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 하나의 문화 혹은 또문은 1984년에 생긴 여성운동단체이다.[1] 남성주의적 가부장 문화의 대안인 페미니즘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로 구성되었다.[2]
개요
또 하나의 문화는 한국의 여성운동 단체다. 1984년 당시 새롭게 논의되던 젠더 문제에 관심을 가진 인문사회학과 교수 10여 명이 주축이 돼 결성한 동인 모임으로 시작했으며, 조형(이화여대 사회학), 조한혜정(연세대 사회학), 조옥라(서강대 사회학), 장필화(이화여대 여성학), 조은(동국대 사회학), 김애실(외국어대 경제학), 박혜란(여성신문 편집위원), 고정희(시인) 등이 참여했다.[3] 발기인으로서 중추적 역할을 해 온 연세대 사회학과 조한혜정 교수는 인터뷰에서 “출발 당시 급진적 여성주의로 갈 것이냐, 사회에 반감을 주지 않으면서 페미니즘을 퍼뜨릴 거냐의 고민 속에 후자를 택했고 전략적으로 이 결정은 사회 분위기와 잘 맞아떨어졌다”고 밝힌 바 있다.
여성운동의 터전으로 출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1987년 <도서출판 또하나의문화>란 이름으로 출판 등록을 내고, 1990년 『주부, 그 막힘과 트임(제6호)』을 자체 출판하면서 전문출판사로 탈바꿈했다. 이후 수많은 여성·교육·문화와 관련된 서적들을 펴냈으며, 연 매출 1억 원대의 중견 출판사로 자리 잡았다. 1999년 사단법인으로 전환했다.
- 홈페이지: http://tomoon.eco
- 또 하나의 문화 아카이브: https://www.archivecenter.net/tomoon1984
출판물
서지정보유통지원시스템에서 검색되는 도서 목록 (출간연도 역순, 동일 연도에 출간된 도서는 가나다 순)
- 『버드』 크리스털 챈, 2015
- 『알렉스, 소년에서 소녀로』 알리사 브루그먼, 2015
- 『자공공』 조한혜정, 2014
- 『애비의 두 번째 인생』 프랜시스 오록 도웰, 2013
- 『그토록 간절했던 평범함 굿바이』 프랜시스 오록 도웰, 2012
- 『사당동 더하기 25』 조은, 2012
- 『고정희 시전집』 고정희, 2011
- 『페이지』 엘리자베스 버그, 2011
- 『(거기, 마녀가) Falling in』 프랜시스 오록 도웰, 2010
- 『그녀의 불편한 진실』 테레라 라우어, 2010
- 『우린 마을에서 논다』 유창복, 2010
- 『슈팅 더 문』 프랜시스 오록 도웰, 2010
- 『교실이 돌아왔다』 조한혜정,한운장,홍아성,김연지,방영화,김한솔 외, 2009
- 『로드 스쿨러』 고글리, 2009
- 『벌거벗은 생명』 조주현, 2009
- 『군사주의에 갇힌 근대』 문승숙, 2007
- 『다시, 마을이다』 조한혜정, 2007
- 『보이지 않는 가슴』 낸시 폴브레, 2007
- 『소녀 멘토링 가이드』 카라 파인, 2007
- 『가족에서 학교로 학교에서 마을로』 조한혜정 외, 2006
- 『여성주의, 남자를 살리다』 권혁범, 2006
- 『여성, 정치와 사랑에 빠지다』 장성순, 2006
- 『여행 좋아하세요?』 유이, 2006
- 『우리 속에 있는 남신들』 진 시노다 볼린, 2006
- 『함께 크는 삶의 시작, 공동육아』 이부미, 이기범, 정병호 엮음, 2006
- 『글로벌 시대의 문화 번역』 김현미, 2005
- 『우리 몸 우리 자신』 보스턴여성건강서공동체, 2005
- 『(탈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글 읽기와 삶 읽기』 조혜정, 2005
- 『누구와 함께 살 것인가』 또 하나의 문화 동인들, 2003
- 『놀자 하자』 전효관, 김희옥, 최수정 엮음, 2002
- 『왜, 지금, 청소년?- 하자센터가 만들어지기까지』 조한혜정, 양선영, 서동진 엮음, 2002
- 『여성과 남성이 다르지도 똑같지도 않은 이유』 캐롤 타브리스, 1999
- 『여성몸성』 장필화, 1999
- 『O91012 "공부 열심히"라구?』 조은, 1998
- 『단독 비행』 캐롤 M. 앤더슨 ; 수잔 스튜어트, 1998
- 『성찰적 근대성과 페미니즘』 조혜정, 1998
- 『변경에서의 일년』 박혜란, 1997
- 『여자들의 꿈』 루시 구디슨, 1997
- 『새로 쓰는 결혼 이야기』 또하나의문화동인, 1996
- 『새로 쓰는 결혼 이야기 1 : 안에서』 또하나의문화동인, 1996
- 『통일된 땅에서 더불어 사는 연습』 또하나의문화통일소모임, 1996
- 『학교를 거부하는 아이 아이를 거부하는 사회』 조혜정, 1996
- 『남자의 결혼 여자의 이혼』 김헤련, 1995
- 『누르는 교육 자라는 아이들』 또하나의문화동인들, 1995
- 『새로 쓰는 사랑이야기』 또하나의문화동인들, 1995
- 『새로 쓰는 성 이야기』 또하나의문화동인들, 1995
- 『성평등 문화를 여는 교육』 이진분 외, 1995
- 『여성 해방의 문학』 또하나의문화동인들, 1995
- 『열린사회 자율적 여성』 또하나의문화동인들, 1995
- 『우리 속에 있는 분노와 힘』 미리암 그린스팬, 1995
- 『주부, 그 막힘과 트임』 또하나의문화동인들, 1995
- 『지배문화, 남성문화』 또하나의문화동인들, 1995
- 『여자로 말하기 몸으로 글쓰기』 또하나의문화동인들, 1995
- 『평등한 부모 자유로운 아이』 또하나의문화동인들, 1995
- 『내가 살고 싶은 세상』 또 하나의 문화동인들, 1994
- 『바다에 어떻게 소금이 들어 있지』 브리기테 슈바이거, 1994
- 『우리 속에 있는 남신들』 진 시노다 볼린, 1994
- 『우리 속에 있는 여신들』 진 시노다 볼린, 1994
- 『탈 식민지시대 지식인의 글읽기와 삶읽기』 조혜정, 1994
- 『함께 크는 우리 아이』 공동 육아 연구회, 1994
- 『삶의 여성학』 박혜란, 1993
같이보기
- 국내 여성주의 단체
바깥고리
- 도서출판 또하나의문화 페이스북
- [1] 'herstory'란 단어를 한국에서 소개한 단체이기도 하다. 『정의롭게 말하기: 폴리티컬 코렉트니스』박금자
- [2] 출판도시 홍대앞 알아가기-015, 또 하나의 문화 스트리트 H 2013년 05월호 Vol.048
- [3] [여성]20주년 맞는 페미니스트 운동그룹 ‘또하나의 문화’ 경향신문 2004.10.28
- [4] [책만드는사람들] 30.또하나의문화 한겨레 2000.10.8
- [5] 2013년 기준 총 94종 출판도시 홍대앞 알아가기-015, 또 하나의 문화 스트리트 H 2013년 05월호 Vol.048
- [6] 출판도시 홍대앞 알아가기-015, 또 하나의 문화 스트리트 H 2013년 05월호 Vol.048
- [7] 카카오 오픈지식 또하나의 문화 작성: 여성부_위민넷, 버전: 2007.09.21 11:43 수정
활동
책을 읽고 발제하는 세미나 위주였으며 연극 동아리도 있었다.[2]
창립 동인
창립 동인 및 동인지 또문 1회 편집 동인인 조씨 4인방 등은 다음과 같다.[4] 괄호 안은 1999년 3월 기준.
- 조형 (趙馨.56.이대.사회학)
- 조은 (曺恩.53.동국대. 사회학) 교수
- 조한혜정 (趙韓惠貞.51. 연세대.사회학)
- 조옥라 (趙玉羅.49. 서강대. 사회학)
- 정진경 (鄭眞卿.45. 충북대. 사회학) 교수
역사
- 1997년 경 - 이대 앞에서 신촌으로 자리를 옮겼다.[1]
같이 보기
출처
- ↑ 1.0 1.1 1.2 김현영(들꽃모임) (2006년 8월 22일). “<기획 - 해방으로 가는 비상구, 자매애> 여성주의 연대가 꽃피다”. 《한국여성민우회》. 2017년 12월 1일에 확인함.
- ↑ 2.0 2.1 “페미니스트 가수 지현 '남자의 눈물이 좋다!'”. 《참여연대》. 2003년 3월 25일. 2018년 4월 2일에 확인함.
- ↑ 이유진 (2014년 6월 11일). “가부장제 맞선 한국 여성학 30년…이젠 젊은층 답답함 풀어줄 때”. 2024년 6월 3일에 확인함.
- ↑ 신용호 기자 (1999년 3월 16일). “[지식인 지도가 바뀐다] 3. '또 하나의 문화' 그룹”.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