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리타 쉐어-길(영어: Amrita Sher-Gil, 1913년 1월 30일 ~ 1941년 12월 5일), 또는 암리타 쉐어 길, 암리타 셔 길은 인도의 화가이다. 20세기 초기의 위대한 아방가르드 화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인도 현대 미술의 선구자로 불린다.[1]
생애
1913년, 헝가리인 유대교도 어머니와 펀자브인 시크교도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다. 암리타는 생애 초기를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보냈다. 어렸을 적부터 미술에 관심을 가졌다고 전해지며, 집안 하인들을 모델 삼아 그림을 시작했다고 한다.[2]
1921년에 인도 심라(Shimla)로 가족과 함께 이사한 뒤 이탈리아 조각가로부터 미술에 관련된 교육을 받는다. 그는 동유럽과 남아시아의 양식이나 여성에 대한 미의 기준에 영향을 받았다.[1] 1930년부터 1934년까지는 프랑스 파리의 에꼴 데 보자르(École des Beaux-Arts)에서 공부하며 서구 미술의 영향을 받는다.[2] 파리에서 돌아온 후 그 영향을 받아 화풍이 급격히 변했다.[2]
그는 인도로 돌아온 후 가족과 친구들의 초상화를 여럿 그렸는데, 그 중 가장 유명한 것이 '세 소녀'이다.[1]
1941년 12월 5일, 그는 스물아홉 살이 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그가 짧은 생애 동안 창작한 작품 174점 중 총 95점이 인도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이다.[1]
작품 활동
1932–1936: 초기, 유럽풍과 서구풍
-
어린 소녀들Young Girls, 1932, 캔버스에 유화, 133×164 cm, 델리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
잠Sleep, 1932, 캔버스에 유화, 112.5 x 79 cm, 델리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셔길의 초기 그림들은 서양 회화의 양식, 특히 후기 인상주의 양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특히 1930년대 초 파리의 보헤미안 서클에서 활동했다.
그의 1932년 작품인 <어린 소녀들>은 그에게 돌파구가 되었다. 암리타는 이 작품으로 1933년 파리에서 열린 그랜드 살롱의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금메달을 받는 영예를 안았다. 그는 역대 최연소 멤버였다.[3][4][5] 아시아인으로는 최초였다.[6] 파리에서 활동한 시기 동안 그는 파리에서의 생활, 누드 연구, 정물 연구, 친구나 동료 학생들의 초상화 등을 그렸다.[7] 뉴델리에 있는 국립현대미술관은 그가 파리에 있을 때 그린 자화상을 두고, 그 자신의 많은 기분에 - 침울하거나, 수심이 어려 있거나, 즐거워하는 - 따른 암리타 안의 화가를 포착하면서 나르시시즘적인 기색을 드러낸 것이라고 묘사하고 있다.[7]
그가 파리에 있을 때 한 교수는 셔길의 풍부한 색채로 미루어 보아 셔길의 예술적 성격은 동양에서 그 진정한 분위기를 찾을 것이라고 자주 말했다.[8] 1933년 그는 갑자기 인도에 대한 그리움에 시달렸고, 화가로서의 자신의 운명이 인도에 놓여 있다는 어떤 이상한 느낌이 들었다. 다음해 말 그는 인도로 귀국했다.[9][8]
1935년 5월, 셔길은 영국 기자 말콤 머거리지를 만났고, 그 후 ≪The Calcutta Statesman≫의 편집자 겸 수석 작가로 일했다.[10]
머거리지와 셔길은 심라의 서머힐에 위치한 가족 집에서 머물렀고, 둘은 사랑에 빠졌다. 이때 그린 머거리지의 초상화는 현재 뉴델리의 국립현대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다. 1935년 머거리지는 새 일자리를 위해 영국으로 떠났다.[11]
암리타 셔길은 1936년 미술품 수집가이자 평론가인 칼 칸달라발라의 권유로 여행을 떠났다. 칼은 암리타에게 암리타의 인도 뿌리를 찾도록 열정을 심어주었다.[12]
암리타 셔길은 인도에서 인도 예술의 전통을 재발견하는 여정을 시작했다. 이 연구는 그가 짧은 생을 마감할 때까지 계속된다. 그는 무굴과 파하리 화풍에 더해 아잔타 동굴 벽화에 큰 영향을 받았다.
1937–1941: 후기, 인도 예술의 영향

이후 그는 남인도를 여행하며[12] 그의 남인도 3연작으로 <신부의 화장실Bride's Toilet>, <브라흐마들Brahmacharis>, 그리고 아잔타 동굴에 방문한 후에 그린 <시장에 가는 남인도의 마을 사람들South Indian Villagers Going to Market>을 그렸다. 이때 암리타는 의식적으로 인도 고전 예술로 돌아가려 했다. 이 그림들에서 색채나 가난과 절망 속에서 묘사되는 인도 사람들에 대한 암리타의 열정이 드러난다.[13] 이 시기쯤에 암리타 셔길의 화풍이 변신을 끝마쳤고, 캔버스를 통해 인도인들의 삶을 표현하는 '예술적 사명'을 발견하게 된다.[14]
인도에 있던 이 시기는 암리타의 예술적인 발전에 있어서 새로운 국면의 시작을 의미했다. 헝가리 화가들의 작풍, 특히 나히베 화풍과의 연관성을 보여주게 된 이 변화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사이 시기의 유럽과는 구별되는 것이었다.[15]
암리타 셔길은 25살에 헝가리인 사촌인 빅터 이건 박사와 결혼했다.[16] 이건은 결혼 전, 셔길이 두 번 이상의 낙태 수술을 받도록 도왔다.[16] 셔길은 남편과 함께 사라야에 있는 본가로 이사했다. 이때부터 그의 두 번째 작품 시기가 시작됐다.
암리타는 벵골 회화의 선구자였던 라빈드라나스 타고르와 아바닌드라나스 타고르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그가 그린 여성 초상화는 라빈드라나스의 작품과 닮았으며, 명암 분배나 밝은 색채는 아바닌드라나스의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준다.[17]
기념
2016년 1월 30일에 암리타 쉐어 길 탄생 103주년을 기념하는 구글 두들([1])이 인도, 아르헨티나, 아이슬란드, 포르투갈, 리투아니아, 세르비아, 슬로베니아, 이스라엘, 케냐, 카자흐스탄, 인도네시아, 일본에서 표시되었다. 검색엔진은 암리타의 유명한 작품 '세 소녀'를 내걸었다. 구글은 인도의 국가 보물로 선정된 그의 작품에 대해 "선명한 색채, 우아한 형태, 과감한 필치는 '인도 프리다 칼로'로 묘사되는 이 인도 화가의 놀라운 삶과 업적을 나타낸다"고 언급했다.[1]
이 두들을 제작한 제니퍼 홈은 최종 버전을 앞두고 암리타 쉐어-길 특유의 피부 및 의류 묘사, 톤, 질감, 색상에 맞춰 이미지를 다시 제작했다.[1]
출처
- ↑ 1.0 1.1 1.2 1.3 1.4 1.5 PTI (2016년 1월 30일). “Google celebrates Amrita Sher-Gil’s 103rd birthday with ‘Three Girls’ doodle”. 2019년 12월 24일에 확인함.
- ↑ 2.0 2.1 2.2 “Google’s Doodle Honours Amrita Sher-Gil. Here Are 5 Things You Should Know about Her.”. 2018년 1월 30일에 확인함.
- ↑ Anand, Armita Sher-Gil
- ↑ Works in Focus, Tate Modern, 2007.
- ↑ Amrita Shergil at tate. En.ce.cn.
- ↑ Amrita Shergill Biography at. Iloveindia.com (6 December 1941).
- ↑ 7.0 7.1 “National Gallery of Modern Art, New Delhi”. 《www.ngmaindia.gov.in》. 2017년 5월 14일에 확인함.
- ↑ 8.0 8.1 Dalmia, Yashodhara (2014). 《Amrita Sher-Gil: Art & Life: A Reader》. New Delhi: Oxford University Press. 5쪽. ISBN 978-0-19-809886-7.
- ↑ Laid bare – the free spirit of Indian art The Daily Telegraph, 24 February 2007.
- ↑ Bright-Holmes, John (1981). 《Like It Was: The Diaries of Malcolm Muggeridge》. entry dated 18 January 1951: Collins. 426쪽. ISBN 978-0-688-00784-3. 29 August 2011에 확인함.
- ↑ Wolfe, Gregory (2003). 《Malcolm Muggeridge: A Biography》. page 136-137: Intercollegiate Studies Institute. 136쪽. ISBN 1932236066.
- ↑ 12.0 12.1 Amrita Sher-Gil Exhibition at tate.org
- ↑ Amrita Shergill at. Indiaprofile.com (6 December 1941).
- ↑ Great Minds, The Tribune, 12 March 2000.
- ↑ Daily Times, 15 December 2004. Dailytimes.com.pk (15 December 2004).
- ↑ 16.0 16.1 “The Indian Frida Kahlo”. 《Telegraph.co.uk》 (영어). 2017년 5월 14일에 확인함.
- ↑ “Art into life”. 《HT Mint》. 2013년 1월 31일. 2013년 2월 6일에 확인함.
Cite error: <ref>
tag with name "BBC" defined in <references>
is not used in prior text.
Cite error: <ref>
tag with name "Truth" defined in <references>
is not used in prior text.
Cite error: <ref>
tag with name "journal" defined in <references>
is not used in prior 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