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관순

최근 편집: 2023년 5월 16일 (화) 11:02
류관순
출생1902년 12월 16일
천안시 병천면 용두리
사망1920년 9월 28일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 서대문형무소역사관
매장지망우리 이태원묘지 무연분묘 합장지
본관고흥 류씨
학력이화여자고등학교 (명예졸업)
종교개신교 (감리회)
정보 수정

유관순(柳寬順, 1902년 12월 16일 ~1920년 9월 28일)은 3.1만세운동에 참가한 여성 독립운동가로, 3.1만세운동, 특히 비폭력 저항운동의 상징적 인물이다.

생애

독립운동 전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용두리(옛지명: 목천군 이동면 지령리)에서 류중권과 이소제의 둘째딸로 태어났다. 처음엔 영명학당에 다니다가 1915년 미국인 선교사 S. Alise H. Sharp(사애리시 선교사)의 소개로 천안에서 서울 이화학당 보통과 2학년에 교비생[주 1]으로 편입하여, 1918년에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 1학년에 진학하였다. 당시 나이는 14세였다. [1]

장학생 같은 개념으로 유관순은 이화학당을 졸업한 다음 학교에서 일하기로 하고 학비를 면제 받았다.

독립운동 시작

서울에 있던 유관순이 어떻게 천안 아우내장터에서 만세 운동을 한걸까?

1919년(만 17세) 3월 1일, 고종 황제 장례를 치르던 날 많은 사람들이 서울 파고다공원에 모여 독립 만세를 외쳤고 이때 유관순도 참여했다. 처음부터 천안에서 운동을 시작한게 아니라 서울에서 시작하고 그 다음 고향인 천안으로 내려가 만세운동을 준비했다.[2]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유관순은 학생들과 함께 가두시위를 벌이다가 경무총감부에 붙잡혔고 외국인 선교사의 도움으로 풀려났다.

3월 10일 학교에 임시휴교령이 내려지고 사촌언니 유예도와 함께 고향으로 내려갔다. 고향에 내려온 유관순은 병천,목천,천안,안성,청주,진천 등지의 학교와 교회 및 유림 등을 방문하여 총궐기하여 만세운동을 벌이도록 종용하고, 거사 하루전날엔 직접 봉화를 올리기도 하였다.

유관순은 거사일인 1919년 4월 1일(음력 3월 1일) 아우네 장터에서 3,000여 명의 군중에게 태극기를 나누어주며 시위를 지휘하다가 일본 헌병대에 체포되었다. 이때 아버지 유중권과 어머니 이소제를 비롯한 19명이 총격으로 죽고 30여 명이 부상을 입었다.

체포된 이후

체포 후 천안 헌병대를 거쳐 공주 검사국으로 이송되어 공주지방법원에서 징역 5년 형을 구형하고 3년 형이 선고됐다.

마지막에 재판장은 유관순에게 이렇게 물었다.

"다시는 독립 운동하지 않고 대일본제국 신민으로 살아가게 될 것을 맹세하는가?"

유관순은 재판장의 아래와 같이 대답했다.

"나는 왜놈 따위에게 굴복하지 않는다. 언젠나 왜놈들은 반드시 천벌을 받을 것이고 반드시 망하게 될 거다."

그러면서 재판장에게 의자를 던졌는데, 그 후 징역이 7년으로 늘어났다. 당시 여성에게 내릴 수 있는 최고 징역이 7년이었기 때문에 최고 형량이 내려진 것이다.[1]

그 후 공소를 제기하여 경성복심법원에서 3년형을 선고받았다.

서대문 형무소에서 복역하는 중에도 간수들에게 독립의 당위성을 알리며 어윤희 등과 옥중 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1920년 3월 1일, 3.1 운동 1주년으로 옥중에서 기념식을 치르고 옥중 만세운동을 펼쳤는데, 수감자들도 호응해서 인파들이 몰려들었고 전차까지 마비됐다.[3]

순국

1920년 영친왕 결혼 기념 특사령이 있어서 형기가 1년 6개월로 단축됐지만, 1920년 9월 28일 서대문형무소에서 체포당시 입었던 상처와 계속되는 고문으로 인해 19세의 나이로 순국하였다.

유관순의 시신은 이화학당에 인도되어 이태원 공동묘지에 묘비도 없이 안장되었다. 1935년부터 이태원 일대가 일제의 군용기지로 전환됨에 따라 미아리 공동묘지로 다시 이장하는 과정에서 이태원묘지 무연분묘 합장지에 합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1989년 10월에 이르러 매봉산에 유관순의 초혼묘를 봉안하였다.

1962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으며, 2003년 4월 1일에는 탄신 100주년을 맞이하여 천안시 병천면에 유관순열사기념관을 개관하여 운영하고 있다.

유관순의 조력자

유관순의 독립운동엔 폐문 멸족을 감수하고 당시 만세운동자금으로 집 한 채 값과 맞먹는 소 한마리를 주면서까지 도운 장명마을의 이춘화가 있었다. 이로 일본 경찰에 끌려가 반신불수가 될 정도로 고문을 당했다고 한다.[2]

기타

  • 서울 파고다 공원은 양력 3월 1일이고, 천안 아우내 장터는 음력 3월 1일이다. 천안은 양력 4월 1일이고 서울과 한달 차이가 있다.
  • 타살설 : 고문 후유증으로 얼굴이 퉁퉁 부어 있었고 병색이 완연했다고 한다. 간수들의 폭행. 발길질로 인해서 방광이 파열됐다고 한다. 또 손가락으로 눌러서 만져보니까 살이 썩어서 손에 피가 묻어 있었는데, 석방을 앞두고 헌병들에게 살해됐다는 이야기가 돌았다.[4]
  • 1962년 독립운동 서훈 등급이 독립장(3등급)에 추서되었으나, 훈격을 재조정해야 한다는 요구가 지속적으로 있으며 이에 따라 2017년 8월 16일 이낙연 국무총리가 유관순의 훈격의 합리적 조정 가능성을 검토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한다.[5] 2019년 3월 1일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으로 승격 추서되었다.

호칭

본디 고흥 류씨이나 유관순으로 알려져있다. 이에 따라 유관순 기념사업회는 1947년 설립 당시 '유관순'으로 표기했으나 유씨와의 혼동을 이유로 2001년에 '류관순'으로 방침을 변경, 2014년에 '유관순'으로 굳어진 대다수 표기와의 혼선을 막고자 재차 '유관순'으로 표기하기로 결정했다. 정부의 공식 문서, 기념유적지, 일반 출판물 전반이 '유관순'이라고 표기하고 있다.

의사, 열사라고 불리는 남성 운동가들과 달리 유관순은 누나라는 호칭이 붙어 왔다. 여성학자 권김현영은 이에 대해 '유관순에 대한 재현을 남성들이 독점하고 있었기 때문'이라 풀이했다.[6]

순국처녀 유관순으로 불리던 시기도 있었다.[7]

기념

부연 설명

  1. 학교의 경비로 공부하는 학생

출처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2년 12월 14일). 《6.25 전쟁 여군 참전사》. ISBN 978-89-89768-86-9. 

  1. 여성독립운동가사전. 심옥주. 천지당(한국여성독립운동연구소)
  2. “[탐정 손수호] "유관순, 누구나 알지만 아무도 모르는...". 《노컷뉴스》. 2019년 2월 21일. 
  3. “[탐정 손수호] "유관순, 누구나 알지만 아무도 모르는...". 《노컷뉴스》. 2019년 2월 21일. 
  4. “[탐정 손수호] "유관순, 누구나 알지만 아무도 모르는...". 《노컷뉴스》. 2019년 2월 21일. 
  5. 이동현 기자 (2017년 8월 16일). ““유관순 열사 위상 홀대 않도록 서훈 상향하라””. 《한국일보》. 
  6. 이유진 기자 (2006년 7월 18일). “왜 명성황후는 팜므 파탈, 유관순은 누나일까”. 《한겨레》. 
  7. 최하얀 기자 (2019년 2월 14일). “‘순국처녀’ 아닌 ‘여성 독립운동가’…유관순의 등장이 의미하는 것”. 《한겨레》. 
  8. 8.0 8.1 장수정 기자 (2020년 2월 28일). “이화여고 후배들이 구슬로 되살려낸 유관순의 얼굴”. 《여성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