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

최근 편집: 2023년 4월 6일 (목) 23:58

어떤 대상을 지칭할 때 쓰이는 고유명사. 본 문서에서는 사람의 이름을 주된 서술 대상으로 한다.

작명

서양

서양에서는 이름을 지을 때 다른 실존 인물이나 옛날부터 전해져내려오던 이름을 빌린다. 이 때문에 사람들의 이름은 다들 비슷비슷하고, 주로 성으로 서로를 구분한다.

한자 문화권

  • 본관: '본'이라고도 하며, 부계 시조의 고향을 나타낸다. 성이 같지만 본관이 다르면 다른 성이다.
  • 성씨姓氏: (주로 부계) 혈통을 표시한다.
    고대 중국에서는 성과 씨가 별개여서 씨가 본관으로 기능했으나 춘추전국시대를 거치며 합쳐졌다.
  • 명名
    • 휘諱: 진짜 이름. 흔히 사람 이름이라고 말하는 것은 대부분 휘이다. 전근대에는 군주, 존속 등 상대적으로 지위가 높은 사람만이 부를 수 있었으며, 현대에는 제한이 조금 풀어졌지만 이름을 막 부르는 것은 실례가 될 수 있다.
      글을 쓸 때 군주의 휘를 적는 것을 피하는 것을 '피휘'라고 한다. 이 때문에 군주의 휘는 벽자 외자가 많다.
    • 자字: 자기 자신 또는 상대적 지위가 비슷한 사람들끼리 쓸 수 있는 이름.
      예기에서는 남자는 스물이 되면 자를 가지고 여자는 열다섯이 되면 자를 가진다고 하였다.
    • 호號: 편하게 부르라고 있는 이름. 필명, 예명, 닉네임 같은 것들이 호에 해당한다.

이름과 젠더

이름은 중성적인 것과 여성적인 것, 남성적인 것이 있다.

취업 시 여성의 이력서에서 이름을 지우면 서류 합격률이 올라가는 등의 실험 결과를 낳았다.(출처 필요)

조선조 여성의 이름

노비

  • 아무개를 지칭하는 것: 악지(岳只, 아기), 조시(助是, 조이)
  • 단산기원: 막금(莫金, 막쇠), 말질춘(末叱春, 긋춘)
  • 잠과 관련된 것: 자음아(者音牙, 잠아), 자음옥(者音玉, 잠옥), 자음진(者音進, 잠진)
  • 동물을 비유한 것: 개덕(介德), 소아지(小阿只, 송아지), 벌어지(伐於之, 버 러지)
  • 외모와 관련된 것: 고읍단(古邑丹, 곱단), 여희덕(汝邑德, 넙적), 소ㄱ덕(小ㄱ德, 쟉덕)
  • 암석과 관련된 것: 돌진(乭進), 암외(岩外, 바위)
  • 소유와 관련된 것: 언진례(彦叱禮, 엇례), 어질금(於叱今, 엇금)
  • 도구와 관련된 것: 광자리(光自里, 빗자루), 소고리(小古里, 소코리), 화리덕(禾里德, 화덕)
  • 더부살이와 관련된 것: 더부덕(加夫德), 담사리(淡沙里)
  • 장소를 나타내는 것: 구지(九之, 구디=구덩이), 노은덕(老근德, 논덕), 부엌(夫億, 부엌), 평을분(坪乙分, 들분)

대체적으로 이들 노비명은 인성(人性) 보다는 물성(物性)이 강조되었다. 노비명은 남녀 모두에게 단산기원(딸은 그만 낳자)·더부살이·도구·동물·소유·암석·아무개·외모의 의미가 공통적으로 드러난다. 남노명은 여비명에 비하여 금기·쇠가, 여비명은 잠·장소가 많이 나타난다. 남노의 경우 똥이나 성기와 관련된 고유어가 직접적으로 드러나는데 비하여, 여비명에서는 일정하게 금기시되었다.[1]


민법에서

개명

다른 문서로 이동 이 내용은 개명 문서로 이동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같이 보기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