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적 일관성(Internal Fit)은 조직 내부의 일관성을 말한다. 주로 제도 적용의 일관성을 일컫는 데 사용된다.
종류
일관성의 세 가지 종류 (Baron & Kreps, 1999)
- 개인직원 일관성 (single-employee consistency): 인사관리 개별제도(HR practices)
- 유사한 조건의 직원에게는 동일한 제도가 적용되어야 한다.
- 직원간 일관성 (among-employee consistency): 인사관리 정책(HR policies)
- 유사하지 않은 조건의 직원들은 인사관리 정책이 다를 수 있다.
- 시간적 일관성 (temporal consistency): 인사관리 철학(HR philosophy)
세 가지 일관성은 모두 유지되기 어려우므로, 한 가지가 유지되면 다른 것이 변화해도 괜찮다.
일관성 사이의 비일관성 (inconsistent consistencies)
예) 기업간 합병
기업간 합병이 이루어지면(일관성의 예) 인사관리 철학이 크게 변하게 된다. 이때 제도나, 정책이 변화하게 된다.(비일관성의 예)
필요성
- 기술적 효용성
마찰, 비용을 줄여줌.
- 일관된 메세지를 제공해 강력한 메세지 전달, 태도와 행동 유도
- 학습, 개인 취향이나 기대에 부합하도록 관리
- 조직에 적합한 사람을 유인하고 이직률을 감소시킨다.
(불확실한 인사관리는 조직에 대한 직원의 신뢰를 감소시킨다.)
일관성 범위의 결정 요인
Span of Consistency 일관성의 범위가 넓다는 것은 제도의 개수가 적다는 의미이다.(적용되는 사람의 수가 많아진다.) 하나의 인사구성 형태로 전직원에 적용한다면 일관성의 범위가 굉장히 넓은 것이다.
- 기술적 상호의존성 : 상호의존성이 높을 경우에는 일관성 범위를 넓혀야 한다.(동일한 제도 적용)
- 사회적 비교과정의 영향 요소들 :사람들의 상대적 비교를 고려해 제도 적용을 해야 한다. 실력중시/연공중시 등
- 경제적 힘(economic forces) : 취업이 힘들고 경제적 힘이 있는 기업일 경우, 완고한 인사 제도가 적용된다.
- 사회적 문화규범 : 성과주의 문화로 변화하였다. 여남 임금 차별이 줄고 있다.
출처
- 배종석. 2013. 인적자원론: 가치, 사람 그리고 제도 (제2판 제2쇄). 서울: 홍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