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비아 페데리치

최근 편집: 2022년 12월 24일 (토) 18:19

실비아 페데리치는 이탈리아 출신의 여성이론가이다. 그가 페미니즘에 관심을 두게 된 까닭은 어린 시절 경험한 2차 세계대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는 여성의 가사노동성역할을 역사화한다. 이로써 페미니스트들에 의해 해방되어야 할 것으로 간주되었던 재생산노동을 반자본주의 및 반성차별주의에 항거할 동력으로서 재의미화한다. 그러나 이는 기존의 성역할 담론의 고착화가 아니다. 그는 재생산노동자로서 여성들의 정체성을 긍정하지만, 여성들이 교류없이 재생산노동을 이어나가는 생활을 경계한다. 즉, 그가 파악하는 여성 재생산노동의 본질은 협업경제 형태이다.

생산노동을 매개로 한 여성연대를 기초로 여성억압을, 나아가 자본주의를 대체하는 새로운 사회관계를 건설하는 페데리치의 기획은 반자본주의 투쟁이 여성억압을 종식한다는 마르크스주의의 공식을 뒤집어 오히려 여성억압에 맞선 투쟁이 자본주의 종식으로 이어진다는 역발상으로 사회운동에서 여성운동이 가지는 지위를 격상시킨다.

저작

  • 『세계를 재주술화하기: 페미니즘과 커먼즈 정치』 (Re-enchanting the World: Feminism and the Politics of the Commons, 2018)
  • 『혁명의 영점 : 가사노동, 재생산, 여성주의 투쟁』 (갈무리, 2013)
  • 『캘리번과 마녀 : 여성, 신체, 그리고 시초축적』 (갈무리, 2011)
  • 『대캘리번 : 자본주의의 첫 번째 단계의 반항적 신체』(Il Grande Calibano : Storia del corpo sociale ribelle nella prima fase del capitale, 공저)
  • 『유구한 서구문명 : 서구문명과 그 "타자들"에 대한 개념구성』(Enduring Western Civilization : The Construction of the Concept of Western Civilization and Its "Others", 편집자)
  • 『천 송이 꽃 : 아프리카 대학 구조조정에 대한 사회적 투쟁』(A Thousand Flowers : Social Struggles Against Structural Adjustment in Africa Universities, 공동편집자)
  • 『아프리카의 미래 : 현대 아프리카 문학적 이미지와 정치적 변화, 그리고 사회적 투쟁』(African Visions : Literary Images, Political Change, and Social Struggle in Contemporary Africa, 공동편집자)

출처 참고

  • 배상미 (2015). 가사노동을 역사화하기 : 실비아 페데리치. 여/성이론, (32), 159-169.
  • 여/성이론 , (32), 2015.5, 159-169 (11 pages)
  • Journal of feminist theories and practices , (32), 2015.5, 159-169 (11 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