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위키:포크 프로젝트/리브레 위키/경원선

최근 편집: 2021년 11월 8일 (월) 14:24

틀:철도 노선 정보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연결할 노선이자, 현재는 분단된 노선으로,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 서울특별시부터 강원도 북부의 항구도시 원산시를 연결하던 노선이다. 함경선과 함께 러시아 방면 간선축을 담당하는 노선이지만, 현재는 한반도 분단으로 인해 강원도 철원군 백마고지역까지만 운행된다.

경의선과 달리 선로가 끊겼으며, 일부는 철거되어 연결조차 되어있지 않다. 유라시아 횡단 철도 접속을 위해 단절 구간 복구가 개시[1]되었다. 1단계 공사에서 민간인통제선 ~ 비무장지대 남방한계선까지 복구하며 2단계 공사에서 DMZ 내부 공사를 진행한다. 하지만 과거 김대중 · 노무현 정부 시절과 달리 박근혜 정부 시기의 남북 관계는 급격히 냉각되었을 뿐만 아니라, 구체적으로 협의된 바도 없어 남한 구간만 추진되는 중. 연결될 북한측 노선은 북한이 임의로 강원선으로 부르고 있다.

역사

운행

이렇게 끊겨 있는 경원선인데다가, 하필 서울시내 동북부를 쭉 따라 올라가는 바람에 70년대부터 간선철도 같은 느낌 대신 수도권 전철의 연장으로 근교철도 같은 느낌으로 변모했다. 그나마 전 구간이 비전철로 통근열차가 운행되던 경의선과는 달리, 이미 용산부터 성북까지 수도권 전철에 편입되었으며, 이후 경원선 구간 연장에 따라 현재는 동두천까지 그 경계가 올라간 상태이다. 배선 역시 수도권 전철 전용 노선에 거의 준할 정도로 고정되었는데, 지하철 방면으로 선로가 고정되어 회기역에서 중앙선 방면 선로와의 평면교차 없이는 용산역 방향으로 진행할 수가 없다. 때문에 과거 경춘선 개량 전 무궁화호는 평면교차를 감수하고 넘어가곤 했었다.

동두천 이북으로는 통근열차가 운행하지만, 의정부 종착 시절에 비해 크게 수요가 감소하여 편수도 줄어든 상황이며, 차후 2019년에 예정된 연천까지 수도권 전철이 연장된다면 경의선과 비슷하게 DMZ-Train으로의 운행으로 때울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경춘선 복선 전철화 이전 무궁화호는 청량리부터 성북 구간을 달렸으나, 복선 전철화 이후에는 수도권 전철이 운행되며 중앙선 상봉역 발착으로 바뀌었다. 하지만 ITX-청춘이 운행을 시작하며 이번에는 경원선 용산 ~ 청량리 구간에 경춘선 방면 열차가 들어오기 시작했다. 경춘선 방면에 대해서는 경춘선 문서를 참고하라.

통근열차

과거 통일호를 전신으로 하는 열차로, 모든 역에 정차한다. 경원선 통근열차가 한국철도에 마지막 남은 통근열차 계급의 열차다.

1호선

다음을 참고할 것 수도권 전철 1호선

최초에 수도권 전철이 개통할 당시부터 지하철에서 나와 서울 동부의 지역 통근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성북역까지 역간 거리를 좁혀 역을 신설하여 국철로써 운행된 것이 경원선에서의 수도권 전철 운행의 시작이었다. 이후 80년대 중반에 서울 동북부가 본격적으로 밀집 주거단지로 개발되면서, 의정부까지 연장되어 운행을 시작한다. 20년 동안 이 체계가 굳어지다가, 2000년대 중반 다시 동두천소요산까지 운행이 연장되면서 현재에 이르게 된다.

급행 운전은 경인선 완행 열차중 출퇴근시간대 일부열차에 한해 실시되었으나, 2018년 7월 1일 시각 개정에서 낮시간대 급행 운전이 추가되었다.

경의·중앙선

다음을 참고할 것 경의·중앙선

사실 국철로써 1979년에 용산부터 왕십리 경유 성북까지 운행하던 것이 그 시초가 된 계통이다. 최초 개통 이전에는 1시간 간격으로 기동차 내지 객차열차가 운행하였으며, 1979년 12월 9일부로 전철화가 완료되어 수도권 전철 체계에는 들어갔으나 차량수급 등의 문제로 고상 개조를 거친 니이가타 형 기동차 등이 혼합 운행되고는 했었다. 하지만 이후 차량 수급이 개선되고 부터는 전동차가 투입되기 시작한다. 하지만 평면교차 지장이나 용산역의 회차여건 탓에 편수는 많지 않았다. 이후 2000년대 들어서 국철 대신 안내 체계 정리를 통해 1호선으로 편입되었으나, 2005년 중앙선 복선전철화 완료 이후 1호선과 별도의 계통으로 분리되어 떨어져 나온다. 한동안 명칭이 정해져 있지 않다가, 경원선 구간이 들어감에도 중앙선 구간을 주도적으로 운행하는 까닭에 중앙선 전철로 명명되어 운행되기 시작한다. 이후 용산선을 통한 경의선 전철과의 직결이 이루어지면서 현재의 명칭이 자리잡게 된다.

수인·분당선

다음을 참고할 것 수인·분당선

관광열차

경의선과 마찬가지로, 안보 관광 수요가 꾸준히 있는 지역이기 때문인지 DMZ-Train이 운행되고 있다. 다만 경의선처럼 통근열차가 폐지된 것은 아니나, 장기적으로는 전환될 가능성도 있기는 하다.

역 목록

용산 ~ 청량리

번호 km 역명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청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급 연계 노선
용산선 직결운행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경의·중앙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K110 0.0 용산 용산선 (연결)
경부선: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1호선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4호선 (신용산역, 환승 할인 없음)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0.8 (분기점) 용산삼각선 (연결)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K111 1.9 이촌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4호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K112 3.6 서빙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K113 5.5 한남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K114 7.1 옥수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3호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K115 8.9 응봉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K116 10.3 왕십리 분당선 (연결):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수인·분당선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2호선,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5호선,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동북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K117 12.7 청량리 중앙선 (연결)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1호선,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수인·분당선
중앙선 직결운행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경의·중앙선)

청량리 ~ 백마고지

  • 회기 ~ 소요산 구간: 1호선 일반열차 모든 역에 정차 (마전 제외)
  • :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열차
  • ●: 모든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번호 km 역명 연계 노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K117 12.7 청량리 틀:세로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1호선,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수인·분당선
중앙선 (연결)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 (분기점) 도시철도 1호선 (연결):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1호선 직결운행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123 14.1 회기 틀:세로 중앙선: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경의·중앙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122 14.9 외대앞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121 15.7 신이문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120 17.1 석계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6호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119 18.2 광운대 망우선: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경춘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118 19.3 월계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동북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117 20.7 녹천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116 21.7 창동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4호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115 23.4 방학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114 24.7 도봉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113 25.9 도봉산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7호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112 28.2 망월사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111 29.6 회룡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의정부경전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110 31.2 의정부 교외선 (연결)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109 32.4 가능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108 33.7 녹양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107 35.3 양주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7.5 마전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106 40.9 덕계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105 43.5 덕정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104 49.1 지행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103 50.1 동두천중앙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102 51.5 보산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101 53.1 동두천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100 55.6 소요산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59.7 초성리 틀:세로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62.7 한탄강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65.2 전곡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73.8 연천
77.4 신망리
84.4 대광리
88.8 신탄리
94.4 백마고지
철원
월정리 경원선 미수복 구간 (강원선)

폐역

  1. http://www.yonhapnews.co.kr/economy/2015/08/05/0302000000AKR20150805086400003.HTML 철원 백마고지역서 '경원선 남측구간' 기공식], 연합뉴스, 2015.08.05
  2.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173호
  3. 영업거리로는 청량리역과 동일

틀:대한민국의 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