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 4.0

최근 편집: 2018년 3월 19일 (월) 04:01

개요

인더스트리 4.0(Industry 4.0)은 독일 정부의 4차 산업 혁명에 대한 정의이자, 대응 정책을 일컫는 말이다.

소개

명칭

인더스트리 4.0은 기존의 기계화된 공업 방식에 4차 산업혁명을 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정의된 명칭이다. 이 명칭은 독일의 Hannover Messe(하노버 박람회)에서 2011년 발표되었고, 여러차례 논의를 거쳐 2013년 8월 최종안이 발표되었다.

디자인 원칙

  •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 기계나 기기, 센서, 사람의 능력을 IoT 또는 Iop를 통해서 연결시키고 상호 소통하게 함으로써 자동화를 이루고 영역을 확장한다.

[1]

  • 정보투명성(Information transparency): The ability of information systems to create a virtual copy of the physical world by enriching digital plant models with sensor data. This requires the aggregation of raw sensor data to higher-value context information.
  • 기술 지원(Technical assistance): First, the ability of assistance systems to support humans by aggregating and visualizing information comprehensibly for making informed decisions and solving urgent problems on short notice. Second, the ability of cyber physical systems to physically support humans by conducting a range of tasks that are unpleasant, too exhausting, or unsafe for their human co-workers.
  • 분산결정(Decentralized decisions):사이버 물리 시스템이 스스로 결정을 내리고 가능한 한 자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게끔 한다. 예외의 경우에만, 간섭 또는 상충하는 목표가 높은 수준으로 지명된 업무이다.

의미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정부 차원에서 담론을 형성하는데 함께하였고, 이를 국가적 대책으로 마련하였다는 점이 가장 큰 의미이다. 디자인 원칙 및 방향에서 스마트 공장, Iot, 정보투명성등 4차 산업혁명의 큰 화두들이 등장한 것도 의미심장하다.

도전과제

[2]

  • IT security issues, which are greatly aggravated by the inherent need to open up those previously closed production shops
  • Reliability and stability needed for critical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including very short and stable latency times
  • 생산과정의 공정성을 유지한다.
  • Need to avoid any IT snags, as those would cause expensive production outages
  • Need to protect industrial know how (contained also in the control files for the industrial automation gear)
  • Lack of adequate skill-sets to expedite the march towards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Threat of redundancy of the corporate IT department
  • General reluctance to change by stakeholders
  • Loss of many jobs to automatic processes and IT-controlled processes, especially for lower educated parts of society
  • Low top management commitment
  • 불명확한 법적 이슈 및 정보보안
  • 불명확한 경제적 이익/극단적인 투자
  • 규제와 인증시스템의 기반과 형태의 부재
  • 고용의 불안정성

방향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결과

국가적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국제적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기업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문제점과 한계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