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록주

최근 편집: 2022년 12월 29일 (목) 01:29

박록주(朴綠珠, 1905년 2월 28일~1979년 5월 26일)는 대한민국의 판소리 명창이자 소리꾼이다. 본명은 명이(命伊), 호는 춘미(春眉)로 경상북도 선산군에서 태어났다. 녹주는 예명이다. 판소리 국가무형문화재 기능 보유자이다.

12세부터 소리를 배우기 시작해 박기홍에게서 판소리를 배웠고 20여세 때 1900년대 초기의 명창으로 불리던 송만갑에게 사사했다. 협률사(協律社)에서 활약하다가 남원에 내려가 김정문에게 <흥보가>를 배웠고 김창환)에게 <흥보가> 중 <제비노정기>를 배웠다. 정정렬에게서 <춘향가>를 배웠다. 조선성악연구회·조선창극단·대한국악원 등 판소리계의 일선에서 활약하여 왔다. <흥보가> <춘향가>에 장(長)하고 <춘향가>는 무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되었다. 동편제의 꿋꿋한 창법을 간직하고 있다. 판소리 보존연구회 회장 역임.

1928년부터 음반을 취입하여 판소리 음반을 많이 남겼다. 판소리, 창극 등에 능하였으며, 해방 후에는 판소리 교육과 보존에 힘을 쏟았다. 흥보가춘향가의 판소리 예능 보유자로 지정되었으며, 서편제가 다수였던 판소리계에서 동편제의 국보적 존재로 많은 제자를 남겼다.

약력

박록주 판소리의 특징

  • 동편제
성량이 풍부하고, 남성적이고 깔끔한 목소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목소리를 바탕으로, 박기홍·송만갑·김정문 등 동편제의 거장에게 흥보가나 심청가등을 전수받았고, 특히 능했던 흥보가에 이러한 동편제의 특징이 그대로 스며들었다. 고향인 경상도 중서부내륙의 사투리를 그대로 활용하는 것도 특징으로, 이러한 동편제 판소리에 독특함을 부여하고 있다.
정노식 “성량이 거대하여 광대의 본색을 발휘하여 장래의 촉망을 붙이거니와 모즈락스럽게 맺고 끊는 점이 그 특색을 보인다.”[1]
이옥천 “통이 크고 박력이 있으며 부드럽다기보다는 꿋꿋하며 맺고 끊음이 무섭다.”
한농선 “편안하고 포근한 느낌을 주며 우람한 성음이 돋보이는 것이 특기라 할 수 있고 소리를 진행하는 속도가 요즘처럼 느리지 않고 거뜬거뜬하다.”
정성숙 “소릿길이 정대하며 엄한 데가 있다. 서슬 시퍼렇게 몰아치는 창법이 특기다. 진중하면서도 시원한 느낌을 준다.”[2]
  • 흥보가
흥보가·심청가·춘향가·숙영낭자전 등의 여러 가지 판소리와 무용, 단가, 창극 등에 능하였지만 특히 흥보가에 능하였다. 1964년에는 국가무형문화재 5호 판소리에 춘향가만 지정되었으므로 춘향가 기능보유자로 등록되었다가, 1973년에 흥보가 기능보유자로 다시 지정되었다. 박록주의 판소리 중에서는 흥보가만 계승되고 있으며, 계보는 다음과 같다.
  • 변형
박록주의 소리는 여러 명창에게서 전수된 특징을 그대로 받으면서도, 흥보가 등에서 자신의 소리와 성격에 맞게 변형해 이끌었다. 그러한 결과 박타령·제비노정기 등 흥보가 전반에서 다른 계보로 전승된 동편제 판소리와 비교할 때, 추가된 부분이나 빠진 부분이 자주 나타난다.

김유정의 스토킹

박록주보다 3살 연하였던 소설가 김유정이 박록주를 광적으로 스토킹했다.

박록주에게 첫눈에 반한 김유정은 여러 번 박록주에게 편지를 보냈고, 박록주는 이를 돌려보냈다. 김유정은 레코드판에서 박록주의 사진을 뜯어 내 '당신을 연모합니다. 자의 사랑을 받아주옵소서'라는 편지를 다시 보내 박록주는 직접 만나 거절하였다.

김유정은 박록주의 집에 찾아가서 대성통곡을 하고, 박록주의 동생 박태술과 친구가 되어 그를 통해 편지를 전달하였다. 이후 협박과 공갈로 발전하였다. 처음 '선생님'으로 시작되었던 편지는 협박과 공갈이 진행되면서 '너'라고 칭호가 바뀌었고, 점점 자기 부인을 칭하는 듯 하였다고 한다. 김유정은 박록주에게 "내가 돈 없어서 그러는 거 아니냐"고 한남다운 말을 쏟아냈다. 박록주는 한국일보를 통해 이를 고발하였다. 1928년에는 살해협박으로까지 발전하였다.

박록주가 가정사를 비관하여 자살을 시도한 후 정신을 차리고 나서 처음 본 사람도 김유정이었다. 이후 김유정은 소설 〈두꺼비〉와 〈생의 반려〉에서 박록주와 유사한 존재를 그려냈다.[3]

함께 보기

각주

  1. 정노식, 《조선창극사》, 조선일보사, 1940년.
  2. 이상 3인은 노재명, 《판소리 음반 걸작선》, 삼호출판사, 1997년.
  3. “명장 박녹주의 예술과 비운의 사랑”. 《한국콘텐츠진흥원》. 2019년 11월 1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