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학순

최근 편집: 2022년 12월 27일 (화) 01:04

“제 인생은 열여섯 꽃다운 나이로 끝났습니다. …지금도 이렇게 시퍼렇게 살아있는 것은 피맺힌 한을 풀지 못해서입니다. 내 청춘을 돌려주십시오.”

김학순(한문: 金學順, 1924년 10월 20일 ~ 1997년 12월 16일)은 대한민국의 여성운동가이다. 국내 거주자로서는 처음으로 일본군 '위안부'의 실상을 실명으로 증언하였다.[1]

일본군 '위안부' 증언

1991년 첫 증언.

1991년 8월 14일의 증언을 기려 8월 14일은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로 지정되었다.

김학순은 1991년이 되어서야 폭로하게 된 이유로, 우리 사회가 자신과 같은 피해자를 천하고 부끄럽게 여겼고, 또 중국에서 일본군이 많은 사람들을 죽이는 것을 보아서 해방 후에도 자신이 당한 것을 폭로하면 생명에 위험이 있을 수 있다는 두려움에 말하지 못하였다고 하였다.[2]

생애

1924년 중국 지린성 지린에서 출생하였다.[2] 백일도 되기 전에 부친이 사망하여 모친과 평양으로 돌아왔다.[2] 어렸을 적에 어머니를 쫓아 열심히 교회에 다녔고 교회에서 운영하는 학교에 4년 정도 다녔는데 살면서 그때 기억이 제일 좋게 남아 있다.[2] 어머니는 남의 집 고용살이도 하고, 아침에 도시락 싸들고 나가서 남의 집 밭도 매주고 빨래도 해주고 있다.[2] 김학순은 학교에 갔다 오면 어머니가 하는 일을 돕곤 했다.[2]

김학순이 열네 살 되던 해 어머니는 재혼했는데 김학순의 의붓아버지와 갈등이 있었다고 한다.[2] 15세에 평양 기생학교에 들어가 17세에 졸업하였다.[2] 그러나 당시 전세 통제에 따라 기생업이 억제되어 영업을 하기 어려웠다고 한다.[2] 이에 기생학교의 양부는 돈을 벌기 위해 김학순과 김학순의 양언니를 데리고 중국 베이징으로 건너갔다.[2] 베이징에 도착하자마자 양부 등 일행은 일본군에게 잡혀 김학순과 양언니는 군부대로 끌려가 '위안부' 생활을 강요당하게 되었다.[2]

김학순이 있었던 군위안소는 두 곳이다. 허베이성 베이징 부근 '철벽진'과 호오루현이라는 것만 언급되었을 뿐, 군위안소 장소가 철벽진과 호오루현에 있었던 것인지, 아니면 호오루현의 철벽진과 확인되지 않은 다른 곳에 있었던 것인지는 확인하기 어렵다.[2] 김학순이 있었던 군위안소의 가장 큰 특징은 일본군이 직접 관리하였다는 점이다. 군위안소 바로 옆에 부대가 있고 보초가 있어 군'위안부'가 어디로 나가는 것은 불가능하였다.[2] 일본군이 직접 군'위안부'를 감시 통제하고 식사도 군에서 직접 조달하였다.[2] 그리고 군'위안부' 관리와 교육 등은 관할부대가 먼저 군'위안부'가 된 '시즈에'와 같은 여성을 내세워 하였다.[2] '시즈에'는 김학순에게 일본식 이름 '아이코'를 붙이고 소독방식 등 성병 예방을 위한 일종의 교육을 하였다.[2] 일반 군전용위안소라면 군위안소 업자가 할 일을 김학순이 있었던 위안소에서는 일본군이 직접 혹슨 먼저 군'위안부'가 된 여성을 통해 통제 관리한 것이다.[2]

김학순은 이곳에서 두 달 정도 있다가 같이 있던 군부대가 옮기게 되자 그 부대를 따라 트럭을 타고 다른 곳으로 이동되어졌고 이동된 곳에서도 군'위안부' 생활을 강요받았다.[2] 꾸준히 탈출의 기회를 엿보아 왔지만 그곳 상황을 몰라 실행하지 못하였다.[2] 새로운 곳으로 옮긴지 한달 지났을 때, 군인들이 '토벌'에 나가 없는 틈을 타 보초의 눈을 피해 군'위안'소로 들어온 조선인 남자 조씨의 도움으로 김학순은 위안소를 탈출할 수 있었다.[2]

1942년 군위안소 탈출에 성공한 이후 김학순은 탈출을 도와준 남자사이에 아이를 갖게 되어 상하이의 프랑스 조계에 정착하여 살았다.[2] 해방을 맞이하여 1946년 남편과 아이들과 함께 상하이에서 인천으로 귀환하였다.[2] 장충단수용소에서 생활 중 딸을 콜레라로 잃고, 전쟁 중에는 남편을, 이어 하나 남은 아들마저 죽자, 괴로움에 못 이겨 여러 번 자살 시도를 하였다.[2] 그러다 종교생활을 통해 자신의 삶을 유지해 갔다.[2]

1961년에 무작정 전라도로 내려가 닥치는 대로 일을 하며 담배와 술로 20년을 보냈다.[2] 너무 방황하고 한심스럽게 살아가는 자신의 모습에 죽을 때 죽더라도 이렇게 억울하게 살면 안 된다는 생각이 들어 서울로 올라가 전라도에서 어떤 사람이 소개해 준 집에 식모로 들어가 7년을 그 집에서 일하다가 힘이 들어 87년에 나왔다.[2]

김학순은 최초의 국내 증언자로서 국내외에서 많은 증언활동을 하였다.[2] 그리고 1991년 12월 군'위안부' 피해자로서 일본정부를 상대로 도쿄지방재판소에 제소하였다.[2] 또 일본정부가 세계의 비난여론과 법적 배상을 피해가기 위해 만든 여성을 위한 아시아평화국민기금 방식의 해결을 비판하고 오직 진심이 담긴 일본정부의 사죄를 요구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하던 김학순은 1997년 사망하였다.[2]

상훈

약력

  • 1924년 중국 지린에서 출생, 100일 즈음 평양으로 옴[2]
  • 1939년 평양 기생학교에 다님[2]
  • 1941년 평양 기생학교 졸업[2]
  • 1941년 기생학교의 '수양아버지'가 돈을 벌기 위해 김학순 등과 중국 베이징으로 감.[2] 베이징에서 김학순은 일본군에 의해 강제로 끌려 가 베이징 부근 '철벽진' 등지에서 군 '위안부' 생활을 함.[2] 3개월 정도 후에 조선인 남자의 도움으로 군'위안소' 탈줄[2]
  • 1942년 탈출은 도와준 남자 사이에서 임신, 상하이의 프랑스 조계에 정착[2]
  • 1943년 9월 첫딸 출산[2]
  • 1945년 1월 아들 출산[2]
  • 1946년 가족과 함께 배를 타고 인천으로 귀국, 장충단수용소에서 생활 중 딸을 콜레라로 잃음[2]
  • 1952년 남편 사망[2]
  • 1991년 8월 14일 국내 거주자 중 최초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로 증언[2]
  • 1991년 12월 도쿄지방재판소에 제소[2]
  • 1991년 12월 일본 도쿄 전후 보상에 관한 국제 공청회에 참석하여 증언.[2]
  • 1997년 12월 16일 사망[2]

출처

  1. “[책갈피 속의 오늘]1997년 일본군위안부 김학순 할머니 별세”. 《동아일보》. 2008년 12월 16일. 2018년 4월 8일에 확인함. 
  2.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김학순 -되풀이하기조차 싫은 기억들”. 《여성가족부》. 2016년 12월 16일. 2019년 12월 13일에 확인함. 
  3. “朴英淑의원·金學順씨「올해의여성」賞”. 《경향신문》. 1992년 2월 2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