할 수 있게 되었다. 2015년 최초로 기갑 병과 여군 부사관이 임관하였다. 2018년에는 여군 최초로 기갑 병과 장교가 임관하였다.[6]

2017년 12월 대한민국 국방부의 장성 인사에서, 여군 대령 3명이 동시에 준장으로 진급하였다. 이는 한국군 최초이다. 강선영 준장은 항공작전사령부 참모장, 허수연 준장은 육군본부 안전관리차장, 권명옥 준장은 국군간호사관학교장에 임명되었다.

2018년 3월 기준, 아직 여군 사단장은 나오지 않고 있다.

미군

2016년 보병 병과를 여군에 개방하였다.

여군과 인권

  • 기혼 여군의 출산 허용 : 1989년
    • 여군은 결혼을 할수있지만 아이를 낳으면 전역해야 했다.
  • 여성 부사관에게 결혼 허용 : 1985년
    • 결혼을 한 상태로 부사관이 되면 이혼해야 했다.
  • 여군복무규율[2]
    • 사관후보생(1중대)은 짧은 파마머리, 부사관후보생(2중대)은 커트머리
    • 일과교육시간엔 하의가 스커트인 정복
    • 내무반 밖에서는 화장 필수
    • 후보생은 외박 및 면회 금지
  • 여군=특수병과=여군병과로 취급됨[2]
    • 여군조종사의 경우 실질적으로는 항공병과에 속해있는데도 비공식 파견 요원으로 관리되었다.
      • 기존의 조종사들처럼 교육을 받지못하여 조종사의 기술등급을 올릴수 없었고 필수비행시간을 채우기 힘들었다.

여군과 페미니즘

여자도 군대가라고?

이스라엘 여군의 진실

'하사 아가씨'

3성 장군 출신 송영근새누리당 의원 발언

여군 대상 범죄

  • 육군 전방부대 사단장 김ㅇㅇ 소장, 2001년 1월 8일 여성 장교를 성추행한 혐의로 같은해 10월 9일 보직해임[7]
  • 군사법원 자료 분석 결과 2012년 40건이던 군부대 내 여성대상 범죄가 2015년 110건으로 급격히 늘었다. 육군이 67건으로 가장 많았고 공군이 23건 해군이 20건으로 뒤를 이었다. 범죄 중 52건은 성폭력, 강간, 성추행이었다. 여군 대상 범죄가 급증하고 있지만 처벌은 약해서 해결이 더욱 힘든 상황이다.

역사상 유명했던 여군

  • 화목란: 디즈니 애니메이션 뮬란의 실제 주인공. 북위의 전사로 병든 아버지를 대신해 전쟁터에 나갔다.
  • 도모에 고젠: 일본의 여성 사무라이
  • 잔 다르크: 영국과 프랑스의 백년 전쟁에서 활약한 것으로 유명하다.
  • 사비하 괵첸: 터키 공화국 최초, 그리고 세계 최초의 여성 전투기 파일럿. 터키의 초대 대통령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의 양녀이기도 하였다. 괵첸의 이름을 딴 사비하 괵첸 국제공항은 아타튀르크 국제공항에 이은 이스탄불 제 2의 국제 공항의 역할을 맡고 있다.
  • 루드밀라 파블리첸코: 소련의 여성 저격수로 여성 저격수 중 최다 저격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그레이스 호퍼: 미 해군에 입대하여 컴퓨터 과학자로서 여러가지 기념비적인 업적을 남겼다. 소프트웨어 버그라는 용어를 최초로 창안하였으며 컴파일러라는 개념을 최초로 제시하였다. 금융 분야에서 널리 쓰였던 프로그래밍 언어인 코볼을 창시하는데도 큰 공헌을 하였다. 미 해군 역사상 최고령 제독이기도 하다.
  • 피우진: 헬기 조종사 출신으로 유방암 완치 후 부당한 예편에 맞서 복직 승인을 받아내었다. 현재 문재인 정부의 보훈처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기타

  • 병과에 따라 아예 여군을 뽑지 않기도 하며 2014년에 크게 줄였으나 아직 여군을 뽑지 않는 병과가 많이 남아있다.
  • 육군의 군가 중 하나인 육군가의 가사 '화랑의 핏줄 타고 자라난 남아'의 남아 부분이 여군을 포함하지 못했기 때문에 개정되어 '화랑의 핏줄 타고 자라난 우리'가 되었다.

같이보기

부연 설명

  1. 54명 중 12명이 전쟁발발 이전에 제대하였고, 전쟁발발 직후 임무수행 여건 불비 등의 사유로 모든 여자항공병은 귀가조치되었다. 이정희 대위를 비롯한 일부는 북한군에게 포로가 되어 납북 또는 사살되었고, 다른 일부는 피란민이 되었다.
  2. 6.25전쟁 중 임시 수도 상태

출처

  1. 1.0 1.1 1.2 1.3 1.4 1.5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2년 12월 14일). 《6.25 전쟁 여군 참전사》. ISBN 978-89-89768-86-9. 
  2.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피우진 (2006). 《여군은 초콜릿을 좋아하지 않는다(반양장)》. 삼인. ISBN 978-89-91097-58-2. 
  3. 3.0 3.1 이세아 기자 (2020년 7월 12일). “여군 특전사가 간다...미군 최초 여군 ‘그린 베레’ 탄생”. 《여성신문》. 
  4. 이하나 기자 (2020년 11월 1일). “해병대 첫 여군 헬기 조종사 탄생… 조상아 대위 “최초 자부심 갖고 최선””. 《여성신문》. 
  5. 연합뉴스(2016. 9. 26.). 여군 1만명 돌파…장교의 7.4%·부사관의 4.5%.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9/26/0200000000AKR20160926055300014.HTML?input=1195m)
  6. 경향신문(2018. 2. 28). 여군 최초 육군 기갑병과 장교 탄생.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802281118001&code=910302)
  7. http://www.systemclub.net/bbs/zb4pl5/zboard.php?id=p_3&page=14&sn1=&divpage=5&sn=off&ss=on&sc=on&select_arrange=name&desc=desc&no=2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