キムチ女に関する描写を総合すると、とても素敵だ。 素敵な服を着て、素敵なカバンを挙げ、コーヒーを楽しみながら自分の管理と旅行にお金を使う。
概要
韓国女性を卑下する隠語. キムチ女とは、韓国の女性は男性のお金を明かして、男性を「経済力」で評価し、「男性を通じて身分上昇をしようとする」と規定する単語だ(キム・スア、ホ・ダウン、2014年)。 主に責任と義務に背を向けたまま権利だけを求める女性、不利な状況でのみ男女平等を叫ぶ女性、男性に経済的に依存する女性、男性と女性に二重の尺度を持った女性などを指す時に使われる。 しかし、実際にキムチ女が使われる範囲はずっと広い。 2014年、韓国女性団体連合で発表した「オンライン上の女性嫌悪表現モニタリング報告書」によれば、キムチ女性の特性は肥満で醜くて性的魅力がなく、これによって整形を繰り返し、整形中毒者になり、性的にだらしなくなって男性のお金で身分上昇を夢見ながら会社を通いながらも迷惑をかけるというのだ。 さらにファミリーレストランで食事をする女性まで「キムチ女」と呼んでいる状況だ。
「味噌女」の登場と「キムチ女」
2006년, 자신의 소득수준에 맞지 않는 소비를 하는 여성을 비하하는 글 된장녀의 하루가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서 크게 유행한 뒤, 여기에서 파생된 '된장녀'라는 신조어가 유행하기 시작했다.[주 1]
사실 배경을 거슬러 올라가면 1999년 7월 28일 서울 이화여대 앞에 스타벅스 1호점이 문을 연 것이 '된장녀' 논란의 시작점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의 스타벅스의 커피는 원가대비 지나치게 높은 소비자 가격을 형성해 폭리는 취한다는 뉴스가 보도되었는데, 이에 대한 비판이 대기업이 아닌 소비하는 계층을 향한것이다.
남성들 사이에서 '스타벅스 커피가 비싸도 한국에서 잘 팔리는 이유는 돈도 벌지 않고 커피 맛도 모르면서 세련되게 보이고 싶어서 커피를 사마시는 여자들 때문이다'라는 내용의 주장이 폭발적 인기를 끌고 '여성들은 명품을 좋아하고 허영심에 가득 차있다.', '여성들이 능력도 없으면서 비싼 샴푸로 머리를 감고 겉모습에 치장하는데에만 신경이 쏠려있다.', '여성들은 자신의 허영심을 채우기 위해 조건 좋은 남성과의 결혼을 원한다'등의 편견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
그 편견을 요약해 여성 특히 자신을 위한 소비를 하는 젊은 여성을 공격할 단어로 등장한 것이 된장녀이다. 된장녀의 하루를 통해(곧이어 이 글을 정리한 웹툰 형식의 만화도 등장한다) 사회가 여성을 공격할 언어를 얻게 되자[주 2], 곧 '된장녀 안티카페'들이 생겨났고 심지어 '된장녀 키우기'라는 게임까지 등장했다.
'된장녀'의 범위는 무분별한 소비를 하는 여성에서 점점 넓어졌고 그저 마음에 들지 않는 여성을 싸잡아 된장녀라고 부르게되었다. 여기에서 파생된 것이 '김치녀'이다.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김치녀라는 단어는 이기적인 행태를 보이며 사치스러운 생활을 즐기는 여성을 지칭하며 멸시의 의미로 쓰였다. 그런데 그 이후로 시대가 변화하면서 일반적인 한국 여성들을 원색적으로 비난하는 용어로 사용되기에 이르렀다. 현재 '김치녀'는 굉장히 일상적인 용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개인이나 집단이 여성에게 씌우는 비하적 프레임으로써 기능하고 있다. 이것은 여성들을 특정한 성 프레임 속에 가두어 자기검열을 이끌어내며, 흔히 개념녀라고 말하는 남성들의 이상적인 이성관에 따라서 행동할 것을 강요하는 결과를 불러일으켰다.
卑下語としての韓男虫の登場
2015년 이후의 페미니즘 무브먼트의 영향으로, 여성혐오에 대한 일종의 미러링 단어인 한남충이 등장했다. 흥미로운 것은 이 한남을 정면으로 다룬 시사IN 제467호가 2016년 8월 27일에 발행됐다는 것이다. 된장녀의 하루를 다룬 한겨레 21 제 621호가 2006년 8월 4일에 발행된 것을 생각하면, 여성이 된장녀라는 비하어에 반박할 단어를 획득하는데 약 10년이 걸린 셈이다.
女性卑下表現に共感する男性たち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15세~34세의 여남 1천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는데, 남성 응답자의 54.2%가 '김치녀', '된장녀'등의 표현에 공감하고 있다고 답했다. 또 남성 청소년의 66.7%가 공감한다고 답해 어린 연령대의 여성혐오의 심각성을 보여주고 있다.
남성 응답자의 모든 연령층이 '한국에서 가장 혜택받은 집단'은 20~30대 여성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살기 힘든 현대사회 생활과 성역할 갈등이 맞물리면서 남성이 여성에 대해 불만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페이스북의 '김치녀' 페이지의 팔로우 수는 약 17만명, 많은 사람들이 여성혐오를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大衆文化中の「キムチ女」
이러한 유행은 광고를 비롯한 대중문화계에 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다.
'하늘보리' 옥외광고에는 "날은 더워 죽겠는데 남친은 차가 없네"라는 카피를 내걸어 남성에 경제력에 기대는 '김치녀'를 연상케했고, 보건복지부의 피임 홍보 포스터에는 "다 맡기더라도 피임까지 맡기진 마세요"라는 문구가 쓰였다. 포스터 속의 자신의 짐을 모두 남성에게 들게 하는 여성의 모습이 마치 여성들이 남성에게 모든 것을 의존하고 있고 피임의 책임조차 남성에게 떠넘기려 한다는 것처럼 느껴지게 한다. 이 외에도 드라마에서도 '김치녀' 캐릭터가 등장하고 웹툰계에서도 '김치녀' 캐릭터가 유행처럼 따라 등장하는 등 '김치녀' 인식 확산에 불을 붙였다.
本当に韓国女性は「キムチ女」の姿をしているのか
大衆たちの認識通り本当にたくさんの韓国女性たちが「キムチ女」の姿をしているのだろうか?
ブランド品消費
베인&컴퍼니의 조사에 따르면 남성 명품 매출 증가율은 2009년~2013년 55%로 여성(37%)보다 높았다. 또, 현대 백화점의 정장 판매 조사에서는 평균 300만원대의 수입 남성복이 평균 100만원대의 국내 남성복보다 훨씬 더 잘 팔린다고 나왔다. 한 백화점의 퍼스널 쇼퍼는 '여성들은 세일과 사은품을 따져가며 쇼핑하지만, 남성들은 명품 앞에서 값을 묻지 않는다. 남성들이 명품이란 이름에 오히려 더 약하다'라고 말했다. 명품 의류를 넘어 담배, 술, 스포츠 용품등의 분야에서도 남성들의 사치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허영심 많고 사치를 부리는 '김치녀'의 속성은 여성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것이다.
経済的依存
데이트 비용 지불은 연인간의 개인적 문제인 만큼 정확한 통계를 낼 수는 없지만,
2014년 알바천국의 20대 연인 1232명의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의 따르면 실제 데이트 분담비율 남6:여4가 1위, 남5:여5가 2위를 차지했다. 최근에는 데이트 비용을 함께 적립한 뒤 데이트 할 때 꺼내쓰는 이른바 '데이트 통장'이 유행하고 있기도 하다.
많은 남성들이 가지고 있는 편견과 달리 20대 여성들의 경제적 의존율은 생각보다 낮은 것이다.
또, 많은 사람들이 한국 여성들은 외국 여성과 달리 더치페이를 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하는데, 외국에서도 더치페이를 하냐 안하냐는 개인의 연애 스타일 차이지 국적의 차이는 전혀 없다. 추가로 남성이 더 내는 경우는 외국에서도 적잖게 찾아 볼 수 있다.[주 3]
이 외에도 자신의 돈을 노리는 '김치녀' 경험담이 여기저기서 등장했는데, 경제적으로 여자친구에게 의존한 남성에 대한 경험담도 못지 않게 많다.
또한 결혼 비용이나 데이트 비용을 남자가 더 많이 지불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인식이 만연한 이유는 단순히 여성이 '김치녀'의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만은 아니다. (자세한 건 데이트 비용 참고)
여성과 남성의 임금격차와 다른 여러가지 요인들을 고려했을 때, 여성이 단순히 데이트비용을 덜 낸다고 해서 김치녀로 몰아가는 것은 저열하고 추잡한 행동이다.
이중 잣대
'여자는 이래야 한다, 남자는 이래야 한다'는 식의 이중 잣대를 가지고 있는 것은 여성뿐만이 아니다. 여자가 성관계를 많이 가지면 '걸레' 남자는 '능력자', 여자가 회사일로 집안일에 소홀하면 '이기적인 엄마', 남자는 '책임감 있는 남자' 등의 이중잣대를 가지고 있는 사람 또한 많다. 한 쪽 성별만의 문제가 아닌것이다.
이렇듯 사치를 부리거나, 경제적으로 이성에게 의존하거나, 권리만을 찾거나 하는 속성은 모든 성별의 사람에게서 나타 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성격의 남성을 지칭하는 단어는 잘 쓰이지 않는 반면 마치 여성의 속성인 것처럼 느껴지도록 낙인 찍고 널리 유행하는 것은 한국 사회가 해결해야할 '여성혐오' 문제이다.
비슷한 단어
- 일부 여성혐오자들은 김치녀라는 말 대신에 김치, 쉰김치, 묵은지 등의 말을 사용한다.
전복의 기능을 하는 현재의 '김치녀'
그래 나 김치녀다 문서 참조.
注釈
- ↑ 이걸 그대로 남자에게 적용시킨 된장남(고추장남)의 하루라는 글도 나왔고 된장남(고추장남)이란 단어도 나왔지만, 된장녀만큼 정착되지는 않았다.
- ↑ 이 글이 유행한 직후 각종 언론을 통해 된장녀의 하루(글/웹툰) 및 된장녀라는 신조어가 꽤 비중있게 보도됐다. 게다가 이런 편견에 대한 비판이 아니라 요즘 젊은 여성들의 무분별한 소비가 심각해 이런 글이 나올 정도라는 것이 기본적인 논조였다. 언론도 편견 조장에 큰 몫을 담당한 셈이다.
- ↑ 참고로 서양권에서도 골드 디거라는 말이 있고, 참고로 일본에서도 クソ女(쿠소녀)라는 말이 있는 데 의미는 같다., 어디서나 여성혐오적 발언을 하는 사람은 한다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