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

This page was last edited on 29 December 2022, at 01:32.

국가보훈이란 '국가유공자'에 관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보상과 복지, 예우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국가보훈'의 시작

국가유공자

  • 훈격[주 1]에 따른 분류: 건국훈장, 건국포장, 대통령 표창
    • 건국훈장의 세분화: 대한민국장, 대통령장, 독립장, 애국장, 애족장

독립유공자

  • 일반적으로 독립운동을 6개월 이상 하거나 3개월 이상의 감옥기록이 보유한 대상자에 한하여 독립유공자로 인정하고 있다.
  • 한국여성독립유공자 총 226명 (2013.04.30 기준)
    • 애족장(102명), 건국포장(26명)
    • 애국장(34명) : 김경희(1995년 인정)
    • 대통령 표창(52명) : 윤경열(1982년에 광복군 활동부문에서 인정받음), 이옥진(1968년에 광복군 활동부문에서 인정받음)
    • 독립장(10명) : 김마리아(1962년 인정), 김순애(1977년에 임시정부 활동부문에서 인정받음), 박차정(1995년 인정), 방순희(1963년 인정), 안경신(1962년 인정), 오광심(1977년에 광복군 활동부문에서 인정받음), 유관순(1962년 인정), 이신애(1963년에 국내항일운동 활동부문에서 인정받음), 이애라(1962년 인정), 권기옥(1977년에 중국방면 활동부문에서 인정받음)
    • 대통령장(1명) : 남자현(1962년에 만주방면 활동부문에서 인정받음)
    • 대한민국장(1명) : 송미령(1966년에 임시정부 활동부문에서 인정받음)
여성독립유공자 현황 2013년 8월 15일 기준
인정연도 인정부문 및 대상자 수 훈격 해당자 특이사항
1962 만주방면활동,3.1운동 대통령장(1),독립장(4)
1963 임시정부활동,국내항일활동,광복군활동 대통령표창(2),독립장(2)
1966 임시정부활동(1) 대한민국장(1)
1968 광복군활동 대통령표창(1)
1977 중국방면활동(1),임시정부활동(1),광복군활동(1) 독립장(3)

국내항일활동부문보다 중국활동부문의
대상자 인정이 더 높게 나타났음

1982 광복군활동(1) 대통령표창(1)
1990 의병(1),3.1운동(12),문화운동(1),국내항일(18),의열운동(1),학생운동(5),만주방면활동(4),중국방면활동(8),임시정부활동(4),광복군활동(22) 애국장(18),애족장(58)
1991 3.1운동(4),국내항일(2),임시정부활동(1) 애국장(4),애족장(3)
1992 3.1운동(8),국내항일(1),중국방면활동(1) 애국장(1),애족장(2),대통령표창(7)
1993 3.1운동(1),학생운동(3),중국방면활동(1),만주방면활동(1) 애국장(1),건국포장(4),대통령표창(1)
1995 3.1운동(5),국내항일(7),학생운동(3),중국방면활동(4),만주방면활동(2),임시정부활동(2),광복군활동(3),미주방면활동(2) 독립장(1),애국장(4),애족장(16),건국포장(2),대통령표창(5)
1996 3.1운동(1),국내항일(1),학생운동(1),임시정부활동(2) 애족장(2),건국포장(1),대통령표창(1)
1997 만주방면활동(1),미주방면활동(2) 애국장(1),애족장(1),건국포장(1)
1998 3.1운동(2),미주방면활동(1) 애족장(1),건국포장(1)
1999 3.1운동(1) 대통령표창(1)
2000 국내항일(1) 애족장(1)
2001 3.1운동(3) 애족장(2),대통령표창(1)
2002 3.1운동(1),국내항일(2),미주방면활동(1) 애국장(1),애족장(2),건국포장(2)
2003 3.1운동(1),국내항일(2) 건국포장(2),대통령표창(1)
2004 3.1운동(1) 건국포장(1)
2005 의병(1),3.1운동(3),국내항일(1) 건국포장(2),대통령표창(3)
2006 3.1운동(1),국내항일(4) 애족장(3),건국포장(1),대통령표창(1)
2007 3.1운동(3),국내항일(3) 애족장(2),건국포장(1),대통령표창(3)
2008 3.1운동(3),국내항일(3),중국방면활동(1),미주방면활동(1) 애족장(3),건국포장(2),대통령표창(3)
2009 3.1운동(2),국내항일(1),노령방면활동(1) 애국장(1),대통령표창(3)
2010 3.1운동(2),국내항일(1),임시정부활동(1) 애족장(5),건국포장(2),대통령표창(6)
2011 3.1운동(3) 애족장(1),대통령표창(2)
2012 3.1운동(1),국내항일(2),학생운동(7) 애국장(1),애족장(1),,대통령표창(8)
2013 3.1운동(1),학생운동(3),추가대상자(7) 건국포장(3),추가대상자(7)

인정시기별 분류

국가유공자 인정기준은 시기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1950년대에는 전몰,전상 군경, 1960년대는 독립유공자,4.19 혁명 관련자, 1970~80년대에는 순직,공상 공무원,무공,보국 수훈자,국가사회발전특별공로자, 1990년대는 고엽제후유증환자,참전군인,제대군인, 2000년대에는 5.18 민주화관련자,특수임무수행자에 관하여 지정되는 경향이 있다.

여성독립유공자 연도별 인정시기별 분류 2013년 4월 30일 기준
연도별 0000년 0001년 0002년 0003년 0004년 0005년 0006년 0007년 0008년 0009년
1960년대 6명[주 2] 4명 1명 1명
1970년대 3명
1980년대 1명
1990년대 76명 7명 10명 6명 28명 5명 3명 4명 1명
2000년대 1명 3명 5명 3명 1명 5명 5명 6명 8명 4명
2010년대 13명 3명 10명 3명

출신지역에 따른 분류

독립유공자 인정자의 출신지에 따른 분류 2011.08.08.기준
국내외구분
출신지
남녀 총인원
국내(한국) 1.강원
368
국내(한국) 2.경기
767
국내(한국) 3.경남
768
국내(한국) 4.경북
1,560
국내(한국) 5.광주
125
국내(한국) 6.대구
123
국내(한국) 7.대전
33
국내(한국) 8.부산
87
국내(한국) 9.서울
230
국내(한국) 10.울산
59
국내(한국) 11.인천
44
국내(한국) 12.전남
766
국내(한국) 13.전북
623
국내(한국) 14.제주
134
국내(한국) 15.충남
831
국내(한국) 16.충북
367
국내(한국) 17.충청
2
국내(북한) 1.평남
445
국내(북한) 2.평북
790
국내(북한) 3.평안
6
국내(북한) 4.함남
298
국내(북한) 5.함북
179
국내(북한) 6.황해
369
국외 1.중국
31
국외 2.노령
3
국외 3.러시아
1
국외 4.미국
4
국외 5.북간도
1
국외 6.아일랜드
3
국외 7.영국
5
국외 8.캐나다
1
여성독립유공자 출생지별 현황 (2013년 4월 30일 기준)
출생지역 구분 대상 인원 활동부문
1 평안북도
16
국내항일운동, 광복군활동
2 평안남도
30
국내항일운동, 광복군활동
3 함경북도
6
국내항일운동, 만주활동, 3.1운동, 학생활동
4 함경남도
11
국내항일운동, 3.1운동, 만주활동, 임시정부활동
5 황해도
24
3.1운동, 광복군
6 서울지역
18
국내항일운동, 중국활동, 3.1운동, 광복군
7 경기도
15
국내항일운동, 중국활동, 3.1운동, 광복군
8 인천지역
2
국내항일운동, 중국활동, 3.1운동, 광복군활동
9 충청북도
4
3.1운동, 국내항일운동, 광복군활동, 만주활동, 중국활동
10 충청남도
12
3.1운동
11 강원도
1
3.1운동
12 전라북도
4
3.1운동, 학생운동(목포 정명여학교)
13 전라남도
22
3.1운동, 학생운동(광주 수피아학교)
14 부산지역
6
국내항일운동, 3.1운동, 광복군, 만주활동, 미주활동
15 경상북도
11
국내항일운동, 3.1운동, 광복군, 만주활동, 미주활동
16 경상남도
11
국내항일운동, 3.1운동, 광복군, 만주활동, 미주활동
17 제주도
5
국내항일(해녀항일운동), 임시정부활동, 3.1운동
18 중국
1
송미령(대한민국장, 임시정부활동)
19 러시아
1
김알렉산드리아(애국장, 노령지역활동)
20 출생지 미상
25
전 부문
21 총 인 원
226명
전체 대비 1.83%

운동계열에 따른 분류

운동계열의 성격에 따른 분류
2011.08.08.기준
순서
국내외 운동구분
남녀 총인원
1 국내항일운동
1,877
2 문화운동
106
3 의혈투쟁
104
4 학생운동
383
5 광복군
565
6 의병
1,929
7 3.1운동
4,087
8 애국계몽운동
131
9 임시정부
351
10 국외 운동구분 - 일본방면
237
11 국외 운동구분 - 만주방면
1,738
12 국외 운동구분 - 중국방면
240
13 국외 운동구분 - 노령방면
62
14 국외 운동구분 - 미주방면
87
15 국외 운동구분 - 인도네시아방면
3
16 국외 운동구분 - 기타(미정)
2
총계
11,902(명)
여성독립유공자 운동계열별 현황 2013년 4월 30일 기준
순번 운동계열구분 여성독립유공자 대상자 전체독립유공자 여성독립유공자비율
1 의병 2명(윤희순,양방매[주 3]) 2014명 0.09%
2 3.1운동 67명[주 4] 4423명 1.51%
3 문화운동 1명(김두석[주 5]) 103명 0.97%
4 국내항일 55명[주 6] 1996명 2.76%
5 의열투쟁 1명(이혜수[주 7]) 108명 0.93%
6 학생운동 21명[주 8] 386명 5.44%
7 만주방면 11명[주 9] 2052명(만주,노령방면) 0.59%
8 노령방면 1명(김알렉산드리아[주 10])
9 중국방면 16명[주 11] 600명(중국방면,임시정부) 5.00%
10 임시정부 14명[주 12]
11 광복군 29명[주 13] 556명 5.22%
12 미주방면 8명[주 14] 120명 6.67%
총인원 226명 12,358명 1.83%

국가보훈단체

2013년 8월 15일 기준
단체명 대표자 지부 지회
공법단체 광복희 박유철 14 90
공법단체 대한민국 상이군경회 김덕남 16 250
공법단체 대한민국 전몰군경유족회 최해근 16 231
공법단체 대한민국 전몰군경미망인회(여성) 왕성원 16 230
공법단체 제일학도 의용군동지회 김병익 3
공법단체 대한민국 무훈수훈자회 박종길 16 230
공법단체 4.19 민주혁명회 문승주 5
공법단체 4.19 민주혁명 희생자 유족회 정중섭 3
공법단체 4.19 혁명 공로자회 이기택 3
공법단체 대한민국 특수임무유공자회 김희수 16 124
공법단체 대한민국 고엽제 전우회 강인호 16 124
공법단체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박세환 13 222
공법단체 대한민국 6.25 참전 유공자회 박희모 16 232
공법단체 대한민국 월남전 참전자회 우용락 16 230
사단법인 (사) 6.18 자유상이자회 박재만 6
사단법인 (사) 4.18 민주화운동부상자회 신경진 3 1
사단법인 (사) 5.18 민주유공자유족회 정춘식
사단법인 (사) 5.18 구속부상자회 양희승 10 15
사단법인 (사) 대한민국 특수임무수행자,유족동지회 하태준 2
학술단체[주 15] (사) 3.1 여성동지회(여성) 김정애 4

국가보훈처 위원회 여성참여현황

2006년 9월 30일자 기준
전체 전체 전체 당연직 당연직 당연직 위촉직 위촉직 위촉직
위원회명 전체 여성 비율(%) 전체 여성 비율(%) 전체 여성 비율(%)
보훈심사위원회 9 3 33.4 4 0 5 3 60
보훈기금운용위원회 10 2 20 5 0 5 2 40

순국선열애국지사기념사업
기금운용심의회

10 2 20 5 0 5 2 40
국립묘지안장대상 심의회 13 1 7.7 8 0 5 1 20
국가보훈위원회 25 5 20 12 1 8.3 13 4 30.8
제대군인지원위원회 25 6 24 13 1 7.7 12 5 41.7
합계 92 19 20.7 47 2 4 45 17 37.8

링크

부연 설명

  1. 공훈의 종류나 등급으로 국가의 예우기준을 적용하는 것.
  2. 여성독립유공자 최초인정.
  3. 최초의 여성의병. 전라지역에서 강무경 의병장과 함께 활동.
  4. 충청도와 황해도, 전라도 지역출신 유공자가 각각 10명 이상이 인정받음.
  5. 경남 마산출신의 교사. 신사참배거부 및 배일행동으로 옥살이를 하였다.
  6. 제주도의 경우 전체 여성독립유공자 5명 중 3명이 국내항일운동(제주해녀항일운동)으로 인정받았다.
  7. 서울출신. 애국부인회의 조직에 참여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국내의 군자금을 조달하였다. 주로 비밀연락을 맡아 활동하였으며, 일본군 암살단 조직에도 관여하였다.
  8. 유공자 중 전라지역출신의 비율이 가장 높다.
  9. 유공자 중 충청이북 지역출신의 비율이 가장 높다.
  10. 사회주의 여성독립운동가. 연해주 및 시베리아 일대에서 활동하며 한인사회당과 러시아 및 중국지역의 활동과 연계한 독립활동을 하였다.
  11. 지역출신별로 유공자는 서울,경기지역 6명, 황해도 1명, 충청도 1명, 부산 1명, 평안도 5명, 출신지미상 2명이다.
  12. 지역출신별로 유공자는 전라도 1명, 황해도 2명, 충청도 1명, 서울경기인천 4명, 함경도 1명, 제주도 1명, 평안도 2명, 중국 1명, 부산 1명이다.
  13. 지역출신별로 유공자는 평안도 14명, 서울경기인천 6명, 부산 3명, 전라도 1명, 황해도 3명, 충청도 1명, 출신지미상 1명이다.
  14. 지역출신별로 유공자는 경북지역 1명, 황해도 2명, 평안도 이혜련(도산 안창호의 부인) 외 3명, 출신지미상 1명이다.
  15. 국가보훈처에 등록되지않은 학술단체 한국여성독립운동연구소에서도 여성독립운동가의 조사 및 발굴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출처

심옥주; Ok-Chu Sim (31 December 2014). 《한국 여성 독립 운동 과 국가 보훈》. 정언. ISBN 979-11-8562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