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부인은 이화학당의 첫 번째 학생이다.
학업
김 부인은 명성황후가 영어 통역을 할 줄 아는 부인을 찾고 있다는 소문을 듣고 30대였던 1886년 5월 31일 밤 중에 하인을 거느리고 왕비의 통역관이 되고 싶다며 메리 스크랜턴을 찾아 갔으며 곧 이화학당의 첫 번째 학생이 되었다.[1][2][3][4] 김 부인은 이후 3개월간 1대 1로 영어수업을 받았으나 몸이 아파 이내 학업을 중단하고 말았다.[2][5]
기타
부연 설명
- ↑ 높은 관리의 첩.
출처
- ↑ 허문명 기자 (2005년 5월 31일). “[책갈피속의 오늘]1886년 이화학당 설립”. 《동아닷컴》. 2018년 1월 15일에 확인함.
- ↑ 2.0 2.1 2.2 “이화학당”. 《문학콘텐츠닷컴》. 2018년 1월 15일에 확인함.
- ↑ 유신재 기자 (2006년 5월 30일). “이화여대 창립 120돌”. 《한겨레》.
- ↑ “이화학당 130년”. 《전북도민일보》. 2016년 11월 7일.
- ↑ 김수혜 기자 (2012년 11월 26일). “이화여자대학교, 수많은 분야에서 '최초'… "글로벌 여성교육 허브로"”. 《조선일보》.
- ↑ “창립이념 및 역사”. 《이화여자대학교》. 2018년 1월 1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