섭식 장애/합병증

최근 편집: 2023년 2월 19일 (일) 00:40

섭식 장애의 합병증에는 근육쇠약, 피로, 기초대사량 저하, 잘 타게 된 추위, 빈혈, 변비, 저혈압, 서맥 등이 있다.[1] 가장 심각한 합병증은 사망이며, 사망은 후술할 다양한 합병증에 의해서 나타난다.

합병증이 심한 경우 다발성 주요장기 손상으로 치사율이 높아진다.[2] 일반적으로 거식증이 폭식증보다 사망 위험이 더 높다.[3]

체중 감소
환자들은 이것을 자신의 승리라고 여기겠지만 사실 체중 감소가 식이 장애의 가장 흔한 합병증이다.
골밀도 저하 / 골감소증
거식증 환자의 50% 이상에서 나타난다. 청소년들에서는 6개월 정도의 비교적 단기간 거식증에 걸린 후에도 나타날 수 있으며, 남성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2]
가장 활발한 골성장이 이루어지는 청소년 시기, 거식증으로 인한 무월경, 기아, 운동과다 등으로 인해 골형성 없이 골흡수가 일어나고 이 때문에 골밀도 저하가 나타난다.[2]
골밀도 저하로 인해 피질골과 소주골에 대한 영향, 압박골절과 척추후만증 등을 초래될 수 있다.[2]
체중 회복 후에도 골밀도 저하는 지속될 수 있으며, 거식증의 병력이 있는 여성은 향후 장기간 골절의 고위험군이 된다.[2]
신체적 위험도가 높은 환자의 경우 즉각적인 입원과 전문적인 치료를 요한다. 급성으로 진행한 경우에 특히 그렇다.[2]

내분비계 질환

섭식 장애 환자에서는 전해질 불균형이 자주 나타난다.

저칼륨혈증
저칼륨혈증은 심부전을 일으킬 수 있다.[3]
저칼슘혈증
저칼슘혈증으로 인한 칼슘경직(tetany)이 나타날 수 있다.[1]
저나트륨혈증
저나트륨혈증은 수분 섭취가 과다하거나 나트륨의 소실이 많은 경우에 발생하는 전해질 불균형이다.[4]
거식증에서는 자주 볼 수 있으며 식이장애에서는 이뇨제 사용, 신부전증, 구토, 설사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2][4]
대사성 알칼리혈증(혈청 중탄산염의 증가)
잦은 구토로 인해 위산이 소실되면 일어날 수 있다.[2]
대사성 산증
하제 복용으로 인한 빈번한 설사가 원인이 된다.[2] 사실 하제를 복용하지 않더라도 식습관이 망가지면 변비 또는 설사가 유발된다.
혈중 및 소변 코르티솔 농도 증가
저체중의 거식증 환자나 정상체중의 폭식증 환자 모두에서 혈중 및 소변 코르티솔 농도가 증가할 수 있다.[2]
갑상선기능저하증[2]
탈수

순환기계 질환

심부전증
저칼륨혈증으로 인해 심부전이 발생할 수 있다.[3]
서맥, 저혈압[2]

소화기계 질환

거식증과 폭식증 모두에서 소화기계 운동감소, 만성적인 변비약 복용, 자발적 구토 등과 관련하여 위장관계 확장소견이 나타날 수 있다.[2]

식도 및 위 파열[1]
입, 식도, 후두점막의 부식[1] 등 병변과 위 병변
식도염 또는 위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치료되지 못하는 비정상 세포가 많아지는 만큼 식도암이나 위암으로 이환될 수 있으나 암으로의 이환은 시간이 오래 걸리는 편이고 섭식장애 환자들이 젊은 만큼 암 발병보다는 영양실조 등이 문제가 된다.

이비인후 질환

폭식증의 일부에서 침샘, 특히 이하선이 아주 커진다.[2]

치과 질환

구역반사를 이용한 구토유발 때문에 위산에 의한 치과 질환이 자주 나타난다.

법랑질의 영구 소실
전방부 치아의 표면에서 중증의 영구적인 치아 법랑질의 소실이 나타날 수 있다.[2][1]

생식기계 질환

환자에서 월경과 관련된 호르몬, 즉, 황체형성호르몬, 난포자극호르몬, 성선자극호르몬의 감소 등이 유발될 수 있다.[2]

무월경은 거식증의 주요한 특징으로, 성선자극호르몬 박동성의 저하로 인한 성선자극성 성선기능저하증으로 인해 발생한다. 청소년에서는 사춘기가 지연될 수 있으며, 키 성장이 정지될 수 있다. 남성 환자의 경우는 혈중 테스토스테론의 감소 및 저신장이 초래될 수 있다.[2]

지방이 너무 적어서 발생하는 문제인 것으로 보인다.[2] 실제로 바디프로필을 촬영하는 일반인에서나 극단적으로 체중 감량을 해야 하는 발레 선수, 체조 선수, 무용수 등에서도 무월경은 자주 관찰된다.

섭식장애 환자에서는 신생아와 같은 체모도 관찰될 수 있다.[2]

기타

출처

  1. 1.0 1.1 1.2 1.3 1.4 1.5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영양사 1교시》. 편저 최미희 2022 최신개정판. 
  2.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김율리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섭식장애정신건강연구소, 서울대학교 여성연구소) (2018). “섭식장애의 신체적 이상과 치료”. doi:10.5124/jkma.2018.61.3.191. 
  3. 3.0 3.1 3.2 Siegel, Michele; Brisman, Judith; Weinshel, Margot. 〈PART 02. 문제 직면하기 - Chapter 5. 그녀가 아무 문제가 없다고 말한다면〉. 《Surviving An Eating Disorder》 [소중한 사람에게 식이장애가 있나요?]. 정신과 전문의 송윤주 옮김. 3판. 하나의학사. 
  4. 4.0 4.1 서울아산병원. “저나트륨혈증”. 《서울아산병원》. 2023년 1월 20일에 확인함. 
  5. Siegel, Michele; Brisman, Judith; Weinshel, Margot. 〈PART 01.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 Chapter 1. 당신이 보는 것들〉. 《Surviving An Eating Disorder》 [소중한 사람에게 식이장애가 있나요?]. 정신과 전문의 송윤주 옮김. 3판. 하나의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