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수산

최근 편집: 2022년 12월 29일 (목) 10:05
안수산
Susan Ahn Cuddy
안 남매, 왼쪽에 안필영, 중간에 안필립, 오른쪽에 안수산
안 남매, 왼쪽에 안필영, 중간에 안필립, 오른쪽에 안수산
출생지 미국 미국 캘리포니아주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1]
사망지 미국 미국 캘리포니아주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정당 무소속
부모 안창호(부), 이혜련(모)
배우자 프랭크 커디
자녀 필립 안 커디
복무 미국 해군
복무 기간 1942년 ~ 1946년
최종 계급 대위[2]
근무 Link Training, Gunnery, Intelligence
기타 이력 미국 의회도서관[2]
미국 국가안보국[2]

안수산(安繡山, Susan Ahn Cuddy, 1915년 1월 16일 ~ 2015년 6월 24일)은 미국의 예비역 해군 군인 출신 정치가이다. 도산 안창호의 장녀이고, 안필립의 여동생이다. 미군에 입대한 사상 첫 아시아계 미국인 여성으로 기록되었다.[3] 안수산은 동양계 여성으로는 최초로 1942년부터 1946년까지 미국 해군에서 장교로 복무하였으며 후에는 국가안보국에서 비밀정보 분석요원으로 활동하였다. 은퇴 후에는 미국내 한인교민사회를 위해 헌신하였다. 2016년 5월, 타임지는 안수산을 '이름없는 여성 영웅 (unsung women of history)'에 선정하였다.[4][5] 2015년 6월 24일에 안수산의 나이가 향년이 101세였다.

생애

안수산은 1915년 1월 16일에 이혜련안창호의 딸로 미국 LA에서 5남매 중 장녀로 태어났다.[6] 안수산은 미국 땅에 뿌리를 내련 미국 한인 공동체 집단에서 태어난 최초의 한인 2세중 한 명이었다.[7]

가부장적인 한국전통이 팽배해 있던 20세기 초반의 미국 한인 공동체에서도 안수산은 가부장적인 사고를 하는 인물로 보이지 않는다.[7] 여러 인터뷰에서 자신의 롤 모델은 어머니라고 말했고 자신이 유년 시절에 보았던 어머니의 모습을 닮고자 하는 생각을 마음에 품고 있었다는 사실을 밝혔다.[7] 또한 아버지에 대해서도 무조건적 복종이나 존경보다는 아버지와 어머니에 대해 균형 잡힌 시각을 가진 인물이었다.[7]

[8]

10대였던 어느 날 여자아이들이 남자 아이들에게 소풍을 가자고 한 뒤 도시락 박스에 벽돌과 흙을 포장해서 넣고 남자아이들이 그것들을 공원까지 옮기게 했다는 장난기 넘치는 일화도 있다.[7]

로스엔젤레스 시티 칼리지 재학 시절 첫 번째 아시안 아메리칸 여자 야구 선수로 획기적인 활동을 했다.[9]

아버지 안창호의 독립운동을 돕다가, 1940년에 샌디에이고 주립대학을 졸업하였다.

일본이 진주만을 폭격한 1942년에 웨이브 부대의 장교훈련 프로그램에 지원했고, 동양인이라는 이유로 거절당했으나 사병으로 다시 지원해 아시아계 미국인 여성으로는 처음으로 미 해군에 입대하였다.[9] [주 1] 1943년에 장교학교를 졸업하고, 해군 항공기에서 플렉시블 마운트 또는 포탑 장착 기관총을 조작하여 미 해군 최초로 여성 포격술 장교로 활약하였다. 중위로 진급한 후에는 미 해군 정보국과 의회 도서관에서 암호해독가로 근무하다가 1946년에 대위로 전역하였다. 전역한 뒤에는 국가안보국(NSA) 정보 부서에서 비밀정보 분석요원으로 1959년까지 활동하면서 Fellowship을 받고 정보 부서장을 맡기도 하였다.[10][11]

현역에서 은퇴한 이후 안수산은 독립운동가의 딸로서 한국과 끊임 없이 소통했고, 동시에 한인 이민 개척자들의 역사를 보존하면서 미국 내 한인 공동체의 발전과 성장을 위해 삶을 할애했다.[6] 1983년에 안창호의 유품,자료 등을 정리하여 독립기념관에 기증하였다.

안수산은 미국 대부분의 주에서 인종간결혼금지법이 유효하던 시대에 결혼에 대한 보수적 관념을 타파하고 아일랜드계 백인과 결혼했다.[6] 이들은 인종 간 결혼을 허용하였던 워싱턴 D.C.의 해군 통신본부 예배당에서 결혼식을 했다.[12] 안수산은 가족들에게 결혼에 대한 그 어떤 것도 말하지 않았다.[12] 이혜련은 그 후 5년 동안 안수산에게 집에 오라는 말을 하지 않았고 5년이 지난 이후에야 관계가 회복될 수 있었다.[12]

2003년에 캘리포니아주 국회에서 공공 봉사에 대한 안수산의 공약에 경의를 표했으며, 2006년에 한인 최초로 워싱턴 D.C.의 아메리칸 커리지 어워드를 수상받으며[13], 해군과 한인 커뮤니티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2015년 3월 10일에 LA 카운티 정부가 안창호의 순국기념일을 맞아 '안수산의 날(Susan Ahn Cuddy Day)'을 선포하였다.[14]

2015년 6월 24일에 캘리포니아주 노스리지(Northridge)의 자택에서 100세로 세상을 떠났다.

2015년 6월 23일, 한인 연합 리더십 프로그램에서 학생들과 [8]

기념과 연구

  • 사후인 2016년 5월에 타임지에서 '이름없는 여성영웅(unsung women of history)'으로 선정하였다.[6]
  • 2018년 4월 아시아 아메리칸 및 태평양 도서지역 미국인 유산의 달을 맞은 트럼프의 성명에서 안수산의 행적에 대한 존경이 표해졌다.[6]
  • 박현순은 코리안 아메리칸 안수산 연구라는 논문으로 2018년 8월 경상대에서 문학석사학위를 받았다.[6] 이 논문은 안수산을 연구한 첫 논문으로 당시 화제를 모았다.[6]

부연 설명

  1. 안수산은 어머니가 아무리 반대를 해도 해군에 지원할 작정이었기 때문에 군에 지원하고 나서 어머니에게 알렸다.[9]

출처

  1. Ha, Julia (2009). “Defining Herself”. 《KoreAm》 (February 2009). 
  2. 2.0 2.1 2.2 “Asian and Pacific Islander Heritage Month Features Notable Asian Americans”. 《Asian and Pacific Islander Affairs》. District of Columbia. 2009년 5월 15일. 2009년 11월 22일에 확인함. 
  3. 장재은 기자 (2021년 2월 18일). “안창호선생 손자 "하버드대에 대가 묻겠다"…사료 기증도 거부”. 《연합뉴스》. 
  4. “The Officer Who Opened the U.S. Navy for Asian-American Women”. Time magazine. 2016년 5월 3일. 2016년 8월 21일에 확인함. 
  5. “안수산 여사 ‘이름 없는 여성 영웅’”. 미주 중앙일보. 2016년 5월 4일. 2016년 8월 21일에 확인함. 
  6. 6.0 6.1 6.2 6.3 6.4 6.5 6.6 박현순 (2018년 10월 4일). “코리안 아메리칸 안수산을 만나다<1>”. 《경남일보》. 
  7. 7.0 7.1 7.2 7.3 7.4 박현순 (2018년 10월 28일). “코리안 아메리칸 안수산을 만나다 <2>”. 《경남일보》. 
  8. 8.0 8.1 “Susan Ahn Cuddy - A True Role Model”. 《Susan Ahn Cuddy》. 
  9. 9.0 9.1 9.2 박현순 (2018년 11월 11일). “코리안 아메리칸 안수산을 만나다<3>”. 《경남일보》. 
  10. 홍준기 (2013년 7월 30일). “[현장人] "수많은 韓人 관중 보니 아버지가 더 그립습니다". 《조선일보》. 
  11. “susan's biography”. 《Susan Ahn Cuddy》. 
  12. 12.0 12.1 12.2 박현순 (2018년 11월 25일). “코리안 아메리칸 안수산을 만나다<4>”. 《경남일보》. 
  13. 오현영 (2017년 4월 14일). “한국인이 잘 모르는 숨은 영웅 '도산 안창호의 딸'. 《뉴스Q》. 
  14. “안수산”.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