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8기 경기도 여성 공약

This page was last edited on 9 May 2023, at 17:43.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경기도지사 (2022년 7월 1일~2026년 6월 30일)

더 고른 기회 > 더불어 살아가는 복지 경기

117 경력단절여성 경기여성취업지원금 인상

2023년부터 경력단절여성 여성취업지원금을 90만원에서 120만원으로 상향 지원

118 경력단절여성 디딤돌 취업지원사업 강화

디딤돌 사업공동체(학습동아리) 맞춤형 운영지원 연차별 확대: 연 20개 -> 연 22개 (2025년)

사업공동체 간 협업을 통해 지역사회 학교 강사 등 수요처(판로) 발굴 등 지원

119 시˙군 여성창업플랫폼 설치 및 경기 여성창업 경진대회 확대

시˙군 여성창업플랫폼 '꿈마루' 설치 연차별 확대: 5개소 -> 9개소 (2026년)

여성창업 경진대회 시상(사업화지원) 대상 연차별 확대: 6팀 -> 10팀 (2026년)

134 장애여성 평생교육 및 자립생활 지원 확대

여성장애인 사회성 향상을 위한 역량강화 프로그램 운영 (2022년 달랑 한 해)

중증장애인 교육프로그램 운영 및 참여자수 확대 (2023년~ )

154 젠더정책 협력기반 강화

시˙군 성평등정책 균형발전을 지원하는 젠더전문관 배치 지원

젠더전문관 운영 현황을 성인지정책평가에 반영 관리

  • 젠더전문관의 역할: 젠더정책 추진 기반 강화 도˙시˙군 합동 워크숍 및 역량강화 교육 지원
155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보호 강화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치유 프로그램 운영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에게 전문심리치료 및 법률소송비용 지원

경찰과 협업하여 안심지지 동반서비스 지원 강화

156 가정폭력, 성폭력 등 젠더폭력 공동대응체계 확대 구축

가정폭력, 성폭력, 스토킹, 데이트폭력 등 젠더폭력 공동대응 통합 상담서비스를 전 시군으로 확대

공동대응팀 운영관리 및 112신고(APO시스템)과의 연동 등 업무 전산화 구축

종사자 전문성 확보 및 역량강화 교육지원

158 민간산후조리원의 시설˙서비스 표준화 기준 마련

산후조리원 컨설팅 실시 (2022~2023년)

  • 산모와 신생아 돌봄, 부모교육 및 감염예방 영역에서의 적정성, 건강관리인력의 전문성 확보 등

산후조리원 평가 시행 (2024년 보건복지부)

165 달빛건강 서비스 사업(생식건강 관련 정보˙의료 심리삼당 서비스)

권역 난임, 우을증 상담센터 운영 및 의료 상담서비스 제공

매년 상하반기 도 및 시군 공공시설 공공생리대 비치현황을 안내지도에 현행화

169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보편지원 사업 확대

20개 시군 만 11~18세 여성청소년 1인당 연 최대 150천원을 지역화폐로 분기별 지원

더 나은 기회 > 소통, 협치로 만드는 자치 경기

233 여성 1인가구 안심패키지 보급

도내 여성 1인가구 1만가구에 여성안심패키지 보급

더 나은 기회 > 사회적 가치, 평등한 기회가 보장되는 경기

285 여성가족국 기능 강화

2022년 하반지 조직개편시 여성가족국 기능 개편: 일가정지원과->고용평등과

286 공공부문 여성관리자 비율 확대

도 관리직 여성공무원 비율 26.2% -> 30%로 연차별 확대

공공기관 여성관리자 비율 34.25 -> 35%로 연차별 확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