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넓은 의미에서 군사주의란 엄격한 위계질서와 상명하복, 규율, 전체주의, 감정의 배제, 극단적 효율 추구, 폭력을 동원한 목적의 달성 등 군대의 조직적, 문화적 특성을 중요한 가치로 삼는 사상 또는 태도를 뜻하며 종종 군사문화로 불리기도 한다. 좁은 의미에서의 군사주의는 국가가 강력한 군대를 유지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한다는 사상 또는 주장을 뜻한다. 군사주의(militarism), 군사화(militarization) 등으로 불린다.
좁은 의미에서의 군사주의를 표방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넓은 의미에서의 군사주의도 수용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 둘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군사주의
군사주의라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국가안보와 군대의 존재, 가치를 우선가치로 삼는...'등의 개요를 풀어놓지 않더라도 사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이것을 알고 있다. 머리로 알기 이전에 피부로 먼저 잘 알고 있다. 군사주의(militarism), 군사문화, 군사화(militarization) 등의 개념은 상당히 무겁고 생소하게 느껴질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한반도의 모든 곳이 마치 공기같은 여혐처럼, 공기같은 군사주의에 물들어 있다. 너무나도 공기처럼 만연해서 '군사주의'자체로 인식할 기회가 없는 것이다.
정희진씨의 다음과 같은 주장이 한국의 군사주의 문제를 잘 드러낸다.
"군대가 군사 문화의 주범인 것처럼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지만,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한반도는 학교, 회사, 교회, 가정, 관료사회 할 것 없이 일상 자체가 위계질서와 힘(폭력)의 원리가 지배하는, 전 세계에서 가장 군사화 된 지역 중 하나다." --정희진[1]
일상에 스며든 군사주의
- 대한민국에선 기업에서 여성보다 남성을 더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 남성이 군사주의에 순응해서 고분고분하게 상명하복 문화를 지킬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 '군대 갔다 와야 사람 된다' 또는 '남자는 군대를 다녀와야 한다.'라는 말이 흔하다. 군대를 다녀 와야 철이 든단 말이다. 영 못 미덥고, 또 철 없던 아들이 군대를 다녀와 상명하복의 쓰라림, 그리고 제한된 일상으로부터 단련되어 의젓해져 돌아오면 대개 이 말을 사용한다. (반대로 '원래 의젓했던 놈이 군대를 다녀오면 이상해진다'는 변형도 있다.)
- 군사주의 문화가 강한 남성 집단에서는 복무의 난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되는 부대, 군종이나 복무지의 출신자가 존경받는다. 대표적으로 해병대, 각종 특수부대, 서해 5도 등이 있다. 반대로 공익근무요원 출신이나 면제자 등은 따돌림을 받기 쉽다.
- 수련회라는 이름으로 어린 시절부터 군기와 군대식 명령법에 익숙해진다.
- 학교, 직장, 어디든 가릴 것 없다.
- NYT "삼성, 군대식 상명하달 문화로 문제 악화시켜"[2]
군사주의의 역사
군사주의와 페미니즘
군사주의와 페미니즘은 대척점이다. 위계질서, 전체주의, 규율, 효율, 폭력과 공격적 성향 등 군사주의의 이념 대부분이 페미니즘과 충돌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페미니즘은 수평적 관계를 추구하기 때문에 위계질서를 거부하고, 개개인의 권리를 존중해 전체주의를 거부하며 규율과 효율보다는 각자의 인권과 평등에 초점을 둔다.
또한 폭력은 고전적으로 약자를 억압하고 착취하는 데 이용되었던 수단이다. 따라서 페미니즘은 군사주의와는 굉장히 대립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