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최근 편집: 2023년 8월 16일 (수) 10:09
(일제 시대에서 넘어옴)
한국의 역사
상고 시대 고조선 · 진국 우산국 탐라국
원삼국 시대 부여 · 고구려 · 옥저 · 동예 · 삼한(마한 · 진한 · 변한)
고대 삼국 시대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야
남북국 시대 신라 · 발해
후삼국 시대 신라 · 후고구려 · 후백제
중세 고려
근세 조선
근대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대일본제국 조선 대한민국 임시정부
현대 해방기 조선인민공화국
미군정 소련군정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대한제국의 국권이 대일본제국에게 강탈되어 35년의 식민 통치를 받은 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 사이의 시기를 뜻한다.

다른 이름으로는 '일제시대', '왜정'이라고도 한다. 현대 일본에서는 "日本統治時代の朝鮮(일본통치시대의 조선)"이라 하고, 중국에서는 "朝鮮日治時期(조선일치시기)"라고 한다.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이 패하고 일제강점기가 끝난 1945년 8월 15일을 "광복절"이라 한다.

일본령 조선의 지위

일본령 조선은 무관 출신 총독이 부임하는 조선총독부의 지배를 받았으며, 총독부는 본토의 일본 의회 및 내각의 통제를 거의 받지 않았다.

朕韓國ノ國號ヲ改メ朝鮮ト稱スルノ件ヲ裁可シ茲ニ之ヲ公布セシム

明治四十三年八月二十九日  內閣總理大臣 侯爵 桂太郞

勅令第三百十八號

韓國ノ國號ハ之ヲ改メ爾今朝鮮ト稱ス

 附 則

本令ハ公布ノ日ヨリ之ヲ施行ス

합방 당일 칙령 제318호대한제국을 상징하는 말인 '대한', '한국'이라는 이름은 금지되고 모두 지리적 의미만을 가진 '조선'으로 환원되었다. 현대 한국인이 일본인이 말하는 '조선', '조선인'이라는 단어에 부정적 뉘앙스를 느끼게 된 것은 이 때문이다. 또한 당대 독립운동 단체들 중 '한인', '대한'을 단체명으로 삼은 곳은 대부분 해외 기반이고, '조선'을 달고 있는 곳은 대부분 국내 기반이다(몇몇 예외는 있다).

연혁

시기에 따라 통치 스타일이 조금 달랐다.

1910년 ~ 1919년(무단통치기)

  • 국가헌병대를 두고 헌병이 경찰업무를 수행하였다.
    • 1910 범죄 즉결례, 1912 경찰범처벌규칙, 1912 조선형사령, 1912 조선 태형령
  • 모든 공무원 및 교사까지 제복을 입고 칼을 찼다.
  • 1911 제1차 조선 교육령, 1911 사립학교규칙, 1918 서당규칙
  • 토지 조사 사업(1912~1918): 소유한 토지를 신고하지 않으면 소유권을 박탈하였다. 그렇게 약탈한 토지는 일본인의 것이 되었다. [1] [2]
  • 회사령(1910~1920): 회사의 설립을 허가제로 하였다.
  • 1911 삼림령, 조선 어업령

1919년 ~ 1931년(문화통치기)

  • 3·1 운동을 계기로 정책이 변화하였다. 전반적으로 강압적인 정책을 다소 누그러뜨리는 대신 독립운동가들을 변절시키고 친일파를 형성하는 데에 주 목적을 두었다. 때문에 변절자들도 많이 생겨났던 시절이다. 한일 관료 마저도 친일파가 아닌 이상, 대일본제국이 좋은 대우를 하지는 않았다.
  • 일부 단체와 언론 활동을 허가하는 대신 사전검열을 실시했다. 조선일보, 동아일보가 이 때 생겼다.
  • 헌병 경찰제를 폐지하고 보통 경찰제로 바뀌었다. 그러나 인원과 장비가 증강되었고, 고등경찰을 도입하였다.
    • 1925 치안 유지법
  • 제복, 착검, 태형을 폐지하였다.
  • 조선인 관리를 임명
  • 산미증식계획(1920~1934): 미곡 증산이 목표량에 미달되었음에도 계획대로 식량을 조선 밖으로 반출하였다.
    • 농민 회유책으로 1932년 농촌진흥운동, 조선소작조정령, 1934년 조선 농지령 반포

1931년 ~ 1945년(민족말살통치기)

  • 일본이 만주사변을 일으켜 중국을 침략, "대동아 전쟁"(제2차 세계대전)을 준비하면서의 시기이다.
    • 중공업을 육성하면서 한반도를 병참기지화하였다.
  • 1940년부터 창씨개명을 강요했다. 교육적인 지원을 하지 않거나, 식량을 배급하지 않는 불이익을 주는 방식으로 강요하였다.
  • 조선어와 조선사 교육을 금지하고 일본어 사용을 강요하였다.
  • 궁성요배, 신사참배, 황국신민서사 암송을 강요하였다.
  • 1936년 조선 사상범 보호관찰령
  • 1938년 국가총동원법
    • 1938.2. 육군특별지원병령
    • 1939 국민 징용령, 미곡배급조정령(식량 배급제 실시)
    • 1941 국민근로보국령
    • 1943 학도지원병제, 해군특별지원병령
    • 1944 징병제 실시, 여자 정신대 근무령
    • 1941년 금속 회수령으로 공출을 강행

사회

사회적 차별 철폐 운동

여성 운동

일제강점기 여성의 지위는 열악했다. 남존여비라는 인습 탓도 있으나 일제가 여성 차별을 법제화하여 더욱 그랬다. 한국 여성에게는 재산의 소유권과 처분권이 인정되지 않았고, 재산 상속과 친권 행사에도 차별을 받았다. 결혼한 여성은 남편의 동의 하에만 취업이 가능했고 노동 임금은 남성의 절반이었다.

1920년대 여성의 사회적 진출이 조금씩 활발해지고 노동자 수가 늘어나면서 여성 운동이 일어났다. 여성 계몽을 추구하는 민족주의 계열 단체와 여성 해방, 계급 투쟁을 강조하는 사회주의 계열 단체로 나뉘었다 근우회가 조직되어 하나로 합쳐졌다. 근우회는 유력한 여성 인사들이 대부분 참여한 단체로, 국내와 일본에 수십 개의 지회를 두고 강연회 등을 열었다.

강향란이라는 기생이 돌연히 머리를 깎고 남자 옷을 입고 정치 강습원에 통학 중이라 한다. 암탉이 새벾에 우는 것도 그 집안이 기우는 장본이라 하였다. 하물며 여자가 남자로 환형한 그것이야 변괴가 아니고 무엇이리오, 이렇게 천한 물건은 우리 사회에서 하루라도 빨리 매장해 버려야 될 것을…….- 부춘생, '토목언', "시사평론"(1992. 7.) -

일제강점기 기생들에 의해 여성 단발이 여성 해방의 상징으로 퍼져 나갔다. 그러나 옛날부터 이어진 사회적 차별 의식은 쉽게 사라지지 않았다.

소년 운동

당시 어린이는 무상 의무 교육이 실시되지 않아 교육을 받을 기회가 적었고, 공장에 취업해 낮은 임금과 장시간의 노동을 겪었다. 그러자 어린이를 온전한 인격체로 대접하자는 소년 운동이 일어났다. "어린아이를 때리지 마라. 한울님을 때리는 것이니라."라고 강조한 2대 교주 최시형의 뜻에 따라 천도교는 소년 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였다. 방정환과 함께 천도교 소년회는 어린이날을 제정하고 잡지 "어린이"를 간행했다. 또한 소년 운동의 확산으로 조선 소년 연합회가 결성되었다.

1930년대 일제가 소년 운동을 애국 운동으로 보고 탄압하였다. 중일전쟁 이후 완전히 금지했다.

백정의 형평 운동

갑오개혁 때 법제상으로 신분 차별은 폐지되었으나 백정에 대한 사회적 차별은 사라지지 않았다. 게다가 일제는 호적에 붉은 점 등으로 표시하여 백정의 신분이 드러나게 하였다. 이에 백정들은 저울처럼 평등한 세상을 만들고자 하여 진주에서 조선 형평사를 창립하고 형평 운동을 벌였다. 조선 형평사는 전국으로 조직이 확대되었고 다른 사회 운동 단체와 연대하여 항일 민족 운동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문화

1920년대부터 서양 문화가 빠른 속도로 들어왔다. 신문은 음악 연주회나 전시회 등 문화 행사와 스포츠 등을 소개하였고, "신여성"과 "삼천리" 등의 잡지는 새로운 패션이나 화장법 등을 소개하여 유행을 이끌었다.

특히 영화가 큰 역할을 했다. 영화는 당시 '값이 싸고 화려하고 재미있는 오락'으로 대중오락이자 서양 문화를 직접 받아들이는 창구이기도 했다. 조선 최초의 영화사인 조선 키네마가 설립되어 한국 영화도 발전하기 시작했다. 나운규 등에 의해 새로운 경지를 개척해 간 한국 영화는 민족의 애환을 담았다.

서울에는 백화점이 세워졌고 거리에는 다방과 카페가 많았으며, 각종 광고를 실은 벽보가 넘쳤다. 영화 속 서양 주인공의 머리 모양이나 옷차림을 따라하거나 한국의 배우가 유명해지기도 했다. 라디오 방송국이 생기고 레코드 보급이 늘면서 유행가도 생겼다.

야구, 축구, 자전거, 스케이트 등 다양한 스포츠가 자리를 잡았다. 본래 외국 선교사나 외국 문물에 익숙한 사람들에 의해 신체 단련의 수단으로 보급된 스포츠를 일제는 대중을 한꺼번에 지배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과정으로서 장려했다.

문학

1910년대 문학은 계몽적 성격을 띠었다. 3.1 운동 이후에는 식민지 현실을 살아가는 개인의 고단한 삶은 다룬 사실주의적 경향이나 독립을 쟁취하지 못한 좌절과 허무감에 빠진 퇴폐적 낭만주의로 흐르기도 했다. 1920년대 후반에는 사회주의 운동의 영향으로 식민지 현실의 계급 모순을 적극 비판하는 문학이 등장했다.

그러나 1930년대에는 일제가 사실주의 문학 등을 탄압했고, 이로 인해 당시 문학은 예술 지상주의를 내세운 순수 문학이 많았다.

주요 사건

부연 설명

출처

  1. 김민우 기자. “토지대장에 남은 창씨개명..국토부 일본잔재 지운다”. 《머니투데이》. 2022년 3월 31일에 확인함. 
  2. 금준혁 기자. “독립운동지 관통 철도·수탈용 토지대장..일제잔재 청산 속도낸다”. 《뉴스1》. 2022년 3월 3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