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위키:위키독/아름드리/1세대 페미니즘

최근 편집: 2023년 1월 6일 (금) 20:27


19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영국, 캐나다, 네덜란드, 미국 등을 중심으로 전개된 페미니즘 운동을 가리킨다. 여성참정권 운동을 중심으로 법률상 권리의 평등을 의제로 삼았다. 이 운동은 혁명적 시기에 분출된 요구들을 제도 개혁을 통하여 순치하려는 자유주의적 개혁 과정에서 출현했다.

 

1세대 페미니즘이라는 용어는 급진적 페미니스트들이 자신들의 이론을 2세대 페미니즘이라고 부르며 이전 시기의 자유주의 페미니즘을 1세대 페미니즘이라고 부른 데서 비롯되었다. 사회주의자들은 1세대 페미니즘이라는 용어가 유토피아 사회주의의 페미니즘 담론을 배제시킨다고 비판하기도 한다.

 

투표권의 요구는 여성 시민권에 대한 의회주의적 해법이었다. 1세대 페미니즘의 투표권 요구는 자유주의에 사상적 기반을 두었지만 투표권 운동은 사회주의 운동과 결합했다. 사회주의 운동 내부에서 여성해방에 대한 관심이 구체화된 것은 독일 사민당의 베벨이 출판한 ⌈여성과 사회주의⌋를 통해서였으며, 푸리에의 영향도 있었다. 이념을 막론하고 투표권으로 단일화된 1세대 페미니즘의 목표은 운동의 동력이었다. 운동의 성과로 1차 세계전쟁 이후 대부분의 나라에서 투표권을 도입하게 된다.

 

1. 중심 사상

  • 제레미 벤담, 「도덕과 입법의 원리 서설」 (1789) 링크

영국의 공리주의자이자 자유주의 철학자인 제레미 벤담은 투표권과 정치 참여에 있어 양성이 완전히 평등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남성과 여성에게 부과되는 불평등한 성도덕관념을 비판하였다. 자신의 저서 「도덕과 입법의 원리 서설」에서 벤담은 여성의 권리를 제한하는 이유로 여성이 남성보다 지적으로 열등하다는 근거를 대는 여러 국가의 제도를 비판하며 유능하게 섭정 통치를 했던 여러 여성들의 예를 들었다.

 

  •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여성의 권리 옹호」 (1792) 링크

 메리 울스턴크래프트는 최초의 페미니스트 철학자로 자주 언급되는 인물이다. 오늘날의 기준으로 보면 그 내용 중 다수가 시대에 뒤떨어진 주장일 수도 있으나, 「여성의 권리 옹호」는 최초의 페미니즘 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울스턴크래프트는 남성 관점의 지배에 의해 여성들이 자기 자신에 대해 제한된 기대만을 갖도록 양육되고 교육된다는 관점을 견지하였다.  

 

  • 존 스튜어트 밀, 「여성의 종속」 (1861) 링크

「여성의 종속」은 최초로 남성에 의해 집필된 페미니즘 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밀은 여성의 남성에 대한 종속은 도덕적으로 그릇되었으며 인류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라는 관점을 제시하였다. 밀은 자신의 저서에서 여성의 삶을 제한하는 세 가지로 사회와 젠더의 구조, 교육, 그리고 결혼을 들며, 모든 영역에서 양성의 완벽한 평등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페미니즘 개혁주의의 사상적 토대를 제공했다. 밀에 따르면 여성의 ‘개인적 권리’에 대한 제한이 없어진다면, 여성의 시민적 생활이 가능해질 것이다. 여성에게 가해지는 제한 중 대표적인 것이 의회 내에서 여성의 배제이다. 하지만 밀의 ‘개인적 권리’ 개념은 여성의 독자적 권리라기보다는 남성의 권리를 여성에게 확대하려는 것이었다.

 

2. 국가별 활동

2.1. 네덜란드

 네덜란드의 작가, 평화운동가, 정치가인 Wilhelmina Drucker는 여러 여성주의 정치 단체들을 설립하고 여성의 투표권과 동등한 권리를 주장하였다. 1871년 Aletta Jacobs는 대학에 입학한 최초의 여성이었다. Jacobs는 또한 최초의 여성 의사이자 학자가 되었으며, 평생을 여성 참정권, 피임권, 국제평화운동에 참여하였다. 1917년에서 1919년 사이 네덜란드에서는 여성의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2.2. 뉴질랜드

뉴질랜드의 초기 여성운동가로는  Maud Pember Reeves, Kate Sheppard, Mary Ann Müller 등의 인물이 있다. 1893년 Elizabeth Yates는 Onehunga의 시장이 되었다. 시장직을 여성이 맡은 것은 전체 대영제국 영토를 통틀어 이것이 최초였다. 여성으로서 학위를 받은 최초의 학생들로는 1895년 의학 학위를 받은 Emily Siedeberg와 1897년 법학 학위를 받은 Ethel Benjamin 등이 있다. Benjamin은 1897년 뉴질랜드 대법원의 첫 여성 법관으로 임명되었다.  

2.3. 덴마크

덴마크 최초의 여성 운동은 1871년 설립된 덴마크여성협회에 의해 주도되었다. 이 시기의 가장 주목할 만한 운동가로는 Line Luplau와 Tagea Brandt 등이 있었다. 덴마크여성협회는 1915년 덴마크 헌법의 개헌으로 여성의 투표권이 보장되고 1920년대 기회균등법이 도입되는 데 공헌하였다. 이는 여성의 교육권과 직업권을 보장하고 결혼에서의 권리를 보호하는 오늘날 덴마크 법안의 기초가 되었다.    

2.4. 미국 

마가렛 풀러의 저서 「19세기의 여성」은 미국 최초의 여성주의 출간물로 간주되며, 영국의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의 저서 「여성의 권리 옹호」에 자주 비견된다. 미국의 주요 여성주의 운동가로는 루크레티아 코핀 모트, 엘리자베스 캐디 스탠튼, 루시 스톤, 수전 B. 앤서니 등이 있다.


1세대 페미니즘 운동에는 다양한 배경의 여성들이 참여하였다. Frances Willard를 비롯한 기독교부인교풍회(WCTU)는 보수적인 기독교 그룹에 속하였으며, Matilda Joslyn Gage를 필두로 한 국가여성참정권협회(NWSA)는 2세대 페미니즘의 급진적 페미니즘과 많은 점에서 유사한 주장을 내세웠다. 그러나 1세대 페미니스트들의 대다수는 급진적이거나 혁명적이기보다 미국여성참정권협회(AWSA)와 같이 온건한 노선에 속했다. NWSA가 연방 단위의 투표권에 운동을 집중한 반면, 10배의 회원을 보유한 AWSA는 주별로 투표권을 획득하는 데 집중하였다.


1848년 뉴욕 세네카 폴즈 여성권 대회에서 미국 독립선언서의 내용을 개작한 ‘여성권 선언’은 여성이 남성과 평등하게 창조되었다고 선포했다. 여성의 투표권 박탈, 결혼에서 여성의 예속, 민법상 재산권의 결여, 경제적 종속, 고등교육과 사제직에서 여성의 배제를 성토했다. 그리고 여성의 정치적 권리에 대한 요구를 투표권 요구로 집약했다.

 

1세대 페미니즘이 진행되는 동안 노예제폐지운동과 여성참정권운동 사이의 연대도 존재했다. 흑인인권운동가 프레데릭 더글러스는 여성참정권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데, 그는 인종과 성별을 아우르는 진정한 평등을 이루기 위해 노예제폐지운동과 여성참정권운동의 연대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믿었다. 흑인 여성과 백인 여성이 함께 행진한 사례도 존재하는데, Ida B. Wells-Barnett은 일리노이주 대표단과 함께 행진한 흑인 여성이었다.

 

그러나 1866년 수정헌법 14조는 해방된 남성 흑인노예의 투표권은 인정했지만 백인과 흑인을 불문하고 여성의 투표권은 부인했다. 여성들의 분노했고 엘리자베스 캐디 스탠튼(Elizabeth Cady Stanton)과 수전 앤서니(Susan Anthony)는 수정헌법 14조를 여성에 대한 배신으로 간주했다. 같이 투쟁하던 남성 흑인노예들이 여성참정권 배제에도 불구하고 1866년 수정헌법에 만족하는 것에 실망해 여성권을 위한 투쟁에서 모든 동맹세력을 분리할 것을 선언했다. 여성들은 노예제 폐지운동에서 탈퇴하여 독자적인 여성조직을 형성했다.

 

모든 여성의 투표권을 보장한 1920년 미국 수정 헌법 제19조의 통과는 미국 1세대 페미니즘의 가장 큰 성과였다. 

2.5. 스웨덴

스웨덴에서는 18세기부터 Margareta Momma, Catharina Ahlgren, Anna Maria Rückerschöld, Hedvig Charlotta Nordenflycht등의 저자가 여성주의 의제와 성역할에 대한 논의를 내놓았지만, 실질적인 운동으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1848년 Sophie Sager가 최초로 여성주의 연설을 하였으며, 1855년 Josefina Deland에 의해 최초의 여성 단체인 은퇴여교사연합이 설립되었다.
1856년 Fredrika Bremer가 소설 Hertha를 출간함으로서 여성의 경제권과 교육권에 대한 격렬한 논쟁이 촉발되었다. 이 논쟁은 곧 결실을 맺었는데, 1858년 미혼 여성의 법적 성인 지위 인정이 가능해졌으며, 1861년에는 최초의 여자대학교가 설립되었다. 1859년에는 최초의 여성잡지인 Tidskrift för hemmet가 출간되었다.
최초의 조직화된 여성운동은 1873년 Anna Hierta-Retzius와 Ellen Anckarsvärd에 의해 기혼여성자산권연합이 설립됨으로서 시작되었으며, 1884년에는 Sophie Adlersparre에 의해 Fredrika Bremer 연합이 설립되었다. 1902년에는 마침내 전국여성참정권연합이 설립되었다.
1921년 여성참정권이 인정되었으며, 1923년에는 성직과 군인을 제외한 모든 직업에 있어 양성에게 동등한 기회를 부여하는 법안이 통과되었다. 

2.6. 영국

조직화된 영국의 첫 페미니즘 운동은 1850년대의 Langham Place Circle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이 집단은 고용에 있어서 여성의 권리 증진과 여성의 교육 증진을 위한 운동을 벌였다. 1854년 Barbara Bodichon은 「영국의 여성 관련 법안에 대한 간결한 요약」을 집필하였는데, 이는 기혼여성의 자산보유를 인정하는 법안의 통과를 지지하는 근거로 활용되었다. 1858년에는 영국 최초의 여성주의 정기간행물인 <영국 여성 저널>이 발간되었다.


1859년에는 여성의 훈련과 고용을 증진하기 위한 단체인 여성고용촉진협회가 설립되었으며, 이는 훗날 자선단체 '여성을 위한 미래'로 발전하여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1891년에는 고용 규제에 대항하여 여성의 노동권을 수호하기 위한 단체인 여성고용변호연합이 설립되었다. 20세기초 여성의 직업은 여전히 대부분 가사노동과 공장노동으로 한정되어 있었다. 1차세계대전동안 점점 더 많은 여성이 가정 밖에서 직업을 갖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직업경험을 가진 여성의 증가는 1919년 여성에게 직업을 가질 권리를 보장하는 법안의 통과로 이어졌다.


1918년 Marie Stopes는 자신의 저서 Married Love를 통해 성평등을 주장하며 여성의 성욕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1918년 30세 이상의 자산을 보유한 여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하는 법안과, 여성에게 의석을 허용하는 법안이 통과되었다. 1928년 마침내 여성에게 남성과 완전히 동등한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2.7. 페르시아(이란)

 서구의 1세대 페미니즘 운동과의 지리적·문화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1848년 바브교(바하이교)의 바다쉬트 회동은 1세대 페미니즘의 의제를 발전시키는 데 있어 역할을 담당했다. 이 회동에서 바브교 신학자이자 시인인 Fatimah Baraghani가 자신의 베일을 벗고 발언하였다. 바브교 지도자 Ali Muhammad Shirāzi는 그녀에게 '순수한 존재'라는 뜻의 Táhirih라는 이름을 붙임으로서 그녀의 행동을 지지하였다. 

2.8. 호주 

호주의 1세대 페미니즘 운동은 19세기 말에 시작되었으며 여성의 투표권과 국회의원직을 포함한 정치활동에 집중되었다. 1882년 여성인권운동가 로즈 스콧은 시드니의 자신의 집에서 매주 모임을 열며 정치가, 법률가, 자선가, 작가와 시인들과 친분을 쌓기 시작했다. 1889년 스콧은 여성문학협회를 창립하였으며 이는 1891년에 여성 참정권 연합으로 발전하였다. 

2.9. 프랑스

오클레르는 남성의 병역의 의무와 비교되는 여성의 모성의 의무에 근거하여 여성투표권을 옹호했다. 여성권 청원을 하원에 제출했다. 투표를 거부당했을 때 납세 거부를 실천해야 한다고 보았다.

 

3. 연표

1809
미국 코네티컷주: 기혼 여성이 유언장을 작성할 수 있게 되었다.

1810
스웨덴: 비공식적으로 인정되던 왕실이 미혼 여성에게 법적 성인 지위를 부여할 권리가 국회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다.

1811
오스트리아: 기혼 여성에게 남편과 별도의 경제권과 직업을 선택할 권리가 인정되었다.
스웨덴: 기혼 여성 사업가가 남편의 동의 없이 사업 결정을 내릴 권리가 인정되었다.

1821
미국 메인주: 기혼 여성은 남편이 자산을 소유하고 관리할 수 없게 된 경우 자신의 명의로 자산을 소유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1827
브라질: 여자 어린이가 교육받을 수 있는 초등학교가 최초로 설립되었고 여성이 학교 교사 직업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1829
인도: 사티(남편의 사망 시 아내를 산채로 함께 화장하던 풍습)가 금지되었다.
스웨덴: 산파들이 수술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었다.

1832
브라질: Dionísia Gonçalves Pinto라는 여성이 Nísia Floresta Brasileira Augusta라는 필명으로 「여성의 권리와 남성의 부정의」라는 제목의 첫 여성주의 서적을 출간하였다.

1833
미국 오하이오주: 미국 첫 남녀공학 대학인 오벌린 칼리지가 설립되었다.
과테말라: 이혼이 법적으로 인정되었다.

1835
미국 아칸소주: 기혼 여성이 자신의 명의로 자산을 소유할 권리가 인정되었으나 자신의 자산을 관리할 권리는 없었다.

핏케언 제도: 여성의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1838
미국 켄터키주: 학령기의 자녀를 둔 과부가 학교 의사결정 회의에서 투표할 권리가 인정되었다.
미국 아이오와주: 미국에서 최초로 이혼 시 어머니가 자녀 양육권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1839
미국 미시시피주: 기혼 여성이 자신의 명의로 자산을 소유할 권리가 인정되었으나 자신의 자산을 관리할 권리는 없었다.
영국: 이혼 시 상원의장이 어머니의 성품을 검토하여 승인하는 경우에만 어머니가 7세 이하의 자녀 양육권을 인정받을 수 있게 되었다.

1840
미국 텍사스주: 기혼여성이 자신의 명의로 자산을 소유할 권리가 인정되었다.

1841
불가리아: 최초의 비종교 여학교가 설립되었으며 여성이 교사 직업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1842
스웨덴: 의무교육 남녀공학 초등학교가 도입되었다.
1844
미국 메인주: 미국에서 최초로 기혼 여성이 남편과 별도로 자신 명의의 자산을 소유할 권리가 인정되었다. 또한 남편의 동의 없이 사업을 할 권리를 인정하는 법안이 통과되었다.

미국 메사추세츠주: 기혼 여성에게 남편과 별도의 경제권이 인정되었다.

1845
스웨덴: 남녀동등상속법이 통과되었다.
미국 뉴욕주: 기혼 여성이 특허권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1846
스웨덴: 미혼 여성이 무역업 및 공예업에 직업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1847
코스타리카: 최초의 여자고등학교가 설립되었으며 여성이 교사 직업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1848
미국 뉴욕주: 기혼 여성에게 남편과 별도의 경제권이 인정되었다.
미국: 제3당 대통령후보 Gerrit Smith가 자유당 강령에 여성참정권 항목을 포함시켰다.
페르시아(이란): 이슬람 개혁운동인 바브교가 바다쉬트 회동을 가졌다. 이 회동에서 시인이자 신학자인 Táhirih가 베일을 벗고 발언하였다.
미국: 미국 최초의 여성인권 회담인 세네카 폴즈 회담이 열렸다.

1849
미국: 영국 출신의 엘리자베스 블랙웰이 미국 최초의 여성 의사가 되었다.

1850
잉글랜드: 영국 최초의 조직적 여성운동인 Langham Place Circle이 시작되었다. 여성의 노동권과 교육권을 주장하였다.
아이티: 최초의 정식 여학교가 설립되었다.
아이슬란드: 남녀동등상속법이 도입되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기혼 여성에게 남편과 별도의 경제권이 인정되었다.
미국 위스콘신주: 기혼 여성에게 남편과 별도의 경제권이 인정되었다.
미국 오리건주: 미혼 여성이 토지를 소유할 권리가 인정되었다.
덴마크: 덴마크 최초의 여성주의 서적인 Mathilde Fibiger의 「클라라 라파엘, 열두 글자」가 출간되었다.

1851
과테말라: 경제적으로 독립된 여성에게 시민권이 부여되었으나, 1879년 폐지된다.
캐나다 뉴브룬스윅주: 기혼 여성에게 남편과 별도의 경제권이 인정되었다.

1852
미국 뉴저지주: 기혼 여성에게 남편과 별도의 경제권이 인정되었다.

1853
콜롬비아: 이혼이 법적으로 인정되었다.
스웨덴: 초등학교 교사 직업이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허가되었다.

1854

노르웨이: 남녀동등상속법이 도입되었다.
미국 메사추세츠주: 기혼 여성에게 남편과 별도의 경제권이 인정되었다.
칠레: 최초의 여자 초등학교가 설립되었다.

1855
미국 아이오와주: 아이오와 주립대가 미국 최초의 남녀공학 공립 대학교가 되었다.
미국 미시건주: 기혼 여성에게 남편과 별도의 경제권이 인정되었다.

1857
덴마크: 미혼 여성에게 법적 성인 지위가 인정되었다.
덴마크: 미혼 여성이 무역업 및 공예업에 직업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영국: 이혼이 법적으로 인정되었다.
네덜란드: 남녀 공통으로 초등교육이 의무화되었다.
스페인: 남녀 공통으로 초등교육이 의무화되었다.
미국 메인주: 기혼 여성이 자신의 소득을 관리할 권리가 인정되었다.

1858
러시아: 여자 중고등학교가 설립되었다.
스웨덴: 미혼 여성이 법적 성인 지위를 신청할 경우 지위가 인정되었다.

1859
캐나다 웨스트주: 기혼 여성에게 남편과 별도의 경제권이 인정되었다.
덴마크: 공립학교 교사 직업이 여성에게 허용되었다.
러시아: 여성이 대학 강의를 청강할 수 있게 되었으나 1863년에 취소되었다.
스웨덴: 여성에게 대학 강사와 낮은 직급의 공무원 직업이 허용되었다.
미국 캔자스주: 기혼 여성에게 남편과 별도의 경제권이 인정되었다.

1860
미국 뉴욕주: 자녀에 대한 공동 양육권이 인정되었으며 여성이 재산을 상속할 권리가 인정되었다.

1861
호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재산을 소유한 여성이 지역 선거에서 투표할 권리가 인정되었다.
미국 캔자스주: 모든 여성에게 학교 의사결정 회의에서 투표할 권리가 인정되었으며 대다수의 미국 주들이 20세기가 되기 전까지 그 뒤를 따랐다.

1862
스웨덴: 여성이 지역 선거에서 투표할 권리가 제한적으로 인정되었다. 1919년에는 모든 선거에서 투표할 권리가 제한적으로 인정되었으며, 1921년에 모든 제한사항이 철폐되었다.

1863
핀란드: 세금을 납부하는 여성이 지방의 지역선거에서 투표할 권리가 인정되었으며, 1872년 도시의 지역선거에서도 투표할 권리가 인정되었다.

1869
영국: 여성이 지역 선거에서 투표할 권리가 인정되었다.
미국 와이오밍주: 미국 주 최초로 여성의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1870
미국 유타주: 여성의 투표권이 인정되었으나, 1887년 연방국회에서 유타주의 일부다처제를 제한하기 위한 시도로서 여성의 투표권이 폐지되었다가 1895년 다시 도입되었다.
잉글랜드: 여성이 자신의 소득과 자산을 관리할 권한을 가지게 되었다.

1871
덴마크: Mathilde Bajer와 남편 Frederik Bajer에 의해 전 세계 최초의 여성인권단체 Danish Women's Society가 설립되어 지금까지 운영되고 있다.
네덜란드: 네덜란드 최초의 여자 대학생 Aletta Jacobs가 그로닝겐 대학에 입학하였다.
1872
핀란드: 도시 지역의 세금을 납부하는 여성이 지역 선거에서 투표할 권리가 인정되었다.
1881
맨 제도: 투표권이 자산을 소유한 미혼 여성과 과부에게도 인정되어 700여명의 여성이 새로이 투표권을 갖게 되었다.
1884
캐나다: 오하이오주에서 최초로 과부와 미혼 여성이 지역 선거에서 투표할 권리가 인정되었다.
1886
미국: 6개 주를 제외한 모든 주가 가정폭력에 근거한 이혼을 허용하였다.
대한민국: 한국 최초의 여자 대학교인 이화여자대학교가 미국 선교사 메리 F. 스크랜튼에 의해 설립되었다.
1891
호주: The New South Wales 여성 참정권 연맹이 설립되었다.
1893
미국 콜로라도주: 여성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뉴질랜드: 전 세계 최초로 모든 여성에게 총선에 투표할 권리가 인정되었다.
쿡 제도: 여성에게 지역과 전국 의원 선거에 투표할 권리가 인정되었다.
1894
호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여성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영국: 기혼 여성에게 지역 선거에서 투표할 권리가 인정되었다.
1895
미국: 거의 모든 주에서 기혼 여성이 남편의 동의 없이 소득과 자산을 소유하고 관리할 권리를 인정하는 법률들이 통과되었다.
1896
미국 아이다호주: 여성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1900
호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여성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벨기에: 미혼 여성에게 법적 성인 지위가 인정되었다.
이집트: 카이로에 여자 사범학교가 설립되었다.
프랑스: 여성이 법률가가 되는 것이 인정되었다.
대한민국: 여성의 우체국 근무가 가능해졌다.
튀니지아: 최초의 공립 여자 초등학교가 설립되었다.
일본: 최초의 여자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독일 Baden: 여성이 대학에 입학할 수 있게 되었다.
스웨덴: 여성 공장 노동자들이 출산휴가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1901
불가리아: 여성이 대학에 입학할 수 있게 되었다.
쿠바: 여성이 대학에 입학할 수 있게 되었다.
덴마크: 모든 여성이 출산휴가를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스웨덴: 스웨덴 최초로 출산휴가법이 도입되었다.
호주 연방: 전체 주에 동일한 투표권이 적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첫 총선이 치러졌다.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와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에서는 여성이 투표에 참여했으며,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에서는 원주민도 투표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퀸즐랜드와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에서는 원주민의 투표 참여가 금지되었다.

1902
중국: 전족 제도가 법으로 금지되었다.
엘살바도르: 기혼 여성에게 남편과 별도의 경제권이 인정되었다.
엘살바도르: 기혼 여성에게 법적 성인 지위가 인정되었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즈주: 여성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잉글랜드: 북잉글랜드 지역의 섬유공장 여성 노동자들의 대표단이 37,000명의 서명과 함께 국회에 여성 투표권을 청원하였다. (*영화 <a href="/wp-d/5794dd11e70c5cb308fc276f/View">서프러제트</a>에 등장하는 사건이다.)
1903
독일 Bavaria: 여성이 대학에 입학할 수 있게 되었다.
스웨덴: 여성이 보건소에서 일할 수 있게 되었다.
호주: Tasmania 여성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잉글랜드: WSPU(여성사회정치연합)이 설립되었다.

1904
니카과라: 기혼 여성에게 남편과 별도의 경제권이 인정되었다.
니카과라: 기혼 여성에게 법적 성인 지위가 인정되었다.
독일 Württemberg: 여성이 대학에 입학할 수 있게 되었다.
잉글랜드: 여성참정권운동가 Dora Montefiore이 여성은 참정권이 없다는 근거로 세금 납부를 거부하였다.
1905
호주 퀸즐랜드주: 여성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아이슬란드: 여성이 학교에 입학할 수 있게 되었다.
러시아: 여성이 대학에 입학할 수 있게 되었다.
잉글랜드: 크리스타벨 팽크허스트와 애니 케니가 여성참정권 운동에 참여하다 체포된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
1906
핀란드: 유럽 최초로 여성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온두라스: 기혼 여성에게 남편과 별도의 경제권이 인정되었다.
온두라스: 기혼 여성에게 법적 성인 지위가 인정되었다.
온두라스: 이혼이 법적으로 허용되었다.
대한민국: 여성이 간호사 직업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니카과라: 이혼이 법적으로 허용되었다.
스웨덴 : 1862년에 기혼 여성에게 인정된 지역 선거 투표권이 미혼 여성에게도 인정되었다.
독일 Saxony: 여성이 대학에 입학할 수 있게 되었다.
잉글랜드: 여성사회정치연합(WSPU)과 전국여성참정권운동연합(NUWSS)의 대표단이 영국 총리 Sir Henry Campbell-Bannerman과 회담을 가졌다.
잉글랜드: 데일리메일 신문이 여성사회정치연합(WSPU)의 여성들을 모욕하는 의미로 만들어낸 조어 '서프러제트'를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영국: Mary Reid MacArthur가 영국여성노동자연합을 설립하였다.

1907
프랑스: 기혼 여성이 자신의 수입을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프랑스: 여성이 자신의 자녀에 대한 보호권을 갖게 되었다.
노르웨이: 여성이 선거에 입후보할 권리가 제한적으로 인정되었다.
핀란드: 전 세계 최초로 여성 국회의원들이 선출되었다.
우루과이: 이혼이 법적으로 허용되었다.
잉글랜드: 전국여성참정권운동연합(NUWSS)이 최초의 전국적 시위 운동을 개진하였다. 이 시위는 당일 쏟아진 비로 시위에 참여한 여성들이 진흙탕이 된 거리를 행진했기 때문에 훗날 'Mud March'라는 이름이 붙었다.
잉글랜드: Emmeline Pethick-Lawrence와 남편 Frederick이 여성참정권 소식지 "Votes for Women"을 창간하였다.
잉글랜드: Charlotte Despard를 비롯한 몇몇 여성들이 여성사회정치연합(WSPL)에서 분리되어 나와 여성참정권연맹(WFL)을 설립하였다.
잉글랜드: 'The Qualification of Women Act' 법안이 통과되어 여성이 시장 및 시의원 선거에 출마할 수 있게 되었다.
1908
벨기에: 법정에서 여성이 증인으로 설 수 있도록 인정되었다.
덴마크: 미혼 여성이 자신의 자녀의 보호자가 될 수 있게 되었다.
페루: 여성이 대학에 입학할 수 있게 되었다.
독일 Prussia, Alsace-Lorraine, Hesse: 여성이 대학에 입학할 수 있게 되었다.
덴마크: 25세 이상의 여성이 지역 선거에서 투표할 권리가 인정되었다.
호주: 여성이 주 선거에서 투표할 권리가 인정되었다.
잉글랜드: 여성참정권운동가들이 영국 총리 관저 앞의 난간에 자신의 몸을 묶고 시위를 하였다. 에멀린 팽크허스트가 처음으로 체포되었다. 여성사회정치연합(WSPL)이 돌 던지기 캠페인을 처음으로 시작하였다.
1909
스웨덴: 여성들이 시의원에 입후보할 수 있게 되었다.
스웨덴: 공직 지원서에 '스웨덴 남자'라는 문구가 삭제되어 여성도 공직에 지원할 수 있게 되었다.
독일 Mecklenburg: 여성이 대학에 입학할 수 있게 되었다.
잉글랜드: Marion Wallace Dunlop이 수감된 여성참정권운동가 중 처음으로 단식투쟁을 시작하였다. 강제 급식이 실시되었다.
바하이교 시카고 지역 집회에서 처음으로 여성이 정의원으로 선출되었다. 9명의 정의원 중 여성은 3명이었다.
1910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회담에서 여성인권운동을 기념하고 여성참정권운동을 지원하는 의미에서 '국제 여성의 날'이 선포되었다.
미국 워싱턴주: 여성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에콰도르: 이혼이 법적으로 허용되었다.
잉글랜드: 조정 법안이 통과되지 않자 국회의사당 앞에서 여성참정권운동가들과 경찰의 무력 충돌이 있었다. Ellen Pitfield가 이날 입은 부상으로 인해 사망하였다.
1911
잉글랜드: Dame Ethel Smyth가 "여성의 행진"이라는 여성참정권운동 노래를 작곡하였다.
포르투갈: 기혼 여성에게 법적 성인 지위가 인정되었다.
포르투갈: 이혼이 법적으로 허용되었다.
미국 캘리포니아: 여성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오스트리아, 덴마크, 독일, 스위스: 3월 19일을 여성의 날로 지정하였다. 백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국제 여성의 날 행진에 참여하였다.
남아프리카공화국: Olive Schreiner가 「여성과 노동」을 출간하였다.
1912
미국 오리건, 캔자스, 아리조나주: 여성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잉글랜드: 실비아 팽크허스트가 East London Federation of Suffragettes를 설립하였다.
1913
러시아: 러시아 여성들이 국제 여성의 날을 2월 마지막주 일요일로 지정하였다. 토론 후에 국제 여성의 날은 3월 8일로 옮겨졌으며 오늘날까지 유지되고 있다.
미국 알라스카주: 여성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노르웨이: 여성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일본: 여성이 공립 대학에 입학할 수 있게 되었다.
잉글랜드: 여성참정권운동가 Emily Davison이 엡솜 경마장에서 영국 국왕의 말에 치여 사망하였다. (*영화 서프러제트에 등장하는 사건이다.)
잉글랜드: 5만여명의 여성이 전국여성참정권운동연합(NUWSS)이 주최한 행진에 참여하였다.
1914
러시아: 기혼 여성이 남편과 별도로 국내 여권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미국 몬타나, 네바다주: 여성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잉글랜드: 여성참정권운동가 Mary Richardson이 런던 내셔널 갤러리에 전시된 벨라스케스의 그림 Rokeby Venus를 손상시켰다.
1915
덴마크: 덴마크 여성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아이슬란드: 제한적으로 여성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미국: 미국의사협회(AMA)가 여성 회원을 받아들였다.
웨일즈: 북웨일즈의 Llanfairpwll에 영국 최초의 여성 대학이 설립되었다.
1916
캐나다: Alberta, Manitoba, Saskatchewan 주에서 여성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미국: Margaret Sanger가 미국 최초의 피임 진료소를 열었다.
잉글랜드: 단식투쟁으로 인해 건강이 악화된 여성참정권운동가들을 임시석방하는 'Cat and Mouse Act' 법안이 도입되었다.

1917

쿠바: 기혼 여성에게 남편과 별도의 경제권이 인정되었다.
쿠바: 기혼 여성에게 법적 성인 지위가 인정되었다.
네덜란드: 여성에게 선거에 입후보할 권리가 인정되었다.
멕시코: 기혼 여성에게 법적 성인 지위가 인정되었다.
멕시코: 이혼이 법적으로 허용되었다.
미국 뉴욕주: 여성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벨라루스: 여성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러시아: 소비에트 연합의 여성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1918
쿠바: 이혼이 법적으로 허용되었다.
러시아: 소비에트 연합의 헌법에 '여성은 남성과 동등한 권리를 지닌다.'라고 명시되었다.
태국: 여성이 대학에 입학할 수 있게 되었다.
잉글랜드: Marie Stopes가 여성의 성적 욕망을 인정하는 내용의 성 지침서 「Married Love」를 발간하였다. 1935년의 조사에 따르면 이 책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아돌프 히틀러의 「나의 투쟁」,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 케인즈의 「평화의 경제적 귀결」을 제치고 '50년간 출간된 가장 영향력있는 25권의 책'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미국 미시건, 사우스 다코타, 오클라호마: 여성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오스트리아: 여성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캐나다: 전국 투표에서 여성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영국: 30세 이상의 경제력이 있는 여성은 투표할 수 있는 법안이 통과되었다. 이 법안으로 인해 투표권을 갖게 된 여성은 850만여명으로, 영국 여성 인구의 약 40%였다.
영국: 여성이 국회의원으로 입후보할 수 있는 법안이 통과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 여성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1919
독일: 독일 여성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아제르바이잔: 여성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이탈리아: 여성이 자신의 소득을 관리할 권리와 몇 가지 법적 지위를 획득하였다.
영국: 'The Sex Disqualification (Removal) Act'가 통과되었다. 해당 법안은 “누구든 성별이나 결혼 여부에 의해 공적 역할을 수행하는 데 있어, 민간·사법적 직무나 직위에 지명되는 데 있어, 직업이나 직무를 취득하고 진행하는 데 있어 자격을 박탈당해서는 안 된다."라고 명시하였다.
룩셈부르크: 여성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캐나다: 여성이 연방 선거에 입후보할 자격이 인정되었다.
네덜란드: 네덜란드 여성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뉴질랜드: 여성이 국회의원에 입후보할 자격이 인정되었다.
잉글랜드: 낸시 애스터가 최초의 여성 하원의원이 되었다.
1920
중국: 베이징 대학에 최초의 여학생이 입학하였다.
아이티: 여성이 약제사 직업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대한민국: 여성에게 전화교환수와 점원 등 몇몇 직업이 허용되었다.
스웨덴: 기혼 여성에게 법적 성인 지위가 인정되었다. 여성에게 동성결혼이 허용되었다.
미국: 헌법 개정으로 모든 미국 여성의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잉글랜드: 옥스포드 대학이 여성의 학위취득을 인정하였다.
1921
잉글랜드: Lady Rhondda가 여성의 사회적, 정치적, 직업적, 도덕적, 경제적, 법적 평등을 증진하기 위해 Six Point Group을 창설하였다.
1922
중국: 국제 여성의 날이 처음으로 기념되었다.
영국: 아내와 남편이 평등하게 상속을 받는 법안이 통과되었다.
잉글랜드: The Infanticide Act가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여성이 자신의 아이를 죽였을 경우 사형 판결이 내려지지 않게 하였다.
1923
니카과라: Elba Ochomogo가 니카과라 최초로 학위를 취득한 여성이 되었다.
잉글랜드: 남편이 간통을 저질렀을 경우 여성이 이혼을 요구할 수 있는 법안이 통과되었다.
1925
영국: 부모 양측이 자신의 자녀에 대해 동등한 권리를 갖게 되었다.

1928

영국: 모든 여성에게 남성과 완전히 동일한 투표권이 인정되었다. 

 

참고문헌

  • Wikipedia "Feminism" 페이지
  • Wikipedia "First-wave feminism" 페이지
  • 권현정 외, 2003, 페미니즘 역사의 재구성, 공감.
  • 김수영, 고려대학교 2011년 2학기 '성과 사회' 강의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