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2022년 12월 28일 (수) 12:13

(에)는 가 합쳐진 것이다.

중세 한국어에서는 이중모음인 [əɪ]로 소리가 났던 것이 18세기에서 19세기 사이에 단모음 [e]로 바뀌었다. 근대 이전에는 남부 방언의 화자들 만이 ㅔ·ㅐ를 변별하지 못하였으나, 현대 한국어 화자들은 지역을 가리지 않고, 젊은 세대일 수록 ㅔ·ㅐ의 변별을 하지 못한다. 때문에 ㅔ와 ㅐ의 구별을 위하여 ㅔ를 '어이'혹은 'ㅓ에 ㅣ'로 부르곤 한다.

노래에서는 접근음을 넣어 [je]라고 발음하기도 한다. 주로 모음이 선행할 때 접근음화하는데, 자음으로 끊어주지 않고 모음만 연속적으로 발음하면 음절 구분이 힘들어지기 때문에 접근음을 넣어 앞 모음과 분리해주는 것.

  • 나의 → [나에] → [나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