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 | |||
신체 부위 | |||
머리 | 몸통 | 팔 | 다리 |
얼굴 | 어깨 | 팔꿈치 | 허벅지 |
목 | 가슴 | 손목 | 무릎 |
배 | 손 | 정강이 | |
허리 | 손가락 | 발목 | |
엉덩이 | 발 | ||
사타구니 | 발가락 | ||
장기 | |||
신경계 | 소화계 | 비뇨기계 | 생식계 |
뇌 | 식도 | 신장 | 포궁 |
척수 | 위 | 방광 | 질 |
순환계 | 간 | 요도 | 난소 |
심장 | 작은창자 | 정소 | |
호흡계 | 큰창자 | 전립선 | |
폐(허파) | |||
기타 | |||
뼈 | 근육 | 피부 | 혈관 |
급소 |
여러 다발의 근육섬유가 한데 모여 같은 운동을 일으킬 때, 이들은 하나의 근육이라고 한다.[1]
구조
전형적인 근육은 가운데가 굵고 양끝이 가는 방추형으로, 두툼한 가운데 부분은 힘살이라 하여 신축성이 있는 섬유조직으로 이루어져 있고, 양쪽 끝은 힘줄이라 하여 질기고 늘어나지 않는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다.[1]
작용
근육의 작용이란 힘살 부분의 섬유조직이 수축하면서 근육 전체가 가운데로 모여들고, 그에 따라 근육의 둘레가 두툼하게 부풀어오르는 현상을 말한다.[1] 이때 근육의 어느 한 쪽 끝이 중력이나 체중, 주변 근육과의 지레 작용에 의해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을 경우 근육의 반대쪽 끝이 맞은편으로 끌려오게 되고, 그러면서 해당 근육과 관련된 운동이 일어나게 된다.[1]
근성장
근성장을 위해 단백질 섭취량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끼니 수를 늘리는 것도 도움이 된다. 영양분을 섭취할 때 인체에서는 인슐린이 분비되어 혈당을 조절하는데, 인슐린이 분비되는 횟수가 늘면 그만큼 근육이 생성되는 시간도 늘어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