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귀

This page was last edited on 4 January 2024, at 23:50.

객귀란 사람이 천수를 다하지 못하고 집 밖의 객지에서 죽었을 때 그 혼령이 승천하지 못하고 원귀(寃鬼)가 되어 자기 가족이나 친척 등을 괴롭힌다는 귀신. 떠돌이 귀신을 부르는 말이다.[1]

무속에서는 물에 빠져 죽은 사람이나 교통사고자살타살 등 집 밖에서 횡사한 사람은 객귀가 된다고 믿는다. 특히 객지에서의 죽음을 강조하여 ‘객사귀(客死鬼)’라고도 한다. 이렇게 죽은 사람의 넋이 저승에 가지 못하고 원귀가 되어 떠돌아다니면 아무에게나 붙어 여러 재앙을 가져온다 하여 꺼리고 두려워한다. 그래서 환자가 병원에서 치료를 받다가 운명하게 될 때는 집으로 데려와 숨을 거두게 하기도 한다.[1]

민간에서는 혼령이 원한을 품지 않고 미련 없이 승천할 수 있도록 무당을 불러 해원굿을 해 주고 절에서 회혼재를 지내 주기도 한다. 과거에는 사람이 악질(惡疾)에 걸리면 객귀가 들었다고 하여 무당을 불러다가 객귀물림이나 푸닥거리를 하였다. 바다에서 죽은 어부들의 넋을 위해 넋건지굿을 하고, 광산에서 죽은 광부들을 위해 넋맞이굿을 하였으며, 일반 평민의 넋을 달래기 위해 진오기굿을 하였다.[1]

굳이 무당을 부르지 않아도 환자가 생기면 객귀의 범접을 피하기 위해 가정집에서도 객귀물림을 하였다. 밥과 나물반찬을 바가지에 담아 내다놓고 그것을 먹고 빨리 먼 곳으로 가라고 큰소리를 치면서 로 위협하고 칼을 던져 그 끝이 바깥을 향하면 객귀가 나간 것으로 간주하였다. 무당집 법당에는 간혹 신발을 걸어두기도 한다. 이는 객귀의 원혼을 달래기 위함이다.[1]

출처

  1. 1.0 1.1 1.2 1.3 “객귀”. 《한국민속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