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의 자치구 | ||||
종로구 | 중구 | 용산구 | 성동구 | 광진구 |
동대문구 | 중랑구 | 성북구 | 강북구 | 도봉구 |
서대문구 | 마포구 | 양천구 | 강서구 | 구로구 |
금천구 | 영등포구 | 동작구 | 관악구 | 서초구 |
노원구 | 은평구 | 강남구 | 송파구 | 강동구 |
관악구는 서울특별시의 자치구이다.
개요
- 면적: 29.57km 2
- 인구: 50만 6623명(2017년 5월,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 청사 위치: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45(봉천동)
관악산이 있어 관내 녹지의 비중이 높다.
역사
관악구 지역은 과거 경기도의 일부였다. 그러나 서울의 확장과 맞물려 1962년 관악구 지역이 영등포구에 편입된다.[1]
관악구는 1973년 7월 1일 영등포구에서 분리·신설되었다. 1975년에는 관악구로부터 동작구가 분리되었고, 행정구역 조정을 거쳐 1980년에 현재와 같은 행정구역이 되었다.
학교
- 초등학교(22): 관악초, 구암초, 난곡초, 난우초, 난향초, 남부초, 당곡초, 미성초, 봉천초, 사당초, 삼성초, 신림초, 신봉초, 신성초, 신우초, 원당초, 원신초, 은천초, 인헌초, 청룡초, 봉현초, 조원초
- 중학교(16): 관악중, 광신중, 난우중, 남강중, 남서울중, 당곡중, 미성중, 봉원중, 문영여자중학교 , 성보중, 신관중, 삼성중, 신림중, 인헌중, 구암중, 봉림중
미림여자정보과학고등학교
광신고등학교
구암고등학교
남강고등학교
당곡고등학교
삼성고등학교
성보고등학교
신림고등학교
인헌고등학교
영락의료과학고등학교
서울관광고등학교
광신방송예술고등학교
- 대학교(1): 서울대학교
교통
강남순환도시고속도로, 남부순환로가 지나며 서울지하철 2호선도 있다. 신림선 경전철이 2015년 착공하였고, 2021년 상반기 개통될 예정이다.[2] 신림선 경전철은 여의도와 보라매역, 신림역, 서울대를 잇는다. 이로써 지하철역과 떨어진 신림로 인근 지역의 교통 편의가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관악구의 행정동 명칭 변경
과거 관악구에는 27개의 행정동이 존재하였다.
- 신림동(14): 신림본동, 신림제1 ~ 제13동
- 봉천동(12): 봉천본동, 봉천제1 ~ 제11동
- 남현동(1)
2008년 9월 1일부로 남현동을 제외한 기존 행정동의 명칭이 바뀌었으며, 일부 행정동은 통합되었다. [3]
※ 법정동의 명칭은 그대로 신림동, 봉천동, 남현동이다.
변경전 | 변경후 |
---|---|
봉천본동, 봉천제9동 | 은천동 |
봉천제2동, 봉천제5동 | 성현동 |
봉천제4동, 봉천제8동 | 청룡동 |
신림제3동, 신림제13동 | 난곡동 |
신림제6동, 신림제10동 | 삼성동 |
신림제11동, 신림제12동 | 미성동 |
봉천제1동 | 보라매동 |
봉천제3동 | 청림동 |
봉천제6동 | 행운동 |
봉천제7동 | 낙성대동 |
봉천제10동 | 중앙동 |
봉천제11동 | 인헌동 |
신림본동 | 서원동 |
신림제1동 | 신원동 |
신림제2동 | 서림동 |
신림제4동 | 신사동 |
신림제5동 | 신림동 |
신림제7동 | 난향동 |
신림제8동 | 조원동 |
신림제9동 | 대학동 |
출처
- ↑ 서울특별시·도·군·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62년 시행(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670#0000)
- ↑ 연합뉴스. '출퇴근 25분 단축' 신림선 경전철 착공…2021년 개통 . 2015. 9. 7.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9/07/0200000000AKR20150907013800004.HTML)
- ↑ 근거: 서울특별시관악구조례 제779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