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ic information
Display title | 페미위키:위키독/아름드리/5.16 군사정변 |
Default sort key | 위키독/아름드리/5.16 군사정변 |
Page length (in bytes) | 2,277 |
Namespace ID | 4 |
Namespace | 페미위키 |
Page ID | 69165 |
Page content language | ko - 한국어 |
Page content model | wikitext |
Indexing by robots | Allowed |
Number of page watchers | 0 |
Number of page watchers who visited recent edits | There may or may not be a watching user visiting recent edits |
Number of redirects to this page | 0 |
Number of subpages of this page | 0 (0 redirects; 0 non-redirects) |
위키베이스 item ID | None |
Page protection
Edit | Allow all users (infinite) |
Move | Allow all users (infinite) |
Edit history
Page creator | areumdri>polity |
Date of page creation | 22:58, 28 July 2016 |
Latest editor | LarodiBot (talk | contribs) |
Date of latest edit | 19:35, 6 January 2023 |
Total number of edits | 6 |
Recent number of edits (within past 90 days) | 0 |
Recent number of distinct authors | 0 |
SEO properties
Description | Content |
Article description: (description )This attribute controls the content of the description and og:description elements. | 베링턴 무어는 "권력의 중심부에서 약간 소외된 엘리트가 쿠데타나 혁명을 하면 성공가능성이 높다"는 이론을 제시했다. 권력을 많이 가진 중심부는 이권을 직접 배분하는 기능을 해서 부정부패에 연루될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소외된 엘리트는 깨끗하다고 주장할 수 있다. 또 소외되어서 중심부의 견제와 감시망을 피할 수 있다. 불만을 가진 세력이 힘을 합칠 수 있다. 비주류적 성향 때문에 일부 진보 시민사회세력이 암묵적 혹은 공개적 지지를 할 수 있다. 한국 군부는 미군이 교육하고 훈련시키며 잘 조직되었고 엘리트로 채워졌다. 이는 미국의 세계전략의 일환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