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의 종류 |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9호선 | 인천1호선 | 인천2호선 | 수인·분당선 |
신분당선 | 경의·중앙선 | 공항철도 | 경춘선 |
서해선 | 의정부 | 용인 | 경강선 |
우이신설 | 신림선 | 김포 |
서울 지하철 4호선은 수도권 전철 중 하나로, 서울특별시 동북부와 서울 남부, 경기 서남부를 잇는 노선이다.
서울 지하철 3호선과 교차하며 서울을 가로지른다.
역사
- 1985년 4월 20일, 상계역-삼선교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삼선교역은 오늘날의 한성대입구역이다.
- 1985년 10월, 삼선교역-사당역 구간이 추가로 개통되었다.
- 1988년, 안산선이 개통되었다.
- 1993년, 당고개역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 1993년 1월, 과천선이 부분 개통되었다.(인덕원역-금정역)
- 1994년 4월, 과천선이 모두 개통(사당역-금정역)되면서 기존 지하철 4호선 구간과 과천선, 안산선이 이어졌다.
- 2000년 7월, 안산선이 신길온천역, 정왕역, 오이도역까지 연장되었다.
- 2021년 10월, 오마이뉴스 단독 보도에 따르면, 4호선에서 "가족이 데이트폭력으로 사망" 하였다는 사실을 방송하자, 차장이 업무 중지를 당하였다. 이에 "너무 예민하다" "빨리 복귀하면 좋겠다" "오죽 하면 그러겠냐" 라며 서울교통공사를 비판하는 반응이 이어졌다. [1]
※ 서울특별시 노원구의 당고개역에서 남양주시 진접읍으로의 연장이 예정되어 있다.
역명 목록
대략적 노선은 노원역→성신여대입구역→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서울역·숙대입구역→사당역→과천역→안산시라고 보면 된다. 속도도 괜찮은 편이어도 사람들이 많고, 배차간격도 10분 정도로 조금은 있는 편. 단, 성신여대입구역~사당역 구간은 3분(출·퇴근)~5분이다.
번호 | 역명 | 환승 |
409 | 당고개 | |
410 | 상계 | |
411 | 노원 | 7호선 |
412 | 창동 | 1호선 |
413 | 쌍문 | |
414 | 수유 | |
415 | 미아 | |
416 | 미아사거리 | |
417 | 길음 | |
418 | 성신여대입구 | 우이신설선 |
419 | 한성대입구 | |
420 | 혜화 | |
421 | 동대문 | 1호선 |
422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2호선, 5호선 |
423 | 충무로 | 3호선 |
424 | 명동 | |
425 | 회현 | |
426 | 서울역 | 1호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
427 | 숙대입구 | |
428 | 삼각지 | 6호선 |
439 | 신용산 | |
430 | 이촌 | 경의·중앙선 |
431 | 동작 | 9호선 |
432 | 총신대입구 | 7호선 |
433 | 사당 | 2호선 |
434 | 남태령 | |
435 | 선바위 | |
436 | 경마공원 | |
437 | 대공원 | |
438 | 과천 | |
439 | 정부과천청사 | |
440 | 인덕원 | |
441 | 평촌 | |
442 | 범계 | |
443 | 금정 | 1호선 |
444 | 산본 | |
445 | 수리산 | |
446 | 대야미 | |
447 | 반월 | |
448 | 상록수 | |
449 | 한대앞 | |
450 | 중앙 | |
451 | 고잔 | |
452 | 초지 | |
453 | 안산 | |
454 | 신길온천 | |
455 | 정왕 | |
456 | 오이도 | 수인선 |
대학
- ↑ 신나리. “[단독] "가족 데이트폭력으로 사망" 방송했던 4호선 차장 '업무중지'”. 2021년 10월 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