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 페미니즘(Transfeminism)은 그들의 해방이 모든 여성의 해방과 본질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트랜스여성들에 의한 그리고 트랜스여성들을 위한 운동. 또한 "트랜스여성과의 동맹은 그들 자신의 해방에 필수적이라 여기는 이들"에게 열려있는 운동이다.
물론 태생이 TERF를 비판하기 위해 나왔기에 TERF랑 관계가 매우 안 좋다.
역사
트랜스페미니즘, 혹은 스페인어 트랜스페미니즈모transfeminismo는 1980년대 후반 스페인에서 트랜스젠더를 페미니스트 정치에 포함하도록 요구하는 단체모임에서 가장 먼저 대두되었다. 미국에서는 1992년 다이애나 콜번트와 에미 코야마가 트랜스, 인터섹스, 장애, 그리고 성폭력 생존에 관해 저술하면서 가장 처음 소개되었다.[1]
코야마는 2001년에 트랜스페미니스트 선언[2]을 출판하며 그 개념을 미국 안팎으로 퍼뜨리는데 주요한 역할을 했다. 선언에서 코야마는 트랜스페미니즘을 일컬어 "그들 자신의 해방이 궁극적으로 여성 모두와 인간 해방과 맞닿아있다고 보는 트랜스여성에 의한, 트랜스여성을 위한 운동" 이라고 정의했다. 하지만 이후 코야마는 자신의 선언문이, 트랜스여성과 비-트랜스여성의 연대를 촉구하기위해 트랜스남성과 다른 트랜스젠더들, 혹은 여성으로 자신을 정의하지 않는 젠더퀴어를 포함하지 않았으며, 그것이 선언문으로서 다소 부적절했다고 정정했다.[3]
다른 페미니즘과의 관계
페미니스트들은 트랜스여성을 같은 여성으로 인정하거나, 경험이 다르다며 시스젠더 여성과 같지 않은 여성으로 인정하거나, 극단적으로 남성으로 간주하는 경우로 나뉜다.
트랜스젠더 배제적인 성격이 극단적인 일부 페미니스트들은 트랜스여성을 여성으로 인정하지 않거나, 지정성별이 남성인 젠더퀴어들을 남자라고 부른다. 트랜스여성 당사자들은 트랜스여성을 시스여성과 같지 않은 여성이라 주장하는 페미니즘도 트랜스포비아라고 말한다.
요약하자면 트랜스젠더 여성에 대한 혐오는 페미니즘 내에서도 존재하며, 이는 트랜스 페미니즘의 목소리를 페미니즘 속에서 퍼뜨리는 노력과 투쟁이 필요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 페미니즘과의 유사성과 차이점
트랜스 페미니즘은 모든 페미니즘의 바탕인 여성이 전통적인 젠더 역할에 고정될 수 없다는 주장을 전제로 하며, 더 나아가 모든 사람 또한 성/젠더의 사회적 기준에 가둘수 없다고 주장한다.[3]
트랜스페미니스트는 기존의 페미니스트들과 같이 여성이라는 의미의 경계를 탐구함에 있어 같다. 트랜스페미니스트들은 트랜스젠더와 시스젠더 페미니스트들이 마주하는 성과 젠더에 대한 사회적 시선들이 비슷하다고 말한다.[4]
트랜스페미니즘에 비판적인 페미니스트들에 의하면 사람들은 생물학적인 성과 젠더를 동일시하는 것에 불편함이 없으므로 트랜스들은 자신의 주어진 성에 따라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트렌스페미니즘은 이러한 고정적인 시선을 저항하고 도전하는 운동이다. 트랜스젠더 사람들 또한 시스 여성들과 같이 자신의 주어진 성에 순응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많은 폭력을 겪는다.[5]
트랜스페미니즘은 제2물결 페미니즘에 극명한 차이를 보인다. 제2물결 페미니즘은 전全여성의 경험을 보편화한 연대를 중요시하지만, 트랜스페미니즘은 교차성에 중심을 둠으로써 여성들의 다양성에 집중한 제3물결 페미니즘에 더 가깝다.
예를 들면, 제2물결 페미니즘은 가부장 제도와 그 전략이 세계 공통적이므로 모든 여성이 여성으로서 겪는 경험이 같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그들은 한 가지 일이 한 여성에 영향을 미친다면, 그 일은 모든 여성에게 동일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며 성차별적인 사회에서 모든 여성은 동일한 사회적 위치나 힘을 갖는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여성이라는 그룹 안에서도 나이, 장애, 인종, 계급, 사회적 지위 등으로 나뉘기 때문에, 위 같은 주장은 설득력을 갖기 힘들다. 반면 트랜스페미니즘은 여성 그룹 안에서도 다른 사회적 지위가 낮은 여성을 억압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6]
나라별 현황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 트랜스페미니즘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고, 트랜스여성 당사자, 또는 논바이너리나 트랜스남성등의 트랜스젠더들이 참여하고 있다. 트랜스페미니즘 연구소로는 루인의 트랜스/젠더/퀴어연구소가 있다. 트랜스젠더 여성에 대한 혐오를 생성하며 트랜스젠더 여성들을 페미니즘에 방해되는 존재라는 주장이 존재하여 트랜스페미니즘에 대한 인식 확대가 절실하다.
미국
트랜스페미니스트 선언
관련 책
미국의 트랜스페미니스트이자 트랜스여성인 수잔 스트라이커가 쓴 트랜스젠더의 역사가 번역 및 출간되어 있다.
연표
- 1850년대, 미국 서프러제트였던 메리 에드워드 워커 박사가 여성주의 드레스 리폼 운동을 펼치면서 크로스드레싱이 시작했다.[7]
- 1907, 중국의 혁명가이자 크로스드레싱 페미니스트였던 추근이 만주국에대한 반란을 주도한 혐의로 처형되었다.[8]
- 1930년대, 베시 스미스, 마 레이니, 루실 보간이 젠더퀴어 정체성에대한 블루스 음악을 작곡하고 공연했다.[9]
- 1968, 국제올림픽연맹이 여성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염색체검사를 시작하여 트랜스젠더선수들과 인터섹스선수들의 대회 참여를 금지했다.[10] 이 결정은 2002 솔트레이크 시티 동계올림픽부터 완전히 무효화되었다.[11]
- 1969, 실비아 리베라와 마샤 존슨을 위시한 트랜스여성들이 스톤월 반란을 주도했다.[12]
- 1970, 실비아 리베라와 마샤 존슨이 거리의 트랜스젠더 행동 혁명가들을 창립, 가난한 트랜스 청소년들을 위한 셸터를 열기도 했다.[13]
- 1973, 쟌 코르도바는 트랜스포용적이고 교차주의적 가치를 전면에 내세운 서부 레즈비언 컨퍼런스를 기획했다.[14]
- 1976, 여성 음악 레이블의 상징으로 불리는 올리비아 레코드가 퀴어 트랜스페미니스트 활동가이자 학자인 샌디 스톤을 해고하라는 터프들의 요구를 거절했다.[15]
- 1979, 제니스 레이먼드가 트랜스 제국이라는 제목의 트랜스 혐오적인 책을 출판했다.[16]
- 1982, 뉴욕시 경찰들이 블루스라는 흑인 드랙 바를 급습했고, 이에 8월 15일 2000명 이상의 LGBTQ 사람들이 블루스를 돌려주라는 요지의 집회를 열었다.[17]
- 1987, 샌디 스톤이 제국의 역습: 트랜스섹슈얼의 선언이라는 책을 출판하여 레이먼드의 여성경험에대한 본질주의적 시각을 비판하는 한편 트랜스페미니스트들과 퀴어들의 대변인을 자처했다.[18]
- 1988, 드니스 라일리가 저서 "내가 그거라고?"에서, 본질주의에 바탕한 여성의 분류에 대비되는, 역사적 여성의 형성과정에대해 기술했다.[19]
- 1990, 미원주민 LGBTQ 활동가 알버트 맥리오드가 각 부족의 고유어로 두 영혼을 가진two-Spirit 이라는 단어를 엄브렐라 정체성을 나타내기 위한 단어로 사용하기로 가장 처음 제안했다.[20]
- 1998, 흑인 트랜스여성 리타 헤스터가 11월 28일 메사추세츠에서 트랜스포비아로인해 살해당했다.
- 1999, 트랜스여성 그웬돌린 앤 스미스가 리타 헤스터를 비롯, 포비아에게 살해당한 트랜스젠더들을 추모하기위해 11월 20일 트랜스젠더 추모의 날을 설립했다.[21]
- 2000, 에미 코야마가 트랜스페미니스트 선언을 작성했다. 이후 논바이너리 정체성과 교차성에대한 언급을 추가했다.[2]
- 2007, 줄리아 세라노가 저서 Whipping Girl을 통해 트랜스여성혐오transmisogyny와 반대성차별주의oppositional sexism라는 단어를 제안했다.[22]
- 2008, 틱톡TigTog에 의해 처음 터프라는 단어가 제안되었다.[23]
- 2014, 자넷 막의 회고록 실재의 재정의가 출판되었다. 회고에서 그녀는 젠더, 인종, 그리고 계급적 정의에관해 이야기할 때 필요한 교차성의 이해에 대해 다루었다.[24]
- 2016, 레이나 고세트, 바바라 스미스, 샬린 캐러서스가 변화를 만드는 컨퍼런스에서 흑인 트랜스페미니스트들의 역사를 블랙 페미니즘으로 명명했다.[25]
출처
- ↑ Garriga-López; Claudia Sofía. 《Global Encyclopedia of 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and Queer (LGBTQ) History》. 1619-1622쪽.
- ↑ 2.0 2.1 Emi Koyama. Rory Dicker and Alison Piepmeier, 편집. 《Catching A Wave: Reclaiming Feminism for the Twenty-First Century》. Northeastern University Press.
- ↑ 3.0 3.1 Emi Koyama (2001년 7월 26일). “The Transfeminist Manifesto” (PDF). 《eminism.org/readings/pdf-rdg/tfmanifesto.pdf》. 2020년 2월 7일에 확인함.
- ↑ Brendy Lyshaung. “Solidarity Without "Sisterhood"? Feminism and the Ethics of Coalition Building, Politics & Gend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 ↑ Gayle Salamon. 《Women's Studies on the Edge》. Duke University Press. 117쪽. ISBN 978-0-8223-4274-8.
- ↑ Ryn Gluckman. “Striking In Solidarity”. 《The Fight for Reproductive Freedom》 XVI (No. 3).
- ↑ Anika Burgess (2017년 9월 27일). “The Unconventional Life of Mary Walker, the Only Woman to Have Received the U.S. Medal of Honor”. 《Atlas Obscura》. 2020년 2월 7일에 확인함.
- ↑ Amy Qin (2018년 3월 8일). “Qiu Jin, Beheaded by Imperial Forces, Was 'China's Joan of Arc”. 《The New York Times》.
- ↑ Hugh Ryan (2018년 1월 4일). “themstory: A Century in Genderqueer Music”. 《them.》. 2020년 2월 7일에 확인함.
- ↑ Louis J. Elsas and Arne Ljungqvist; 외. “Gender Verification of Female Athletes”. 《Nature》.
- ↑ Janet Rae Brooks (2000년 4월 7일). “Gender testing at Olympics abolished at last”. 《The Globe and Mail》.
- ↑ Natasha Schlaffer (2016년 10월 23일). “The Unsung Heroines of Stonewall: Marsha P. Johnson and Sylvia Rivera”. 《PSU-Femmes Fatales》. 2020년 2월 8일에 확인함.
- ↑ Gillian Brockell (2019년 6월 12일). “The transgender women at Stonewall were pushed out of the gay rights movement. Now they are getting a statue in New York.”. 《The Washington Post》.
- ↑ “PIONEERING LESBIAN ACTIVIST JEANNE CÓRDOVA (1948-2016)”. 《ONE Archives at the USC Libraries》. 2016년 1월 11일. 2020년 2월 7일에 확인함.
- ↑ Cristan Williams (2014년 8월 16일). “TERF hate and Sandy Stone”. 《TRANSVOCATE》. 2020년 2월 7일에 확인함.
- ↑ Janice Raymond. 《The Transsexual Empire》. Beacon Press.
- ↑ Stephen Rutledge (2017년 6월 8일). “#LGBTQFlashback: After Stonewall, There Was “The Blues Bar Raid”…”. 《The WOW Report》. 2020년 2월 8일에 확인함.
- ↑ Sandy Stone. 《Body Guards: The Cultural Politics of Gender Ambiguity》. Social Text.
- ↑ Denise Riley. 《"Am I that name?"》. Palgrave.
- ↑ Louis Cruz and Blu Waters; 외. “Two-Spirit Community”. 《Re:searching for LGBTQ Health》. 2020년 2월 8일에 확인함.
- ↑ Lainey Millen (2008년 11월 20일). “North Carolinians mark Transgender Remembrance Day”. 《qnotes》. 2020년 2월 8일에 확인함.
- ↑ Julia Serano. 《Whipping Girl》. Seal Press. ISBN 978-1580056229.
- ↑ TigTog (2008년 8월 17일). “Carnivalia, transgenderism and the gender binary”. 《Hoyden About Town》. 2020년 2월 8일에 확인함.
- ↑ Janet Mock. 《Redefining Realness: My Path to Womanhood, Identity, Love & So Much More》. Atria Books. ISBN 9781476709130.
- ↑ “BCRW Activist Fellow Reina Gossett, Barbara Smith, and Carlene Carruthers on Black Feminism at #CreatingChange16”. 《Barnard Center for Research on Women》. 2016년 1월 28일. 2020년 2월 8일에 확인함.