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발턴

최근 편집: 2023년 1월 2일 (월) 09:32
인쇄용 판은 더 이상 지원되지 않으며 렌더링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 북마크를 업데이트해 주시고 기본 브라우저 인쇄 기능을 대신 사용해 주십시오.

서발턴(Subaltern)은 탈식민주의 이론의 개념어로 하층민, 하위주체, 종속계급 등으로 번역된다. 피지배자나 민중처럼 피억압자를 가리키는 말이지만, 담론의 측면을 보다 강조하며 계급뿐만 아니라 젠더나 인종 등 다양한 억압의 축을 보다 진지하게 고려하는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안토니오 그람시프롤레타리아를 대신해 썼던 용어로, 1980년대 초 인도의 역사학자 라나지트 구하(Ranajit Guha)를 비롯한 일군의 역사학자들이 모여 기존 식민주의적/민족주의적인 인도 역사 해석을 비판하고, 그동안 역사에서 배제되었던 인도 인민의 입장을 부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이들을 '서발턴'으로 지칭하며 연구를 시작하였다. 서발턴은 지배계층의 헤게모니에 종속되어있는 하층계급을 의미하며, 여기에는 노동자, 농민, 여성, 피식민지인 등 주변부적 부류가 포함된다.

구하의 역사연구 그룹에 속했으며, 이후 그룹을 벗어나 독자적인 연구로 전세계적 주목을 받은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연구자가 가야트리 스피박이다. 스피박의 대표 에세이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Can the subaltern Speak?)>는 서발턴의 개념을 보다 자세히 소개하고 있으며, 특히 이 글에서 스피박은 인종, 계급, 젠더의 삼중억압을 받고 있는 제 3세계 여성을 '(의견을 내고 있거나 말하려 노력하지만 그녀의 말은 전달되지 않기에) 말할 수 없는 서발턴'으로 설명한다. 사회 주류적인 언어에는 서발턴의 경험과 입장을 받아들일 수 있는 코드가 존재하지 않기에, 서발턴의 말은 사회적으로 제대로 된 말로서 수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남성·가해자 중심적인 사회에서 피해자 여성이 분노나 무력감을 토로할 경우 이는 상황의 부당성이나 절망스러움을 고발하는 표현이 아니라 병적인 증상 때문에 나오는 비합리적인 감정 분출로 여겨지기 쉽다.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