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단절

This page was last edited on 6 July 2023, at 16:33.

경력단절(經歷斷絕)이란 노동의 능력이 있으나 어떤 요인으로 인하여 직업을 떠난 것을 말한다.

여성의 경력단절

경력단절 중에서 특히 여성이 임신·출산·육아와 가족구성원의 돌봄 등을 이유로 경제활동을 중단하였거나 경제활동을 하지 못 하는 경우가 많다.[1] 성별임금격차의 주된 원인 중 하나이자, 성격차지수에서 최하위권을 유지하는 원인이기도 한다. 실제로 여성과 남성의 임금격차는 20대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다가 여성이 임신과 출산을 하게 되는 20대 후반과 30대 중반에 걸쳐 가장 크게 벌어진다. 이후 여성이 재취업을 하게 되는 40대가 되어 다시 줄어들지만, 여전히 경력단절로 인해 고소득 직종에는 취업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에 임금격차는 여전히 존재한다.

지칭어

흔히 "경력단절여성"이라고 부른다. 은 임신, 출산, 육아 등의 이유로 직장을 그만두었으나 재취업할 의사가 있는 여성을 말한다.[2] 경단녀라고 줄여 부르기도 한다.

2021년 성동구에서는 경력단절의 부정적인 어감을 완화하기 위한 대체어로 '경력보유여성'을 쓰기 시작했다.

다른 문서로 이동 이 내용은 경력보유여성 문서로 이동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황

  • 차별

구인구직 사람인이 기업 1059개를 대상으로 경력단절여성 채용 현황을 조사하였다. 21년 조사결과 30.3%에 불과하다. 대기업 40%, 중견기업 43%가 경력단절 여성을 채용하고, 중소기업 경력단절여성 채용은 28.3%에 그쳤다. 경력단절여성이 취업에 성공하더라도 근무 조건상 불이익을 받고 있다. 경력단절여성을 채용한 기업 40%가 무조건 불이익이 있다는 답을 하였다. 64%는 연봉을 낮게 책정하였고, 35.2%는 수습기간 후 채용하였고, 26.2%는 단기 근무 계약직 임시직으로 채용하거나, 20%는 경력차감을 하고, 직책을 주지 않는 곳이 7.4%로 심각하였다.

재취업 활성화에는 경력단절 여성 고용 유지·세금감면 혜택 강화가 30%였다. 시간선택·유연근무제 18.2%, 경력단절여성 사회 인식 전환 14.8% 여성고용 우수기업 투자 지원 보조금 증대 10% 경영진 의식·기업 문화 변화 9.6%였다. 사람인 관계자는 "한국 여성 고용율은 20대까지 증가하다가 30대 들어 크게 감소하고, 40대 후반에는 회복된다. 한국 여성들이 임신출산으로 인하여 직장을 그만두는 경력단절현상이 심하기 때문인데, 당분간 경단녀가 증가하는 현상은 지속된다" 라고 전한다. [3]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경단녀는 2018만 184만명, 20년 150만명으로 줄었다. 원인은 경영계에서 코로나 19 사태로 자녀를 맡길 교육 시설 이용이 어려워 워킹맘 직장생활이 어렵다는 분석이다. [4]

통계

2005년에서 2015년 사이 육아휴직과 출산전후휴가(출산휴가) 기간 중 해고당한 인원이 2만 6755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5]

2021년 통계청 조사 결과, 83년생 여성중에서 결혼 당시에는 직업이 있었지만, 출산과 함께 직업을 잃은 여성이 25.5%였다. 반면 남자들은 출산 시점에 단 3%만이 직장을 그만두었다. 그러나 83년생 여성들은 40%만 직업을 유지하였다. [6]

2023년 3월 21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2022년 경력단절여성은 139만 7,000명으로 최근 5년 동안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2018년 대비 75.6%가 줄었고, 2014년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세부적으로 경력단절여성은 15~29세 5만7000명, 30~39세 60만명, 40~49세 58만8000명, 50~54세 15만2000명으로 나타났다.

2022년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 결과 만 25~54세 여성 중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은 10명 중 4명(42.6%)이며, 경력단절 평균 발생연령은 29세, 경력단절 기간은 8.9년이다. 경력단절 후 첫 일자리 임금은 경력단절 이전의 84.5% 수준으로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의 임금은 경험하지 않은 여성의 84.2% 수준이다. 경력단절 전후를 비교했을 때 사무직/전문가, 상용직, 전일제 일자리는 감소한 반면 판매/서비스직, 임시직/자영업자, 시간제 일자리는 증가했다. 육아휴직을 활용한 후 직장에 복귀한 비중은 54.3%로 2019년 대비 11.1% 증가하였다.[7]

송다영 인천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이렇게 경력단절여성수가 감소하는 것은 여성 사회 진출, 경제 활동 증가 등으로 인한 자연스러운 환경변화라고 말한다.[8]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고물가, 고금리 시대에 아이를 키우며 들어가는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맞벌이 가구가 늘어나면서 생긴 현상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사례

  • 경력단절이 계기가 된 사업
    2017년 코니바이에린은 아기 포대기 슬링형 아기띠 코니아기띠로 사업에 성공하였다. 이는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에 수상받았다. 임이랑 대표는 육아맘 고충을 덜어주는 다양한 육아용품을 생산하고 있다. 자신이 경험하며 겪었던 애로사항을 해소할 생각을 모아 육아용품으로 출시하였다. 제품은 출시 직후 입소문을 타며 날개 돋친 듯 팔려나갔고, 매출은 2017년 3억, 21년 237억을 기록하였다. 해외시장에서 폭발적인 판매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그는 서울대학교 졸업 후 신생 기업에 입사하여 능력을 발휘하였으나, 임신·출산으로 직장을 그만두고, 고된 육아로 목디스크 증상이 악화되어 힘든 시간을 보냈다. [9]

같이보기

출처

  1.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촉진법 2조(정의)
  2. 남녀고용평등법 제17조의2.
  3. '경단녀' 채용 3년 만에 18%↓, 기업 10곳 중 7곳 경단녀 채용 안했다”. 2021년 6월 29일. 2021년 7월 16일에 확인함. 
  4. https://www.sedaily.com/NewsView/22NTPK0WAY
  5. 이하나 기자 (2015년 10월 3일). “‘서글픈 워킹맘’ 육아휴직·출산휴가 중 2만6700명 해고”. 《여성신문》. 
  6. 양홍석, 임경아영상편집:. “83년생 38살, 여성 4명 중 1명 출산으로 경력단절”. 2021년 12월 15일에 확인함. 
  7. 여성가족부 (23년 6월 1일). “2022년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 결과”. 《여성가족부》. 2023년 7월 5일에 확인함. 
  8. “‘경력단절여성 규모 줄었다?’…통계 뒤에 숨은 진실”. 2023년 3월 23일에 확인함. 
  9. “`아기띠 하나로..." 연매출 237억 사업가 된 경단녀”. 2021년 7월 12일. 2021년 7월 1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