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는 여자를 형상화한 한자로, 상형자이다. 여자가 손을 앞으로 모으고 무릎을 꿇고 앉아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인데, 최초에는 여자가 아니라 사람이 신을 섬기는 모습을 나타낸 글자였다고도 한다.[1]
음은 녀(여), 훈은 계집/여자이다. 2000년대 이후로는 옥편이나 한자 입력기 등지에서 "여자 녀/여"라고 표시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이전에는 대체로 "계집 녀"라는 이름으로 알려지던 자이다. 한자의 음과 훈이 정립된 조선시대에는 여성의 낮은 사회적 지위와는 별개로 '계집'이 딱히 여성을 낮춰 부르려고 일부러 쓰는 말은 아니었지만, 현대에 들어 용례가 비칭으로 굳어져가며 이와 같이 바꾸는 것으로 보인다.
초서로 쓰면 め 모양이 된다.
여성혐오적인 제자 원리
女자를 부수로 하는 한자들의 자원을 보면 성역할 고정관념을 가진 타자적 입장에서 여성적으로 여긴 특성에서 뜻을 따 만들어진 것이 많다.[2] 이는 초기 한자가 형성되던 고대 중국의 문해층은 대부분 지배계급의 남성이었기 때문에 그들이 가진 편견을 그대로 투영한 것이다. 이 때문에 중국에서는 여성을 경시하거나 부정적인 이미지를 주는 16개 글자에 들어 있는 '女' 부수를 대체하거나 없애자는 주장이 제기된 적도 있다.[3] 또한 혼인 및 가족관계와 관련된 자에도 많이 분포한다.
女를 부수로 하는 자
- 女, 娘, 媛 (여자 녀, 낭, 원)
- 孃(아가씨 양)
혼인, 가족 관련인 것
|
- 姓(성씨 성)
- 媒(중매 매)
- 媤(시집 시)
- 嫁(시집갈 가)
- 娶(장가들 취)
- 婚(혼인할 혼)
- 姻(혼인 혼)
- 嫡(정실/본마누라 적)
- 妾(첩 첩): 남자 옆에 서서(☞立) 시중을 드는 여자(☞女)로 첩을 뜻함.
- 婦(며느리 부)
- 姉(손윗누이 자)
- 姊(손윗누이 자)
- 妹(누이 매)
- 姑(시어미 고)
- 姪(조카 질)
- 姨(이모 이)
- 嫂(형수 수)
- 婿(사위 서)
- 妊(아이 밸 임)
- 娠(아이 밸 신)
- 娩(낳을 만)
- 嬰(어린아이 영)
- 孀(홀어머니 상)
- 妣(죽은 어머니 비)
- 婆(할미 파)
- 姬(계집 희/왕후 이)
- 嬪(궁녀/아내 빈)
- 妃(왕비 비)
|
여성을 대상화하는 것
|
- 妨(방해할 방)
- 婢(계집종 비)
- 奴(종 노): 손을 그린 又자에 女자가 결합한 奴자는 여자 노비를 부리는 모습을 표현했었으나 나중에 남성 노비, 천한 신분을 이르는 말로 전용되고 婢자가 따로 생겼다.
- 妄(망령될 망)
- 姦(간사할/간음할 간): 그저 여자 셋을 붙여놓았을 뿐인데 간사함, 간음의 뜻이 붙어 있다.
- 奸(간사할/간음할 간)
- 嫌(싫어할 혐): 女에 兼(겸할 겸)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兼자는 한 번에 많은 벼를 쥐고 있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겸하다’나 ‘배가 되게 하다’라는 뜻이 있다. 이렇게 ‘배가 되다’라는 뜻을 가진 兼자에 女자를 결합한 嫌자는 ‘의심이나 증오가 매우 심하다’라는 뜻이 되었다.[4]
- 嫉(미워할 질)
- 妬(샘낼 투)
- 奻(시끄러울 난)
- 媚(예쁠 미/아첨할 미)
- 妖(요사할/예쁠 요)
- 妓(기생 기)
- 娼(창녀 창)
- 嬲/嫐(희롱할 뇨)
- 始(비로소 시)
- 好(좋을 호)
- 如(같을 여)
- 妙(묘할 묘)
- 姿(맵시 자)
- 委(맡길 위)
- 威(위엄 위)
- 妥(온당할 타): 갑골문에 나온 妥자를 보면 여자의 머리채를 붙잡으려는 듯한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여자를 복종시킨다는 뜻이다. 집안이 평안해지려면 여자를 복종시켜야 한다는 의미였다. 이러한 행동은 당연하다는 뜻이 확대되면서 妥자는 후에 ‘마땅하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5]
- 娛(즐길 오)
- 姸(고울 연)
- 嬌(아리따울 교)
- 娑(춤출 사/사바 세상 사)
- 婉(순할/아름다울 완)
- 嬅(탐스러울 화)
- 嬉(아름다울/즐길 희)
- 姚(예쁠 요)
- 妆(단장할 장)
- 奺(수절할 구)
|
별 상관 없는 경우
|
- 姜(성씨/생강 강)
- 釹/钕(네오디뮴): 다른 자들과 달리 이것은 현대에 들어 고안된 자로, 女방은 별 뜻 없이 발음만 나타내는 형성자이다.
|
같이 보기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