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정 (정의당)

최근 편집: 2023년 11월 27일 (월) 23:33
정의당 경남도당 정책기획국장 이소정
[1]

이소정(1996년생, 사천 출생)은 정의당 당원이자 정의당 경남도당에서 정책기획국장[2]으로 일하고 있다.

경상국립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고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창원시 바 선거구(성산구 상남동,사파동)에 출마[3]했으나, 3위인 성보빈 후보와 불과 1%p(343표 차이)[2]로 석패했다.

2023년 정의당 7기 동시당직선거에서 정의당 경남도당 부위원장으로 선출됐다.[4]

에이로맨틱으로 커밍아웃한 바 있다.[5]

약력 [4]

  • 1996년 사천 출생
  • 경상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 전) 정의당 경남도당 여성위원회 운영위원
  • 전) 정의당 경남도당 창원시 무상교통 추진본부 집행위원장[6]
  • 전) 경상대학교 사회과학대 학생회 여학우국장
  • 전) 4.3 보궐선거 여영국 청년선거대책본부장
  • 전) 경남청년정책네트워크 권리보호분과 위원장
  • 전) 정의당 전국위원
  • 전) 정의당 경남도당 청년학생위원장[7][8]
  • 전) 정의당 진주시위원회 운영위원
  • 전) 정의당 경남도당 부위원장[9]
  • 전) 청년가치팩토리 사회적협동조합 감사
  • 현) 정의당 경남도당 정책기획국장

정치 입문 계기

나도 좀 신기하다. 정치를 시작하게 된 계기가 뭐냐고 물어보면 ‘힙합을 좋아해서 사회 비판적인 가사를 듣고 하게 되었다’고 말하는데 되게 신기해한다. 가족이나 주변 지인들 중에 정치인이 있던 것도 아니고 노조 활동가가 있던 것도 아닌데 그런 계기로 시작했다는 것을 되게 신기해했다. 힙합 외에도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는 장르는 많다. 그중에서도 힙합 음악이라는 장르는 나에게 가장 매력적으로 느껴졌다. 솔직하게 자기 이야기를 한다는 점, 그리고 분명히 누군가를 향해 메시지를 전달한다는 점에서 래퍼, 아티스트, 정치인, 뮤지션 모두 공통점이 있는 것 같다.[2]

청소년 시절, 사회의 가장 낮은 곳으로 향하겠다고 말하는 정의당에 큰 매력을 느꼈다. 대학생 때는 정의당 중앙당 사무실로 견학을 갔는데, 청년들이 직접 정치 활동을 하고 있는 모습을 보고 그 자리에서 당원 가입을 했다.

가입과 동시에 경상대에서 정의당 학생모임 위원장을 맡으며 정치를 시작하게 됐다. 입당한 이후로 제 삶에서 정당 활동이 1순위가 될 정도로 치열하게 활동했다.

더 나은 내일을 꿈꾸는 사람들과 함께 토론하고 희망을 실현해내는 일이 즐거워서 그렇게 열심히 한 것 같다. 내일을 기대하는 사람들이 있기에 진보정치, 그리고 저의 정치가 계속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한 우물만 파는 성격과 진보정치에 대한 믿음으로 정당활동을 시작했는데 한 번도 이 길을 후회한 적이 없다. 지역의 굳건한 진보정치인으로 자리 잡는 것이 목표[3]

청년 정치

민주당 박지현 전 비대위원장이나 국민의힘 이준석 전 대표는 호불호나 정치 행보에 동의하고 안 하고를 떠나서 어쨌든 정당 내에서 주요 직을 맡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동안 당내 요직을 2030세대가 맡은 적이 거의 없었다. 더구나 그들이 그 위치에서 자신들의 목소리를 냈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단순히 청년이라고 호명되는 청년 정치인들이 생겼다고 해서 사회 변화가 왔는가? 아니다. 청년 정치가 이슈화되어 이름을 내걸 수 있는 간판 청년 정치인 몇 명이 한국 정치권에 생겼다고 해서 우리 한국 정치가 절대 바뀌지 않는다. 더군다나 청년 정치라는 타이틀을 내걸면서 기존 정치의 악습을 답습한다면 변화가 없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정치인들이 기존 양당 정치의 폐해와 권력 구조를 타파하는 모습을 전혀 보이지 않고 자신의 권력을 이어가기 위해 선출직을 출세의 수단이라고 여긴다면 청년 정치에 대해 논하는 것 자체가 진짜 무의미하다고 생각한다.[10]

“이준석 전 대표와 박지현 전 위원장을 두고 봐도 전혀 다른 사람이다.”[1]

SNS

  1. 인스타그램
  2. 엑스(舊 트위터)
  3. 페이스북

출처

  1. 1.0 1.1 위수한 수습기자 (2023년 9월 11일). “정의로운 복지국가, 진보집권의 시대를 향해 - 이소정”. 《아주대학보》. 2023년 11월 26일에 확인함. 
  2. 2.0 2.1 2.2 윤동욱 (2023년 3월 30일). “[독고다이 인생⑱-1] 청년 당직자 이소정씨 “정의당이 집권할 수 있다”고 믿는 이유”. 《평범한미디어》. 2023년 11월 26일에 확인함. 
  3. 3.0 3.1 정희성 (2022년 5월 16일). “[청년 후보에게 듣는다]정의당 이소정 후보”. 《경남일보》. 2023년 11월 26일에 확인함. 
  4. 4.0 4.1 이소정 (2020년 9월 8일). “[출마의 변] 정의당 경남도당 부위원장 후보 이소정입니다.”. 《정의당》. 2023년 11월 26일에 확인함. 
  5. 정의당 이소정 (2018년 6월 20일). “에이로맨틱에 관해 (지극히 개인적 관점이 포함됨.)”. 《X.com》. 2023년 11월 26일에 확인함. 
  6. 이소정. “이소정 프로필”. 《facebook.com》. 2023년 11월 27일에 확인함. 
  7. 취재 사진 노영주 수습 (2016년 8월 30일). “[개척인] 생활 속의 정치 참여, 멀리 있지 않아”. 《경대뉴스》. 2023년 11월 26일에 확인함. 
  8. 이종관 시민기자/정의당 진주지역위 사무국장 (2016년 8월 2일). “정의당 경상대 학생위원회, 이소정 위원장 선출”. 《단디뉴스》. 2023년 11월 26일에 확인함. 
  9. 이소정 (2022년 4월 14일). “창원시의원 선거(상남/사파/대방동) 후보 이소정입니다.”. 《정의당》. 2023년 11월 26일에 확인함. 
  10. 윤동욱 (2023년 3월 31일). “[독고다이 인생⑱-2] 영남에서 진보 정치인으로 가장 힘든 점은... “큰당 들어가라는 주변의 잔소리””. 《평범한미디어》. 2023년 11월 2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