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문학)

최근 편집: 2021년 8월 3일 (화) 11:56

이미지란 시어에 의해 마음 속에 떠오르는 구체적이고 선명한 영상이나 감각적인 인상을 의미한다.

이미지의 종류

감각적 이미지

  • 시각적 이미지 : 형태의 묘사나 색채어 등을 사용하여 눈으로보는 듯한 느낌을 주는 이미지, 빛깔이나 모양, 움직임 등이 모두 시각적 이미지에 해당한다.
  • 청각적 이미지 : 구체적인 소리를 표현한 의성어와 같이 귀로 듣는 듯한 느낌을 주는 이미지
  • 후각적 이미지 : 냄새나 향기와 같이 코로 냄새를 맡는 듯한 느낌을 주는 이미지
  • 미각적 이미지 : 맛을 나타내는 시어를 통해 혀로 맛을 보는 듯한 느낌을 주는 이미지
  • 촉각적 이미지 : 촉감과 같이 피부에 닿는 듯한 느낌을 주는 이미지

공감각적 이미지

  • 둘 이상의 감각이 결합되어 나타나는 이미지로 하나의 감각적 대상을 다른 종류의 감각으로 전이하여 표현하는 방식

예) 나비 허리에 새파란 초생달이 시리다(시각의 촉각화)

색채 이미지

  • 색깔을 나타내는 색채어를 사용하거나, 색채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시어의 속성이나 분위기로 인해 색채와 관련한 이미지를 환기하는 것을 말한다.

계절감을 나타내는 이미지

  • 시어가 지닌 이미지를 통해 계절감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복합감각 이미지

  • 하나의 대상을 표현하기 위해 두가지 이상의 감각을 동시에 나란히 늘어놓은 이미지로 감각의 전이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공감각적 이미지와 차이가 있다.

예) 술익는 마을마다 타는 저녁놀

이미지의 방향성

  • 상승 이미지 : 위로 오르는 듯한 느낌을 불러일으키는 이미지로, 주로 긍정적 이미지로 사용된다.
  • 하강 이미지 : 아래로 향하는 듯한 느끼믈 불러일으키는 이미지로, 주로 부정적 이미지로 사용된다.

이미지의 운동성

  • 동적 이미지 : 시적 대상의 힘찬 움직임을 통해 활발한 느낌을 불러일으키는 이미지
  • 정적 이미지 : 움직임이 느껴지지 않는 풍경이나 고요한 심리상태를 통해 조용한 느낌을 불러일으키는 이미지

이미지즘

이미지즘은 1910년대 영국과 미국에서 낭만주의에 대항하여 전개된 시 운동이다. 이미지즘을 따르는 시인들은 시에서 음악성이나 운율보다는 이미지 즉 심상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선명한 이미지를 가진 시들을 즐겨 썼다. 우리나라에서는 1930년대에 최재서, 김기림 등에 의하여 도입되었으며, 정지용, 김광균, 장만영 등이 대표적인 이미지즘 시인으로 꼽힌다. 이미지즘의 핵심은 정확한 이미지를 통해 대상을 선명하게 표현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