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의 종류 |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9호선 | 인천1호선 | 인천2호선 | 수인·분당선 |
신분당선 | 경의·중앙선 | 공항철도 | 경춘선 |
서해선 | 의정부 | 용인 | 경강선 |
우이신설 | 신림선 | 김포 |
개요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서울특별시부터 경기도 수원시, 그리고 경기도 안산시, 시흥시를 거쳐 인천광역시까지 운행되는 한국철도공사의 수도권 전철 노선이다. 이전의 수도권 전철 분당선과 수도권 전철 수인선의 직결운행된 노선이다. 2020년 9월 12일에 개통했다.
수인선의 역사
원래 수원역과 남인천역(현 숭의역)을 잇는 협궤 철도였고, 남인천역은 그 인근에 위치한 인천역의 표준궤 전용선으로 인천역과 이어졌으나 궤간이 달라 인천역까지 직통 운행은 할 수 없었다. 이후 구간이 차츰 줄어들었고, 1988년 안산선이 개통된 후에도 병행 구간이 존재하다가, 1994년에 병행 구간이 폐지되고, 1996년에 수원역-한대앞역만 운행하다가 운영 중단이 되고 선로가 철거되었다. 그리고 이 구간은 통계에서 명목상으로만 남한 내 유일한 협궤선으로 통계에 들어가다가 2015년 9월 4일 철도거리표에서 삭제되었다.
2012년부터 오이도역 이서 구간에 대해 수도권 전철이 개통하기 시작하여, 오이도역-인천역 구간을 운행하였다. 이후 분당선과 직결 운행하게 되었다.
분당선의 역사
분당선은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수도권 전철 노선이었다. 수원시와 용인시, 성남시, 서울특별시를 이었고, 이후 2020년 9월 12일자로 기존의 수인선과 합쳐져 수인·분당선이 되었다.
- 1994년: 수서역-오리역 개통
- 2003년: 선릉역-수서역 개통
- 2007년: 오리역-죽전역 개통
- 2011년: 죽전역-기흥역 개통
- 2012년: 왕십리역-선릉역 개통, 기흥역-망포역 개통
- 2013년: 망포역-수원역 개통
- 2020년: 수인선과 결합개통, 역명 변경(수인·분당선)
특징
색깔
설계 당시부터 수인선과 분당선은 직결운행할 계획으로 지어진 것이기 때문에, 처음부터 두 노선의 색깔은 동일하게 노란색으로 통일하였다.
4호선과 선로 공유
한대앞역부터 오이도역까지 4호선과 선로를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플랫폼에 서있으면 4호선과 수인분당선 열차가 번갈아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체감상 4호선 두 대에 수인분당선 1대가 오는 느낌이고, 4호선은 10량 편성인 반면에 수인분당선은 6량 편성이라 4호선에 비해 많은 승객을 싣고 가지는 않는다.
급행구간
급행선은 크게 예전의 분당선 구간과 수인선 구간으로 나뉘며, 평일 출퇴근 시간에 한정해 급행 노선을 운행한다는 특징이 있다.
분당선 구간 급행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 한해 운행되며, 총 14회 운행한다. 왕십리부터 죽전까지는 모든역에 정차하다가, 죽전역부터 죽전 - 기흥 - 망포 - 수원시청 - 수원 - 고색역만 정차한다. 단, 고색역에서 청량리 방향으로 가는 상행에 한해 청량리[1]역까지 운행한다. 운행 횟수는 1회이니 큰 기대는 하지 말자.
수인선 구간 급행
역시나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 한해 운행되며, 상행 5회, 하행 3회 운행된다. 이 급행열차는 인천역부터 오이도역까지만 운행하며, 오이도를 지나 정왕, 신길온천 등 안산 및 수원방향으로 가고자 한다면 오이도역에서 환승을 해야 한다. 해당 구간은 인천 - 인하대 - 연수 - 원인재 - 인천논현 - 소래포구 - 오이도역에만 정차한다.
역명 목록
번호 | 역명 | 환승 |
K209 | 청량리 | 1호선, 경의·중앙선, 경춘선 |
K210 | 왕십리 | 2호선, 5호선, 경의·중앙선 |
K211 | 서울숲 | |
K212 | 압구정로데오 | |
K213 | 강남구청 | 7호선 |
K214 | 선정릉 | 9호선 |
K215 | 선릉 | 2호선 |
K216 | 한티 | |
K217 | 도곡 | 3호선 |
K218 | 구룡 | |
K219 | 개포동 | |
K220 | 대모산입구 | |
K221 | 수서 | 3호선 |
K222 | 복정 | 8호선 |
K223 | 가천대 | |
K224 | 태평 | |
K225 | 모란 | 8호선 |
K276 | 야탑 | |
K277 | 이매 | 경강선 |
K278 | 서현 | |
K279 | 수내 | |
K230 | 정자 | 신분당선 |
K231 | 미금 | 신분당선 |
K232 | 오리 | |
K233 | 죽전 | |
K234 | 보정 | |
K235 | 구성 | |
K236 | 신갈 | |
K237 | 기흥 | 용인경전철 |
K238 | 상갈 | |
K239 | 청명 | |
K240 | 영통 | |
K241 | 망포 | |
K242 | 매탄권선 | |
K243 | 수원시청 | |
K244 | 매교 | |
K245 | 수원 | 1호선 |
K246 | 고색 | |
K247 | 오목천 | |
K248 | 어천 | |
K249 | 야목 | |
K250 | 사리 | |
K251 | 한대앞 | 4호선 |
K252 | 중앙 | |
K253 | 고잔 | |
K254 | 초지 | 서해선 |
K255 | 안산 | |
K256 | 신길온천 | |
K257 | 정왕 | |
K258 | 오이도 | 4호선 |
K259 | 달월 | |
K260 | 월곶 | |
K261 | 소래포구 | |
K262 | 인천논현 | |
K263 | 호구포 | |
K264 | 남동인더스파크 | |
K265 | 원인재 | 인천 1호선 |
K266 | 연수 | |
K267 | 송도 | |
K268 | 학익 | 미개통 |
K269 | 인하대 | |
K270 | 숭의 | |
K271 | 신포 | |
K272 | 인천 | 1호선 |
사건 및 사고
- 2023년 3월 3일 오후 5시 40분경 죽전역으로 향하고 있는 열차 내에서 한 승객이 큰 소리로 통화를 하자, 다른 승객이 목소리가 크다며 항의했는데, 갑자기 해당 승객이 3명에게 흉기를 휘두르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다행히 피해자 모두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2]
- ↑ 상행 편도 1회만 운행한다는 특징이 있다. 즉, 청량리역에서 출발하는 급행열차는 없다.
- ↑ “용인 수인분당선 열차 내 흉기 난동 30대 체포...승객 3명 다쳐”. 2023년 4월 7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