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최근 편집: 2023년 1월 4일 (수) 03:41

불교와 여성

여성관

왕이여 부인이라고 하더라도 실로 남자보다 훌륭한 사람이 있다. 지혜가 있고 계율을 지키고 시모를 존경하고 남편에게 충실하다. 그가 낳은 아들은 영웅이 되고 지상의 주인이 된다. 이와 같은 良妻의 아들은 국가를 가르치고 인도한다.
코오살라국(國)의 푸라세나짓왕의 왕비가 공주를 낳았을 때 왕이 그것을 기뻐하지 않자 붓다가 왕에게 건넨 말.[1]

보편적 종교로서의 불교는 여성에 대한 차별대우를 비난하고 있다.[1] 불교는 종교적인 만민평등주의에 서있으므로 인간만이 아니라 모든 중생이 궁극적인 목적인 해탈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보며, 석가모니 붓다와 그 직제자들 시대에는 남성이나 여성이나 똑같이 번뇌를 소멸시키고 불교가 이상으로 하는 최고의 경지에 이르러 아라한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고, 초기의 불교에서는 남성과 여성 사이에 아무런 차별이 있을 수 없었다.[1]

그러나 붓다가 입멸한 후 수 세기가 지나면서 남자는 성불할 수 있지만, 여자는 성불하지 못한다는 사상이 나타났다.[1] 여성이 성불할 수 없다는 사상이 구체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것은 여인오장설[주 1]이다.[1] 오쵸 에니치는 붓다의 32상 가운데의 제10상인 음마장상(陰馬藏相)의 조건이 여인오장설로 발전되었다고 보고 있다.[1] 음마장상은 여래의 남근이 말처럼 감추어져 있다는 것인데 여자에게는 남근이 없으므로 부처가 될 수 있는 32상을 구비할 수 없다는 것이다.[2][주 2]

이 여성불성불사상은 부파불교에서 초기대승불교로 옮겨지면서 새롭게 전개되었는데, 즉 여인은 성불은 하지만 남자 몸으로 변화하여 성불한다는 변성남자라는 새로운 사상이 나타난 것이다.[1] 대승경전 시대인 2세기에서 4세기의 대승경전 성립 시기에 와서는 여성은 여성의 몸 그대로를 가지고 성불할 수 있다고 하는 즉신성불사상이 표면화하여 양성은 모두 평등하게 성불할 수 있다는 평등사상이 다시 새롭게 전개되었다.[1]

교단과 계율

  1. 출가한지 100년이 되는 비구니라도 신비구에게는 경의를 표할 것.
  2. 비구니는 비구가 없는 곳에서 안거를 해서는 안된다.
  3. 비구니는 15일마다 비구에게 포살일(布薩日, 참회)을 묻고 교계를 받을 것.
  4. 비구니는 안거의 최종일에 비구와 비구니의 양교단에 대하여 견, 문, 의의 참회를 행할 것.
(중략)
팔경법은 출가구족을 목적으로 하는 여성이 최초에 지켜야할 조항으로 비구니 최초의 구족계이며 비구니에게만 볼 수 있는 독특한 규율이다.[1] 팔경법은 배열순서나 내용에는 약간 차이가 있으나 위와 같다.[1]

대체로 붓다가 입멸한 후의 불교교단에서는 니승[주 3]들의 존재를 그리 달갑지 않게 생각하는 경향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1] 사분율의 계본에 의하면 남자의 계는 250계인데 비하여 여자의 계는 98조가 더 많은 348계를 지켜야 한다고 되어 있다.[1] 이 계의 조항에 대하여는 현대적인 안목으로 볼 때 많은 문제를 안고 있으므로 혁신적인 개정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1] 리영자는 계조항에서 여자가 더 많이 지켜야 하는 것이 율전의 편찬 시에 여성 출가를 두려워하는 남성이 많이 있었기 때문으로 추정하는 한편, 여성의 청정행을 실천하기 위함이라고도 보고 있다.[1][주 4]

한국불교 최대종단인 조계종단은 총무원장, 교육원장, 포교원장, 호계원장 등 종단의 지도자는 반드시 ‘비구’여야 함을 종법으로 규정하고 있고, 종단 최고의결기구인 중앙종회 구성원 81명 가운데 비구의원 71명과 비구니의원 10명으로 제한하고 있다. 또한, 신도의 다수인 여성불자의 역할은 사찰 내 음식 만들기나 공양간 봉사 등에 한정하여 종단 운영에서 배제했다. 이는 종단 관련 조직이나 단체들에서 여성 지도자의 부재를 가져왔다.[3]

불전

기원전 2세기경 인도 여성의 지위는 그 이전보다 훨씬 하락하였다고 한다.[1] 붓다 입멸 후 수 세기가 지난 뒤에 경전과 율장이 남성 출가인에 의하여 편찬되고 성문화될 때에 여성 출가인은 이 편찬회의에 참여하지 않았음을 주의해야 할 것이다.[1] 또 비구니의 행적들은 비구[주 5]승가에 의하여 전래되었고, 중국에 전하여질 때도 비구에 의하여 역출되었던 것이다.[1] 그러므로 현재 우리들이 보는 불전에는 여성에 대한 차별적인 의식이 의외로 많이 포함될 수 밖에 없다.[1]

부연 설명

  1. 여인은 전륜성왕, 제석천, 마왕, 범천, 부처가 될 수 없다는 것.
  2. 여기에서 우리는 불교교단이 처했던 당시의 인도사회 상황은 이미 여성의 지위가 하락되었음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1] 인도사회에서의 여성의 비참한 지위는 아무 거리낌없이 불교의 여인오장설을 발생케하였으며 이 설은 마누법전의 여성멸시사상들에 힘입어 불교의 논사들에 의하여 쓰여진 논서에 반영되었다고 추측된다.[1]
  3. 니승(尼僧). 여자 승려.
  4. 남성출가인일 경우에는 거주지가 성밖에 있는 것과 반대로 여성은 성내가 거주지가 되는데 당시 인도사회의 치안 유지가 곤란했음과 불교 교단이 청정행을 실천함에 있어 남성과 여성이 공동으로 기거한다면 세속의 의심의 눈을 피할 수 없기에라고 할 수 있다.[1]
  5. 남자 승려.

출처

  1.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李永子 (1958). “불교의 여성관의 새로운 인식”. 《한국여성학》 1: 56-82. 
  2. 이창숙 (2012년 6월 21일). “[열린논단] 불교에서 여성은 열등한가”. 《불교평론》. 
  3. 옥복연 (2015). 불교 경전에 나타난 여성혐오적 교리의 재해석. 한국여성학, 31(1), 95-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