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삼성자동차" 문서에 대한 정보

기본 정보

표시 제목르노삼성자동차
기본 정렬 키르노삼성자동차
문서 길이 (바이트)7,897
이름공간 ID0
문서 ID43896
문서 내용 언어ko - 한국어
문서 내용 모델위키텍스트
로봇에 의한 색인허용됨
문서를 주시하는 사용자 수1
이 문서를 최근에 방문한 주시하는 사용자 수최근의 편집을 주시하는 사용자가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습니다
이 문서의 넘겨주기 수0
본문으로 집계
이 문서의 하위 문서 수0개 (넘겨주기 0개, 넘겨주기 아님 0개)
위키베이스 항목 ID없음

문서 보호

편집모든 사용자에게 허용 (무기한)
이동모든 사용자에게 허용 (무기한)
이 문서의 보호 기록을 봅니다.

편집 역사

문서 작성자사회인권 (토론 | 기여)
문서 작성 날짜2021년 8월 16일 (월) 21:52
마지막 편집자사회인권 (토론 | 기여)
마지막으로 편집한 날짜2021년 8월 16일 (월) 21:52
총 편집 수1
최근 편집 수 (지난 90일 이내)0
최근 기여자 수0

문서 속성

포함한 틀 (13개)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SEO 속성

설명

내용

문서 설명: (description)
This attribute controls the content of the description and og:description elements.
14년 2월 4일 SBS 현장21에서 직장 내 성희롱을 고발하는 방송이 방영됐다. 르노삼성자동차에 근무하는 30대 김미정씨는 평범한 직장인이다. 2012년 봄 부서로 새 팀장이 부임하여 성희롱하기 시작하였다. 그는 극심한 고통에 회사에 성희롱을 고발하였다. 그런데 회사에서 "회사를 그만두라" 라고 제안하였다. 사내에서 꽃뱀이다 유난이다 라는 2차가해도 이어졌다. 정작 가해자는 정직 2주 징계만 받고 회사에 근무하였다. 미정씨에게 부당 징계를 내리고, 대기발령, 직무정지 상태이다. 이에 "현장21, 르노삼성자동차 사내 성희롱이 오늘 일이었나?" "현장21 르노삼성자동차 사내 성희롱, 어이없어 말도 안나온다" "현장21 르노삼성자동차 사내 성희롱, 썩어빠진 회사" 라는 비판이 이어졌다. 이에 "법무법인 조언을 받아 모두 인정하는 부분에 징계를 내렸다. 해당 가해자는 별도 부서로 발령이 났다. 피해자측이 주장하는 대기발령, 직무정지는 특정 사건과 전혀 관련이 없는 사내 주요문서 유출 징계였다" 라고 해명하였다. [1] 이에 정치권은 "고용노동부 차원에서 철저한 조사를 요구한다" 라고 밝혔다. 한국여성민우회, 다산인권센터 한명숙 국회의원으로 국회 정론회관에서 2월 5일 기자회견을 열고 성희롱 사건을 규탄하였다. 이들은 국회에서 "2012년 4월 ~ 2013년 3월까지 팀장으로부터 성희롱을 당하였다. 성적 발언 문자를 보내고, 손을 잡는 상사 권력으로 성적 모욕감을 주었다. "가해자가 보낸 문자를 보았다"는 증언이 있었지만, 회사는 인정하지 않았다. 주말 산행을 제안한 팀장에게 "다음에 가자" 라고 거절하였는데 "피해자가 성적 굴욕감을 받았다고 볼 수 없다." 라고 해석하기도 하였다. 조직적 왕따도 이어졌다. 미정씨처럼 직장 내 성희롱 상담은 56%를 차지하며 불이익 조치에 대한 사례는 35%에 이른다. 사업주는 직장 내 성희롱이 발생하면 행위자에 징계를 내리는 조치를 하여야 하며, 법에서도 피해자에게 해고 하는 불리한 조치를 하여서는 안되기 때문에, 피해자에 보복성 징계를 중단하여야 한다. 2월 환경노동위원회 상임위 전체회의에서 고용노동부 장관에서 사건 철저한 조사를 요청하고, 전반적인 근로여건도 확인하겠다. 현재 법이 미진한 부분이 많은만큼 피해자를 적극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방식 법을 추진하겠다." 라는 기자회견에서 밝혔다. [2] 17년 12월 22일 대법원 재판부는 미정씨가 제기한 직장내 성희롱 보복성 조치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소송 항소심 일부를 서울고등법원으로 파기환송하고, 피고 상고를 기각하였다. 남녀 고용평등, 일·가정 양립 지원 법률을 위반하였다고 인정하였다. 여기에서 사업주는 직장 내 성희롱과 관련하여 피해자에게 성희롱 피해 발생을 주장하는 근로자에게 보복을 하면 안된다 라는 내용에서다. "사업주가 피해근로자를 가까이서 도와준 동료 근로자에게 보복성 조치를 한 경우에 조치 내용이 부당하고 말미암아 피해근로자에게 정신적 고통을 입혔다면, 불리한 조치 직접 상대방이 아니더라도 사업주에게 민범 제750조에 따라 불법행위책임을 물을 수 있다. 사업주는 직장 내 성희롱 발생 시 남녀고용평등법령에 따라 신속, 적절한 근로환경 개선책을 실시하고, 후속 피해 재발 방지를 위하여 근로여건을 조성하영근로자 인격을 존중, 보호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도 사업주가 피해근로자를 도와준 동료 근로자에게 부당한 징계처분을 하였다면, 사업주가 피해근로자에 대한 보호의무를 위반하였다. 직장 내 성희롱 사건을 조사하면서 아게 된 비밀을 누설하고, 사회적 가치나 평가를 침해하는 언동을 공공연하게 하면 위법으로 보아야 한다. 피해근로자에게 추가적은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고, 결국 피해근로자에게 직장 내 성희롱 신고조차 단념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피용자 위법행위가 사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거나 가해행위 동기 업무처리에 관련됐다면 사용자책임이 성립한다." 라고 판단하였다. 2013년 6월 ~ 2017년 12월까지였다. 1심 재판부는 사측 보복 조치 금지 위반을 인정하지 않고, 성희롱 가해자 손해배상책임만 인정하였다. 항소심을 거쳐 대법원까지 오면서 판결이 뒤집혔다. 한국여성민우회는 "기존 협소한 법적 인정 범위를 넓혀, 한국사회를 성희롱 문제제기를 하고 시정하도록 사회가 한걸음 더 가까이 하게 됐다. 지금도 많은 기업들은 직장내 성희롱 문제제기자를 오히려 고립시키고 배제하는 보복 조치를 행하고 있다. 한국사회에서 불이익조차 용납되지 않는다는 선언적인 판결이다." 라고 반겼다. [3] 그러면서 대법원 2부는 21년 8월 남녀고용평등 일·가정 양립지원에 법률 위반혐의로 기소된 르노삼성자동차 상고심에서 벌금 2000만원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하였다. 1심은 가해자에게 800만원, 400만원을, 르노삼성에 벌금 2000만원을 선고하였다. 2심에서 일부 무죄를 인정하였지만, 대법원은 사측, 가해자 상고를 기각하였다. [4]
Extension:WikiSEO의 정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