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위키:포크 프로젝트/리브레 위키/공집합

최근 편집: 2021년 11월 14일 (일) 13:47

정의

파일:Box-308680 640.png
공집합은 아무것도 들어 있지 않은 빈 상자에 비유할 수 있다.

원소를 가지지 않는 집합공집합(empty set)이라고 한다. , ∅, 또는 으로 나타낸다. ∅와 기호는 1939년 수학자 집단인 니콜라 부르바키가 처음 사용했다고 알려져 있다.[1]

예시

  • 방정식 의 실근의 집합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존재성과 유일성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에서는 존재공리(The axiom of existence)[2]

에 의해 공집합의 존재성을 보장받는다. 확장공리(The axiom of extensionality)

에 의해 공집합이 유일함을 증명할 수 있다.

AB를 공집합이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A의 임의의 원소는 B의 원소이며, 마찬가지로 B의 임의의 원소는 A의 원소임을 안다. (뭐?)[3] 따라서 확장공리에 의해 A=B이다.

공집합이 유일함을 보이는 형식적 증명
번호 정당화
1 가설: A는 공집합.
2 가설: B는 공집합.
3 확장공리
4 (1)에서 Universal instantiation
5 (2)에서 Universal instantiation
6 (4)에서 Negation introduction
7 (5)에서 Negation introduction
8 (6)과 (7)에서 Biconditional introduction
9 (8)에서 Universal generalization
10 (3)에서 Universal instantiation
11 (9)와 (10)에서 Modus ponens

자연수의 집합론적인 구성

공집합은 유일하다는 성질로 인해 자연수를 구성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로 정의한다. 그러면

이므로, x의 계승자(successor) [4]

로 정의하자.자연수의 자리를 계승하는 중입니다. 집합 I가 다음 조건

  • 이면 이다.

을 만족하면 I를 귀납적 집합(Inductive set)이라고 한다.[5] 그리고 임의의 귀납적 집합의 원소인 원소들의 집합을 자연수의 집합 이라고 하고, 자연수의 집합의 원소를 자연수라고 한다.

성질

임의의 집합 A에 대해,

  • 공집합은 A의 부분집합이다.
  • A가 공집합의 부분집합이면 A는 공집합이다.
  • 공집합과 A의 합집합은 A이다.
  • 공집합과 A의 교집합은 공집합이다.
  • 공집합과 A의 곱집합은 공집합이다.

는 존재하지 않는다. 만약 존재한다면, 다음 명제가 성립한다.

그러면 는 공진명제이므로 결국 임의의 x에 대해 이다. 따라서 모든 집합의 집합이 되므로 모순이다.

같이 보기

  1. Earliest Uses of Symbols of Set Theory and Logic. 2015년 6월 11일에 확인.
  2. 공집합 공리(The axiom of empty set)라고도 한다.
  3. 실제로는 공진(vacuously true)인 문장이기 때문이다.
  4. 이때 + 기호는 절대 덧셈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자연수의 덧셈을 정의하기 전까지는...
  5. 귀납적 집합의 존재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무한공리(The axiom of infinity)가 필요하다. 자세한 사항은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을 참고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